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총선,지선..좀 쉽게 설명해주실 분~~? (비례대표 추가요)

정알못 조회수 : 1,136
작성일 : 2018-06-15 19:53:45
제가 정알못이라서요  용기내어 여쭈어봅니다.
엊그제 선거한것은 지방선거죠?

총선과 지선..  이해하고 싶은데  차이점 좀 알기쉽게 설명해주실분 있으신가요?

넘 모른다고 뭐라하시 마셔용..  ^^;;
IP : 110.70.xxx.34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6.15 8:00 PM (175.118.xxx.235)

    총선-국회의원
    지방선거-자치단체장(도지사.시장 등), 지방시.도의원
    선출 아닌가요?

  • 2. ..
    '18.6.15 8:00 PM (211.213.xxx.132) - 삭제된댓글

    총선은 국회의원 선거고요.
    지선은 지방선거.. 지자체장(시장, 도지사, 구청장, 시교육감, 도교육감, 시의원, 구의원, 군수) 뽑고요.
    둘 다 임기는 4년이어서, 4년에 한번씩 뽑아요.

  • 3. 정알못
    '18.6.15 8:01 PM (211.244.xxx.179)

    저도 그렇긴 한대요

    선거 이벤트가 3번 잇죠
    간단히 야그함
    공무원 뽑는 엊그제 같은 지방선거
    국회의원 총선
    대통령 대선


    2년뒤 총선 있어서
    매년 축제네요

    이니 대선 치른지도 얼마 안됫는디
    그 흥분 채 식기전 이리 지방선거 대승..

    내후년 국회의원 총선도 싹쓸히 햇음요
    그래서 바로..헌법재정..이니 뜻대로 됫음 좋겠어요

  • 4. 간단
    '18.6.15 8:01 PM (221.153.xxx.47)

    총선은 국회의원선거요.

    아레는 지방선거하면서
    자리 빈 국회의원 뽑기 같이했고요.

  • 5. 총선,지선
    '18.6.15 8:02 PM (115.140.xxx.191)

    총선은 국회의원 뽑는 선거이고요,
    지선(지방선거)은 각 지방의 자치단체장 (시장,도지사,군수 등), 그 자치단체를 견제하는 시의원,도의원,구의원등 뽑는 선거에요.

  • 6. ....
    '18.6.15 8:04 PM (61.106.xxx.177) - 삭제된댓글

    지선(지방선거) : 지방자체단체장과 지방자치단체 의회 의원들을 뽑는 선거입니다.
    총선(국회의원선거) :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입니다.

  • 7. 원글
    '18.6.15 8:05 PM (110.70.xxx.34)

    아 역시 여쭤어보길 잘했네요
    알기쉽게 한큐에 정리됐어요
    대선, 총선, 지선.. 이 뭔지 알겠고요
    그리고 지선에서 엄청 많이 뽑던데 크케 지자체 장과 이를 견제하는 그룹으로 나뉘는것도 이해했습니다.

    댓글주신 친절하신 82님들께 감사드립니다~~!! ^^

  • 8. marco
    '18.6.15 8:05 PM (14.37.xxx.183)

    지선 지방자치단체장과 의원을 뽑는 선거
    거기에 꼽사리 교육감 선거도 합니다.
    광역지방자치단체장 서울시장 등 총 17개곳 시장 및 도지사
    지방자치단체니 의회도 있어야 하니 시도의원이 선출되고
    다음은 기초자치단체장 및 의원 즉 소도시는 시장 분구 되어 있는 곳은 구청장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의원을 뽑습니다.
    더불어 정당투표와 비례의원투표를 하게 됩니다.

    국회의원은 우리나라를 253개로 분할해서 지역별 1명씩 뽑고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 47명을 뽑아서 총 300명의 국회의원이 선출합니다.

    원래는 국회의원은 그 지역을 대표해서 국회를 운영하는 것이 원칙이나
    자기 지역구를 소홀히 할 수 없어서 늘 예산경쟁이 이루어 집니다.

  • 9. marco
    '18.6.15 8:08 PM (14.37.xxx.183)

    그리고 임기는 모두 4년 입니다...

