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서와 글쓰기의 관계

연필 조회수 : 2,564
작성일 : 2018-06-04 15:43:30
독서를 많이 하는 사람이 아무래도 글을 잘 쓰지 않나요?

본인은 책을 무지하게 많이 읽는다곤 하는데
쓴 글을 보니... 약간의 통찰력이 보이기는 하는데
사용하는 어휘나 문장력 표현력이 상당히 떨어지더라고요.
일단 기본적인 맞춤법부터 엉망진창;;

저야 뭐 그냥저냥이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엔 독서를 많이 하면 
글쓰기는 저절로 될 것 같거든요.
일단 보고 (저절로)습득되는게 있으니까요.
아닌가요?? 

IP : 220.81.xxx.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좀 낫기는 한데
    '18.6.4 3:45 PM (61.106.xxx.177)

    글쓰기도 타고난 재능에 속하더군요.

  • 2. ...
    '18.6.4 3:47 PM (112.186.xxx.183)

    읽는 것은 정보 접촉
    생각하는 것은 정보 소화
    글쓰기는 정보 생산 및 전달

    다 따로이고 유기적 결합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3.
    '18.6.4 3:47 PM (211.178.xxx.192) - 삭제된댓글

    책 안 읽은 우리 애, 글 잘 쓴다
    책 많이 읽은 우리 애, 글 진짜 못 쓴다
    꼭 이런 예외를 들고 오시는 분 계신데요.
    그건 그야말로 예외고
    원래 많이 읽는 것이 글 잘 쓰기의 기본이고 시작입니다.

    다독, 다작, 다상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한다.
    글을 잘 쓰는 방법의 기본이자 덧붙일 것 없는 전부이죠.

    타고난 재능도 필요하니 많이 읽는다고 누구나 문장가가 되지는 않지만
    많이 읽다 보면 기본은 하게 되지요.

  • 4. ...
    '18.6.4 3:50 PM (121.190.xxx.139) - 삭제된댓글

    양적으로 닥치는대로 읽는건
    독서라기보단 문자 중독? 스토리 중독?
    쓰는것도 기본적인걸 무시하면
    현학적이고 난잡하게 써요.

  • 5.
    '18.6.4 3:52 PM (211.178.xxx.192) - 삭제된댓글

    책 안 읽은 우리 애, 글 잘 쓴다
    책 많이 읽은 우리 애, 글 진짜 못 쓴다
    이런 글에는 꼭 이런 예외를 들고 오시는 분 계신데...
    그건 그야말로 예외고
    원래 많이 읽는 것이 글 잘 쓰기의 기본이고 시작입니다.
    그런데 기본이고 시작이라고 해서
    많이 읽으면 ‘저절로’ 잘 쓰게 된다고 장담하기는 어려운데요.

    다독, 다작, 다상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한다.
    글을 잘 쓰는 방법의 기본이자 덧붙일 것 없는 전부이죠.

    타고난 재능도 필요하니 많이 읽는다고 누구나 문장가가 되지는 않지만
    많이 읽다 보면 기본은 하게 된다고 봐요.
    그런 의미에서 원글님이 말씀하신 ‘저절로’는
    그 기본은 되는 수준을 말씀하신 것 같은데...
    그 사람이 많이 많이 읽은 게 사실이라면 글쓰기도 어느 정도 기본은 해야 한다고 봅니다.

  • 6.
    '18.6.4 3:55 PM (211.178.xxx.192)

    책 안 읽은 우리 애, 글 잘 쓴다
    책 많이 읽은 우리 애, 글 진짜 못 쓴다
    이런 글에는 꼭 이런 예외를 들고 오시는 분 계신데...
    그건 그야말로 예외고
    원래 많이 읽는 것이 글 잘 쓰기의 기본이고 시작입니다.

    다독, 다작, 다상량.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한다.
    글을 잘 쓰는 방법의 기본이자 덧붙일 것 없는 전부이죠.

