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3이 고등과학 선행하려면 어떤 과목을 해야하나요?

과학 조회수 : 6,104
작성일 : 2018-05-26 20:02:01
중3남자아이 공대진학 목표로 하는데 과학 선행은
어떻게 해야할지요
현재는 중3현행과 시험대비 정도만 하고있는데
이제서야 과학선행을 시작하려고요.
질문은
1학년 통합과학 먼저 선행하고 2학년 물화생지 중 두과목 선택해서 하면되는건지,
아님 통합과학은 안하고 2학년과정 선행하는건지요?

그리고 공대가려면 반드시 물리화학을 해야하는지
아이들이 많이 선택한다는 생물이나 지구과학을 해도
괜찮은건지도 궁금합니다.

큰아이라 잘 몰라 여쭤보니 고등이상 어머님들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182.209.xxx.14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5.26 8:05 PM (116.120.xxx.165)

    영과고 준비하던 아이긴 힌지만 초5에 중등과학 다빼고 초6에 물1,2 화1 나가고 중2인 지금 물,화 1,2 두번돌았어요 이해를 좀 하는인이들은 두번 안돌리고 바로 일반물리 들어가요

  • 2.
    '18.5.26 8:17 PM (223.62.xxx.29)

    보통은 통합과학 안 하고 화1, 생1, 이런 식으로 선행 시작하는데
    저는 통합과학 먼저 하시라고 권하겠어요.
    저 1과목들이(원과목이라 부름) 상당히 어려워요. 중학교에서 바로 건너갈 수 있는 과목이 아니라고 봐야 해요.
    물론 잘 하는 애들은 잘 하죠. 하지만 대개 그 나이에 맞는 인지력 이해력 기본 지식 등이 있잖아요. 그걸 넘어서는 분량을 갑자기 주입하니까
    애들이 어찌어찌 어버버 따라오다가도 나중엔 선행의 의미가 없어질 만큼 잘 잊어버리더군요.
    중학교 때 고등과학 선행했다는 애 치고 정말로 그 선행 가치를 해내는-
    즉 고등에 정작 들어갔을 때
    간단히 복습으로 수업해도 되는 아이는 지금까지 한 명도 못 봤어요.

    통합과학 먼저 하시고
    그 다음에 하나씩 선행을 하는데
    이과 아이들은 화1, 생1 제일 많이 해요.
    물리 해 두면 물리 연계된 대학 전공 때 편하겠죠. 그런데 수능에서는 그냥 원과목 2개 자유 선택인데
    물리는 어려워서 점수 따기가 힘들거든요.
    과학고 애들이 워낙 물리를 잘 하니 얘네하고 수능에서 경쟁하기도 어렵고.
    그래서 물리는 타고난 물리 사랑을 가진 아이들 아니면 잘 선택 안 하고요.
    지학은 쉬워서 한두 개만 틀려도 등급이 훅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택하는 애들은 택하지만
    이래저래 화1, 생1 응시자가 제일 많고
    인원이 워낙 많다 보니 등급 따기도 좀 낫고. 그렇습니다.

    가고자 하는 대학과 전공을 몇 개 추려서 입학 요강을 잘 보세요.
    앞으로 바뀔 수도 있지만, 대략 지금까지의 뼈대를 봐 두면 좋죠.
    혹시 물리를 반드시 택해야 하는 과가 있는지 훑어보시고
    그런 게 아니라면 굳이 어떤 과목을 염두에 두진 마시고
    아이가 어떤 과목을 잘 하고 좋아할지 소질을 찾아 보세요.
    하다 보면 싫었던 과목이 좋아지고 좋았던 과목이 싫어지기도 하고
    또 전략적으로 이 과목을 택해서 수능 봐야지 하는 생각도 정립되거든요.

    어느 학교든 대개는 2학년 때 물화생지 1과목을 다 하는데(내신)
    3학년 때는 물화생지 2과목(투 과목)중에서 택해서 교육하는 학교,
    학생들에게 택하게 하는 학교, 조금씩 달라요.
    물2는 아예 개설도 안 하는 학교도 많아요.
    수능에서 투 의무로 반영하는 학교는 서울대밖에 없나, 그렇고요.