  • 10. 총선,지선
    '18.6.15 8:09 PM (115.140.xxx.191)

    네 말씀대로 엄청 많이 뽑죠.
    자치단체인 시장부터 구청장까지 뽑기 때문에 그렇고요,
    시를 견제하는 시의원,
    도를 견제하는 도의원,
    구를 견제하는 구의원까지...다 뽑아서 그래요.

  • 11. 앗 또 있네요
    '18.6.15 8:11 PM (110.70.xxx.34)

    비례대표는요? 이건 무슨 뜻인가요?

    비례대표... 이것도 잘 모르겠어요 이해하고 싶어요

    익명이라 용기내어 여쭈어봅니다

  • 12. 관심가지면됩니다
    '18.6.15 8:13 PM (106.252.xxx.238)

    귀여운 원글님 ㅎㅎ

  • 13. marco
    '18.6.15 8:31 PM (14.37.xxx.183) - 삭제된댓글

    국회의원의 경우 지역별 국회의원에게 투표한 득표를 정당별로 합산합니다.
    합산한 비율에 따라 47명의 국회의원이 정해집니다.
    비율도 있는데 그것까지는 수치가 생각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정당이 총 50%의 득표를 했다면
    47명 가운데 절반인 23명 또는 24명의 비례대표 의원이 되는 것이죠.

  • 14. marco
    '18.6.15 8:38 PM (14.37.xxx.183) - 삭제된댓글

    국회의원의 정당투표를 합니다.
    투표한 득표를 정당별로 합산합니다.
    합산한 비율에 따라 47명의 국회의원이 정해집니다.
    비율도 있는데 그것까지는 수치가 생각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정당이 총 50%의 득표를 했다면


    47명 가운데 절반인 23명 또는 24명의 비례대표 의원이 되는 것이죠.

    두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는 충족해야 합니다.

    정당투표 3%이상 득표하거나

    지역별 국회의원이 5명 이상이거나입니다.

    정당투표의 3%미만이면 사표로 되는 것이지요...

  • 15. marco
    '18.6.15 8:40 PM (14.37.xxx.183)

    지역국회의원의 투표시 별도의 정당투표를 합니다.
    내가 지지하는 국회의원에게 기표 또 지지하는 정당에 기표
    투표한 득표를 정당별로 합산합니다.
    합산한 비율에 따라 47명의 국회의원이 정해집니다.
    비율도 있는데 그것까지는 수치가 생각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정당이 총 50%의 득표를 했다면


    47명 가운데 절반인 23명 또는 24명의 비례대표 의원이 되는 것이죠.

    두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는 충족해야 합니다.

    정당투표 3%이상 득표하거나

    지역별 국회의원이 5명 이상이거나입니다.

    정당투표의 3%미만이면 사표로 되는 것이지요...

  • 16. 원글
    '18.6.15 8:49 PM (110.70.xxx.34)

    marco님 정말 친절하시네요
    저의 오늘의 선생님이세요 ㅎㅎ
    이제 이해가 살짝됩니다.
    아항.. 이런거였구나! 47명을 국회의원 비율로 정당에서 나누는 것이구나

    아 정말 어디가서 물어보기도 진짜 창피한거였는데
    marco님 완전 감사드립니다~!

  • 17. ardor
    '18.6.15 9:01 PM (182.230.xxx.138)

    (대)통령(선)거 - 대선
    국회의원(총선)거 - 총선
    (지)방(선)거 - 지선 -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자치의회의원, 교육감

    https://namu.wiki/w/선거#s-3.2

  • 18. 투표는 나의 힘
    '18.6.15 9:23 PM (98.250.xxx.150)

    비례대표는
    지역국회의원과는 다르게
    당에서 ‘이 사람은 꼭 우리가 우리당 국회의원을 시키고 싶다’ 라는 사람들을 정해서 순서를 정해줘요. 비례 1번 비례 2번.... 이렇게요. 보통 전문적인 능력이 있는 사람들.. 법조인, 활동가 처럼 어떤 특정 영역에서 전문성을 발휘할수 있는 사람들 말이에요
    이런 사람들을 순번을 정해놓고.... ‘정당 투표’후 그 표 숫자만큼 비례대표 국회의원 숫자가 정해지는 거에요..
    민주당 당 득표율이 높으면 비례대표가 많이 당선되고. 특표율이 적으면 적게 당선되는 거죠.(그래서 비례대표 순번이 중요해요.. 앞번호로 갈수록 당선확률이 높아지죠.). 그래서 동네 국회의원을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당투표도 중요하죠..
    지난 총선에서 사람들이 지역 의원은 민주당을 뽑고 정당 투표는 국민의당에 많이 줘서 국민의당 비례가 많이 나왔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제가 틀리다면 아시는 분들이 고쳐주시기 바래요)