    그런데 기본이고 시작이라고 해서
    많이 읽으면 ‘저절로’ 잘 쓰게 된다고 장담하기는 어려운데요.


    타고난 재능도 필요하니 많이 읽는다고 누구나 문장가가 되지는 않지만
    많이 읽다 보면 기본은 하게 된다고 봐요.
    그런 의미에서 원글님이 말씀하신 ‘저절로’는
    그 기본은 되는 수준을 말씀하신 것 같은데...
    그 사람이 많이 많이 읽은 게 사실이라면 글이 기본 맞춤법부터 그렇게나 엉망이라는 건 좀 이상해 보이기는 합니다.

  • 7. ...
    '18.6.4 3:58 PM (222.111.xxx.182)

    글쓰기는 글쓰기대로 따로 생각하고 연습해야해요.
    '저절로'라는 건 없구요.

    그런데 언급하신 경우처럼 맞춤법도 틀린다면 책은 많이 읽는데, 제대로 읽는 사람은 아닌가 봅니다.

  • 8. 원글
    '18.6.4 4:01 PM (220.81.xxx.8)

    네, 211.178님 제가 드리는 말씀이 그거에요.
    적어도 본인 스스로 다독왕이라고 말할 정도면 적어도 글에서
    수려하진 않지만 책을 많이 읽긴 했구나.. 하는 느낌이 와야 하는데
    전혀 그런게 느껴지질 않아서요.

  • 9. ....
    '18.6.4 4:06 PM (58.238.xxx.221)

    많이 안쓰고 많이 생각하지 않았나보죠.
    사실 다독보다 더중요한게 다상량이라 생각하는데
    습관이 되지 않으면 그냥 글자만 읽고 그렇구나~ 하는 경우도 많은것 같아요

  • 10.
    '18.6.4 4:09 PM (175.125.xxx.5)

    그 사람이 말은 조리있게 잘 하나요?
    나름 책에서 본 내용들을 잘 썰을 푸는지..
    독서가 글보다 말솜씨로 가는 사람이 간혹 있더라고요.
    제가 본 대부분은 글을 잘 쓰기는 했지만...
    그리고 책을 읽었지만 소화능력은 제각각이거든요.
    한권을 읽어도 주제와 깊이를 이해하고, 본인의 느낌을
    잘 정리하고 나아가 세계관까지 형성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다독했으나 사실상 아무것도 읽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지요. 애들 책 좀 읽힌다고 하는 분들 이 점을
    잘 체크해봐야 해요.

  • 11. ..
    '18.6.4 4:12 PM (14.47.xxx.136)

    스스로 책 많이 읽었다고 말하고 다니는 사람들은
    허세인 경우가 많아요

    책을 좋아하고 '많이' 그리고 '제대로' 읽고 성숙한 사람이라면
    책 많이 읽은 걸로 자랑질 않죠

    왜? 읽어도 읽어도 세상엔 책이 너무 많으니까

    요즘은 독서량을 자랑질의 수단으로
    삼는데..

    깊이 있게 읽었는냐

    그리고 그걸로. 좋은 글을 쓰느냐는

    다른 문제인 것 같아요

    아무리 비싸고 좋은 재료 잔뜩 장 본 것만 자랑하면 뭐하나요??

    냉장고에 넣어두고 꺼내서 맛있게 요리 안하면..

    음식물 쓰레기일 뿐

  • 12. 다독과 일기쓰기.....
    '18.6.4 4:24 PM (119.203.xxx.70)

    다독만 많이 한 사람인 경우 글 쓰는게 서툴 수가 있어요.

    너무 생각이 많고 쓰는 습관이 있지 않아서요.

    책 많이 읽고 일기 꼬박꼬박 쓰는 사람들 정말 글 잘 써요.

    작가중에 읽기 날마다 쓰는 작가들 참 많아요.

    일기 쓰는 사람들 글 보면 수려해요.

    저 또한 육아일기 한 7년 썼는데 처음에는 몇줄 못적다가 나중에는 몇페이지 막 넘기면서 읽기 쓰더라고요.