    그러니 내신을 위해서는 원과목 뭘 해도 하면 좋다,
    (내신엔 원과목 4개 들어가니까)
    하면서 수능에서 뭘 택할지 적성을 슬슬 찾아 봐라,
    선행을 할 거면 통합과학 먼저 하는 걸 권한다,
    투과목은 벌써 걱정할 일은 아니다,
    이 정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홧팅.

  • 3.
    '18.5.26 8:27 PM (49.167.xxx.131)

    과학은 수학후하세요.

  • 4. 음님
    '18.5.26 9:07 PM (182.209.xxx.142)

    정성스러운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요약까지 해주시고...일단 아이와 잘 얘기해보고 적성도 생각해보라고 해야겠네요. 막연했는데 이제 좀 알것같아요. 사실 수학도 더 해야하는것도 사실이고요
    당장 내년에 고딩된다 생각하니 저혼자 마음이 급하네요ㅠㅠ

  • 5. 공대는
    '18.5.26 9:29 PM (124.54.xxx.150)

    물리 필수죠

  • 6. 시간 여유 있으니까
    '18.5.26 9:37 PM (218.236.xxx.187)

    물리부터 시작하고 겨울에 화학 하시면 되겠어요

  • 7. ....
    '18.5.26 9:49 PM (121.166.xxx.249)

    작년은 통과 교과서도 나오기 전이어서 물1 화1 각각 두번씩 돌리고 입학했어요. 통과는 내용자체는 중학교 수준이라 아주 쉽다고 하네요.

  • 8. 과학선행도
    '18.5.27 12:54 AM (182.209.xxx.142)

    두번씩 보고 가는군요...지금부터라도 정신 바짝 차리고 따라가야할것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5250 지금의 이 다이내믹한 판국은 4 번개팅 2018/05/27 2,384
815249 못생긴남친요.. 8 ... 2018/05/27 4,907
815248 못생긴 시리즈에 얹어 ㅋ 7 ㅎㅎ 2018/05/27 2,723
815247 잔류일본인 18 역사 2018/05/27 6,809
815246 교통사고 때문에 미치겠어요. 10 제인에어 2018/05/27 4,467
815245 배고픈데 참아아겠죠? 15 어흑 2018/05/27 2,303
815244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 제대로 기억하시는 분~ 22 .. 2018/05/27 4,421
815243 나도 못 생긴 남친 50 생각나네 2018/05/27 9,404
815242 시티투어버스 좋았던 곳 정보 공유해요 7 나홀로 여행.. 2018/05/27 3,002
815241 출근하자마자 손 안씻고 그릇 정리하는 가사도우미 7 ... 2018/05/27 4,101
815240 친구가 저의 돈봉투를 한사코 거절하는데.. 14 2018/05/27 4,716
815239 쫌 문대통령 반에 반정만이라도 일좀해라!!! 5 적폐청산 2018/05/27 1,194
815238 여섯살 아이가 퍼즐을 하는데 11 ㅇㅇ 2018/05/27 3,577
815237 건조기에 넣고 잊어버리고 있었는데요 6 빨래 2018/05/27 3,607
815236 평화의 문은 활짝 열려있는데 미국은 뭐가 그리 불만일까요. 8 2018/05/27 1,756
815235 울 대통령님 김정은 만났네요 3 .... 2018/05/27 1,305
815234 술만 마시면 연락두절 남편 1 .. 2018/05/27 1,761
815233 그알 관련 네이버 검색해보니 1 ㅁㄴ 2018/05/27 1,203
815232 대학 문과 나온 딸들 어떤 직업 갖고 있나요? 22 엄마 2018/05/27 8,939
815231 드라마스케치에서 비 애인은 왜 죽었나요? 5 스케치 2018/05/27 2,229
815230 스케치에서 비는 ... 연기를 그렇게해요? 13 스케치 2018/05/27 5,454
815229 문대통령님 보며 반성합니다. 20 .. 2018/05/27 3,727
815228 변칙을 영어로 뭐라고하나요? 10 갑자기 2018/05/27 3,296
815227 자꾸 결혼 얘기 꺼내는 상사 6 Hold 2018/05/27 2,966
815226 발톱무좀 구멍뚫으셨던분들~~ 부끄럽지만 모여보세요^^;; 9 박멸 2018/05/27 6,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