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저 임금으로

문프님 조회수 : 914
작성일 : 2018-08-25 00:00:54
총 공격 하는데
총선때 생각해 보세요
다른 주자들도 다 최저임금 인상 공약 했어요
지금 우리가 공격 해야할 대상은  
문프님 애 먹이려 작정한 자한당과 보수 세력 입니다

경제가 어려워 진건 
지난 9년동안 
저들이 대기업에게 골목 상권 까지 다 내주며
국민 혈세까지 먹어 치웠기 때문 이예요

양승태건 까지 다 까발려 졌는데도
최저 임금 인상 탓을 문프님께 돌려
이 정부 망하기만을 학수 고대 하는 
보수 언론과 자한당에 속지 맙시다

지금 가장 시급한 문제는 그네가 지 멋대로 걷어들여 남아 도는 세금으로
경기를 회복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건데
자한당이 문프님 엿먹이려 인준 안해주는 겁니다
괜한 최저 임금 인상탓 그만 하시고
뭐가 팩트인지 알려고 노력이라도 해 보자구요
 
IP : 121.154.xxx.4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8.25 12:07 AM (175.195.xxx.139) - 삭제된댓글

    그냥 갖다 엮어 까는거죠.

  • 2. 안속아요!
    '18.8.25 12:09 AM (174.230.xxx.126)

    문프 지지율 떨어지길만을 학수고대하는 세력들한테 속을 수 없죠

  • 3. 좋은 댓글 끌올
    '18.8.25 12:58 AM (123.213.xxx.212)

    ...

    '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

  • 4. .............
    '18.8.25 1:00 AM (123.213.xxx.212)

    김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열린 2017 회계연도 결산 등 종합정책질의에서 "정책들이 상당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소득주도성장은 최저임금 인상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필수 생계비 절감, 사회 안전망 구축, 공적 자금 확충 등이 모인 패키지"라며 "최저임금 인상 (문제가) 부각되니 소득주도성장이 최저임금 인상과 동일시되는 것은 조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 부총리는 또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같이 가야 궁극적으로 우리 경제가 지속 가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https://news.v.daum.net/v/20180822111514961

  • 5. 한번더 읽으시라고..
    '18.8.25 8:56 AM (125.132.xxx.214)

    '18.8.20 8:31 PM (211.59.xxx.154)

    그리고 노동의 생산성 이딴 걸 떠나서
    지금 이렇게 고착화된 부의 편중화를 내버려 두게 되면
    대공황이 오게 됩니다.
    대공황이 왜 오게 됐는지 아시나요?

    예를 들어 사회적 부가 200이라면
    기업가 1명이 100을 가지고,
    노동자 100명이 각자 1을 받고 살아요.
    이런 상황에서 사회는 잘 굴러가죠.

    그러던 것을 기업가가 탐욕을 부리기 시작하죠. 더 많이 갖고 싶어졌거든요.
    그래서 사업에 찾아온 위기를 기회로 자기 몫을 190으로 챙기고
    노동자들에게는 10 을 남겨주죠. 회사가 어려워서 이렇게 밖에 할 수 없다.
    노동자들은 그 10을 100명으로 나눠서 0,1씩 챙기던가
    아니면 회사가 내 건 정리해고 안에 동의할 수 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이제 소득이 10분의 1로 줄어든 노동자들은 더 이상 물건을 소비할만한 여력이 없죠.
    겨우겨우 입에 풀칠만 할 수 있는 빠듯한 상황에 여유로운 소비생활은 불가한거죠.
    진열장에 안 팔린 물건들이 쌓여가고
    공장에는 창고에 재고가 가득해져 가죠.
    공장은 물건이 안 팔리니 가동할 수가 없고 이윤이 나지 않으니
    다시 직원들을 해고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계속 무한 도돌이표...

    한 국가의 부가 소수 일부 계층에게 집중되면 이런 일은 필연적으로 반복될 수 밖에 없어요.
    부의 낙수효과 거짓말이란 거 이미 옛날에 밝혀진 사실이구요.
    부자에게 돈 좀 더 쥐어줘봤쟈 절대 돈 안 씁니다.