    그리고 점점 글 솜씨가 늘어나 지금 읽어보니 오~~ 내가 이런 문장 쓸 때가 있구나 감탄까지 하고요.

    육아 일기를 쭈욱 썼더라면 꽤나 글 솜씨 늘었을텐데 7년이 한계더라고요. ㅠㅠ

  • 13. ㅋㅋ
    '18.6.4 7:50 PM (85.6.xxx.137)

    책 많이 읽는다는 게 아마 본인 기준일 듯. 1년에 5권 읽으면서 많이 읽는다고 하는 건지도 모르잖아요. 많다 적다는 상대적인 개념이니까요.
    장담컨데 맞춤법 엉망진창인 사람은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 아니에요. 오타가 아니라면 눈에 거슬려서 도저히 그렇게 쓸 수가 없어요.

  • 14. ㅠㅠㅠ
    '18.6.4 8:42 PM (116.34.xxx.185)

    독서량보다 어떤책을 읽는가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 15. 어떤 책을
    '18.6.4 9:28 PM (39.7.xxx.132)

    아마도 어떤 책을 어떻게 얼마만큼 읽는지가 중요하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8293 저는 무시로 점철된 인생인데요 24 tree1 2018/06/04 5,392
818292 혹시 dkny 옷 사이즈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2 사이즈 2018/06/04 764
818291 빵 만들 때 왜 흰자를 거품내나요? 3 ,,, 2018/06/04 1,284
818290 ‘후원금 씀씀이의 정석’ 박주민, 179페이지에 10원까지 적었.. 6 ........ 2018/06/04 1,098
818289 여의도 진주회관 콩국수맛있나요 7 비싸네 2018/06/04 1,980
818288 제가 올린 지난 대선 한 달전 게시물 12 샬랄라 2018/06/04 1,162
818287 같은학교 친구들이 한명도없는 영어학원은 아닌가요? 2 중등 영어학.. 2018/06/04 1,073
818286 에어콘 진동은 어쩔 수 없는거죠? 6 여름인데 2018/06/04 1,049
818285 독서와 글쓰기의 관계 12 연필 2018/06/04 2,564
818284 남경필 '치매 조기발견· 치료 등 종합서비스체계 구축' 16 협치연정 2018/06/04 1,214
818283 이거 만드신분 최소 천재 7 오레지아웃 2018/06/04 3,250
818282 정당에서 광역시장 출마는 왜 안하는걸까요? 3 ar 2018/06/04 400
818281 마흔살 남자, 서른일곱살 여자 20 9659 2018/06/04 6,869
818280 2015 경상남도 무상급식을 중단 시켰던 경남도의원중 출마자 리.. 탱자 2018/06/04 585
818279 청소년 토지를 읽고 있는데요, 2 궁금 2018/06/04 1,021
818278 쇠고기 치맛살,부채살,차돌박이,등심..제일 맛있는건 뭘까요? 10 ㅇㅇ 2018/06/04 3,103
818277 서울시장 후보 토론회 하고 있습니다~ 3 동네아낙 2018/06/04 725
818276 사전투표 1 투표 2018/06/04 437
818275 홈쇼핑에 나오는 연예인들 자기관리는 끝내주네요 3 오늘하루만 2018/06/04 3,274
818274 중2아들과 여행갈려고 해요 2 언제나봄날 2018/06/04 841
818273 탈렌트 김교순 19 ... 2018/06/04 14,787
818272 친구가 연락을 끊어버렸네요. 74 ;;; 2018/06/04 25,564
818271 우리는 왜 가장 가깝고 소중한 사람들에게 친절하지 않을까요? 7 원글 2018/06/04 2,109
818270 20개월 된 아기인데 너무 개구진 거 정상인가요?? 6 이제 2018/06/04 1,512
818269 이재명후보는 개인자격이 너무 떨어져요 39 보아하니 2018/06/04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