    그래서 그 정당의 비례대표 1번을 누구를 줬느냐에 따라 (보통 득표율이 아무리 적게 나와도 1번은 왠만하면 당선이 되기 때문에) 그 정당이 주력하는 방향이나 그런게 선명해지죠.. 정의당 김종대 의원이 아마 비례 1번이었을거에요.. 안보쪽 전문가로.. (가끔 크게 헛발길질을 하긴 하지만 그래도 안보쪽으로 일은 잘하시죠. 굵직굵직한거 한번씩 터트리고)
    국회의원들도 자기 소개할때 비례대표 출신이면 비례대표 누구입니다. 하고 이렇게 소속을 밝혀요..

    보통 많은 분들이 (민주당 이재정의원도 이 경우) 비례로 국회의원 시작하고.. 그 후로 지방 공천 받아서 성공하면 그 뒤로 쭉 가는 거죠..

    비례가 중요한게.. 의외로 지역에서 당선된 국회의원들보다 비례대표 의원들이 일 하나는 더 확실히 한다는거.. 처음부터 각자 전문영역에서 활약하라고 모셔왓기도 하고... 아무래도 지역민들 눈치도 덜 봐야 하고 그러니까요..

    그래서 지금 정의당에서 추진하는게.. 이름은 생각이 안나지만 아예 전체 국회의원을 비례대표처럼 뽑자는걸 추진하는걸로 알아요 지역구에선 사표가 너무 많이 나오자나요.. 내가 민주당 뽑았는데 새누리당이 당선되면 내 표는 죽는거잔아요.. 그러지 말고.. 아예 정당 투표를 하고.. 정당에서 순번을 준 대로 국회의원을 뽑자.. 그럼 사표도 안 생기고..

  • 19. 옴마야
    '18.6.15 9:27 PM (110.70.xxx.34)

    와우 윗님의 설명에 탄복하고 갑니다.
    한줄 한줄 아주 천천히 읽고 있고요
    몇번 더 반복해서 읽어야 할것 같아요

    윗님 감사드리고요. 댓글 지우지 말아주셔용~~~
    저 사실 사표. 라는 말도 주로 회사그만둘때 사표인줄알고 한참 다시 읽었네요
    죽을 사 사표 인것 같은데 암생각 없이 읽으면 정말 회사관두는 사표. 로 일단 받아들이나봐요 ㅎㅎ

    열심히 관심가져서 정알못에서 벗어나도록 하겠슴당~!!!

  • 20. 열공중
    '18.6.15 10:02 PM (39.112.xxx.193)

    원글님 덕분에 저도 많이 배웁니다.

    그러면 비례대표는 지역구도 없고 선거운동도 필요없는 거네요?

  • 21. 투표는 나의 힘
    '18.6.15 10:28 PM (98.250.xxx.150)

    원글님 칭찬 덕분에 가서 검색까지 하고왔어요

    ‘연동형 비례 대표제’ 라네요
    이렇게 하면 일단 지역주의 폐해가 사라지죠.. 어느 지역에서는 무조건 **당이면 이긴다.. 그러니 무조건 **당에 공천받자.. 이런게 사라지니 공천비리도 사라질 것이고 철새정치꾼들도 사라지겠죠.. 이번 지방선거에도 그동안 개누리였다가 민주당으로 당만 바꿔 출마한 사람들 많았잔아요... 그리고 반대로 당에서도 공천 안하고 싶은데 그 지역에서 너무 파워가 막강해서 공천 안할수 없는.. 그런 폐해도 없어질거구요

    무엇보다 정당정치가 살아나겠죠.. 정책으로 확실히 승부하는 정당.. 색갈이 선명한 정당.. 그런 정책을 보고 나를 대변하는 당에만 투표하면 되니... 우리 동네에서 다른 당을 뽑고 싶은데.. 민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하니 울며 겨자먹기로 민주당 찍어야 하는 그런 고민도 사라질 것이고요 (민주당 디스하는건 아니고요..예를 들어서요)
    암튼 비례형 연동제로는 다당제 정치가 가능하죠.. 군소 정당들도 정책만 좋으면 국회의석을 확보할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크죠..