    자유방임정책으로 일관하던 근대 이후 서구들이 이후 수정자본주의로 전환하게 된 것도
    기업가의 탐욕을 내버려두면 나라 경제를 파탄낼 수도 있다는 뼈아픈 경험에서 비롯된 거니까요.
    그러다가 1,2차 오일파동 이후 다시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고
    우리는 지금 그 정점 신보수주의에 이르러 서 있죠.

    과거의 경험을 망각하고 그 교훈을 되새기지 않으면
    역사는 되풀이됩니다.

    솔직히 최저임금제는 명박 근혜 정부에서 진작에 손 봤어야 하는 정책입니다.
    10년 전, 20년 전 물가 대비 소득을 현재와 비교해보세요.
    사회의 모든 부를 기업이 재벌이 독식하는 구조
    상당히 건강하지 못한 사회이고, 위기에 필연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최저생활계층에 대한 보호 차원을 떠나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도 그렇습니다.
    물론 정책 시행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저임금으로 시급을 지급해야 하는
    소상공인의 열악한 상황을 더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움에 남지만,
    앞으로 정책에 더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이 오른 만큼 가맹본사로의 로열티 지급 인하나
    상가점포의 임대료 상승 억제 대책 같은 것이 뒤따라야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0218 코카서스가 지역이름인가요? 6 2018/08/31 1,104
850217 반가운 소식 4 자한당 2018/08/31 955
850216 그리스 파산 통계조작에서 시작됐다 26 미래 2018/08/31 2,647
850215 오늘 날씨가 상쾌한가요? 6 공기 2018/08/31 800
850214 앞으로도 수도 없이 치워야할 쓰레기들이예요 30 .... 2018/08/31 1,560
850213 다스뵈이다 30회 올라왔어요 18 ... 2018/08/31 859
850212 삼성 추적합시다...청원 20 ㅇㅇ 2018/08/31 402
850211 오이를 사면 매번 써요. 다른 분은 어떠세요~ 13 .. 2018/08/31 1,799
850210 요즘 많이 힘들어서 위로받고 싶어요. 7 빗소리 2018/08/31 1,700
850209 설화수 방판해보려고 하는데 ᆢ 9 2018/08/31 3,403
850208 고양이 신부전증 6 .. 2018/08/31 2,091
850207 국민 절반 이상 '소득주도성장'에 찬성 60%… 반대 26% 16 2018/08/31 817
850206 세무사 기장 맡기는 회사는 업무를 어디까지? 10 조언부탁 2018/08/31 2,103
850205 빈댓글이 하등 상관없다면서.. 21 ... 2018/08/31 483
850204 이석수, 정경두 임명의 의미(펌글) 11 볼만한글 2018/08/31 1,017
850203 육군 위문공연 논란 동영상' 보니, '헉' 소리 나는 피트니스 .. 5 사자좌 2018/08/31 1,772
850202 사람들은 남들한테 관심 없는 거 같아요 3 ... 2018/08/31 1,468
850201 분란의 원인이 어준이라고요? 23 원인 2018/08/31 458
850200 집 살 여력 됐는데 못사고 계신분 13 2018/08/31 2,809
850199 유은혜 장관은 결과의 평등? 13 슈퍼바이저 2018/08/31 1,432
850198 김어준 사태를 보면 "용의자 X의 헌신"을 .. 35 재명제명 2018/08/31 874
850197 면생리대는 못 쓸것 같고 유기농 생리대 추천 좀 해주세요 4 2018/08/31 1,960
850196 김어준이 작전세력 잡았다는데, 알고보니 본인 지지자 ㅋㅋㅋㅋㅋㅋ.. 35 개그 2018/08/31 1,483
850195 언니님들~ 어제 과일사라다 문의 올린 사람인데요. 성공했어요. 6 우왕 2018/08/31 1,591
850194 축구 감독이 영어로 뭔가요? 4 영어 2018/08/31 18,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