    반대급부는.. 정당정치가 얼마나 성숙했느냐에 따라 이 비례형 연동대표제가 성공할수 잇다는거죠.. 정당이 정말 투명하게 비례순번을 주고.. 등등..

    저도 지식이 짧아서 여기까지 밖에 아는게 없네요.. 비례형 연동 대표제가 우리나라에서 현재 적용 가능한건지.. 어떤 가능한 폐해가 있을지 그런건 다른 능력자분들이 나서서 설명해주시면 저도 공부하겠습니다.

  • 22. 민달팽이82
    '18.6.15 11:22 PM (211.105.xxx.105)

    지방선거 역사는 김대중대통령의 단식투쟁의 선물임을 잊지 맙시다.

  • 23. 배웁니다
    '18.6.15 11:57 PM (39.7.xxx.123)

    '투표는나의 힘' 님 댓글 대단하네요
    연동형 비례 대표제’ 배워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22838 고3 ) 저희 아이같은 경우는 학종 포기해야죠? 19 궁금 2018/06/15 4,199
822837 홍삼 진액 얼마나 복용해야 하나요? 2 갱년기 2018/06/15 1,367
822836 중혼은 취소전엔 유효하다는데 5 .. 2018/06/15 1,493
822835 면접 갔는데 기분이 참 그렇네요.. 12 2018/06/15 5,526
822834 남편이 너무 이상한건지 내가 예민한건지 ㅠㅠ 28 ㅇㅇㅇㅇㅇㅇ.. 2018/06/15 17,610
822833 문재인 따까리, 김명수의 잔머리 10 .... 2018/06/15 1,982
822832 밥솥으로 한 가지밥 어떻게 보관해야해요? 4 U 2018/06/15 1,024
822831 이재명은 당선직후부터 성격 제대로 보여줬네요...대단~~~ 14 ㅉㅉ 2018/06/15 2,392
822830 가끔 느끼는게 사람은 살던대로 사는게 나은것같다는 생각이 10 가끈 2018/06/15 4,111
822829 바람엄청 불고 시원하네요 1 00 2018/06/15 951
822828 트럼프에 대한 오해( 기레기의 농간) 2 기레기박멸 2018/06/15 984
822827 김주하 아나운서목소리가 12 MBN 2018/06/15 5,343
822826 정진석 이새키.... 2 Bla 2018/06/15 1,844
822825 영화 ...마음에 드는건 두번이상 보는분 게세요? 22 극장에서 2018/06/15 2,405
822824 고딩아이 체육복바지 허리 늘리려면? 6 날개 2018/06/15 1,573
822823 10년 적금 부어서 뺏기기 3 싫다 2018/06/15 5,057
822822 국내선 탑승시 지참서류 문의 2 흠흠흠 2018/06/15 973
822821 "김경수가 없네" 축배의 순간에 그는 어디에?.. 20 아아아 2018/06/15 6,207
822820 총선,지선..좀 쉽게 설명해주실 분~~? (비례대표 추가요) 20 정알못 2018/06/15 1,136
822819 아파트 인테리어공사하시고 입주하신분 조언부탁드려요 5 ㅇㅇ 2018/06/15 2,228
822818 이재명스러운 표창원의 해명, 처음부터 끝까지 다 틀렸다 23 ㅇㅇ 2018/06/15 2,350
822817 왜 지금 부는 바람은 추운거죠? 7 추위 2018/06/15 3,497
822816 이읍읍쪽인 경기동부연합(주황색뻐꾸기-손가혁)에 대해서 공부합시다.. 35 꼭 알아야해.. 2018/06/15 2,074
822815 총선까지 2년 너무길어요 ㅠㅠㅠㅠㅠㅠㅠ 6 ... 2018/06/15 1,353
822814 어릴땐 몰랐는데 다시보니 넘 예쁘고 세련됐던 여가수 40 8090 2018/06/15 20,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