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새아파트 가격

집값관심없는 아줌 조회수 : 3,912
작성일 : 2018-05-06 11:46:28

예전엔 입지좋은 동네의 아파트 값이 가격차이를 벌였던거에 비해 요즘은 같은 동네라도 신축이라고 큰 차이가 나더군요. 

1가구1주택이라 관심없었는데 언제부터 이런 현상이 벌어졌는지요?

아파트는 땅값에 좌우되지 시멘트 등 자재값은 평당 몇백이면 짓는다 또 요즘 신축은 층간소음 등 더 불량하다고 들었는데 신축의 매력이 무엇일까 궁금하네요. 지금의 신축이 내가 팔때되면 낡게 되는 걸텐데요.  

IP : 218.237.xxx.15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8.5.6 12:00 PM (223.33.xxx.15)

    감가상각이 큰거죠.

  • 2. ..
    '18.5.6 12:12 PM (39.7.xxx.9)

    살아보니 신축이 정말 좋아요.
    주차난도 없고...
    사람들이 갈수록 신축을 선호해서 아닐까요.

  • 3. 지금
    '18.5.6 12:43 PM (121.145.xxx.150)

    신축과 구축
    제일 편리한게 지상에 차 없는것과 엘리베이터 미리 잡는건데
    구축은 안에 고친다해도 배관이나 위에 저런문제는
    해결되지 않잖아요
    구축 비싸게 주고 살바에 신축 싸게 전세로 살고자 하는
    사람들도 있구요

  • 4. 자재비 인건비
    '18.5.6 1:55 PM (223.62.xxx.66)

    폭등이네요 누가 몇백에짓는다고 구라를..

  • 5. 그건
    '18.5.6 2:12 PM (41.215.xxx.78)

    요 몇년 사이 건설사들의 전략이라고 나와요

    걔네들이 의도적으로 신축 가격을 폭등하도록 많이 끌었는데
    자재비 인건비 상승은 핑계고

    부동산 전체 시장 트랜드를 자기들이 만들어서 일부러 가격 올려놓았어요

    신축은 다르다.. 마케팅.

    살아보니 좋다고는 하지만 무조건 부동산은 입지와 교육이에요
    솔직히 아무리 아파트 신축 살기만 좋아봐야 소용없는데

    새 마케팅 잘잡아서 가격 올리는거 성공한거죠. 건설사들이..

    그런데 앞으로는 어찌될지 알 수 없죠

  • 6. 좀 더 세분화
    '18.5.6 6:22 PM (211.226.xxx.127) - 삭제된댓글

    예전의 새 아파트보다 요즘 짓는 아파트들이 더 새롭고 편리한 기능이 많아졌어요.
    예를 들면 지상에 차가 없다거나.. 단열효과가 좋아 덜 춥고 덜 더운 것. 에어컨 천정에 넣는 것등..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계속 신제품을 내면서 가격을 조금씩 올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파트 가격도 올라가는 것이고요.
    옛날에는 헌 집이나 새 집이나 살기에 크게 다르지 않으니까 동네가 더 중요하다고 여겨서
    입지만 좋으면 그 동네에 있는 집들 가격이 다 비슷했다면..
    요즘 사람들은 헌 것보다는 최신제품 좋아하는 성향이라 동네가 좀 아니어도 헌 집 보다 새 집을 더 좋아하고 몰리니 가격차가 납니다.
    세분화 되어....
    좋은 입지- 새 아파트
    좋은 입지- 오래된 아파트
    그저 그런 입지 - 새 아파트
    그저 그런 입지 - 오래된 아파트... 가격이 다 달라지게 된 것이고요.
    우리 상식과 경험에 의하면 아무리 오래된 아파트라도 좋은 입지에 있는 것이 그저 그런 입지의 새 아파트보다 비싸다고 여기는데.
    종종 거꾸로 뒤집어 지는 걸 보니 의아한 것이지요.
    원글님 말씀대로 아무리 새 아파트라고 해도 시간 지나면 오래된 아파트가 되는 것이니
    내재된 가치는 좋은 입지의 오래된 아파트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재비..원자재 오르고 있는 건 사실이고. 최저임금 어쩌고..해서 인건비도 오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 7. 세분화
    '18.5.6 6:24 PM (211.226.xxx.127)

    예전의 새 아파트보다 요즘 짓는 아파트들이 더 새롭고 편리한 기능이 많아졌어요.
    예를 들면 지상에 차가 없다거나.. 단열효과가 좋아 덜 춥고 덜 더운 것. 에어컨 천정에 넣는 것등..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계속 신제품을 내면서 가격을 조금씩 올리는 것처럼 아파트 가격도 올라가는 것이고요.
    옛날에는 헌 집이나 새 집이나 살기에 크게 다르지 않으니까 동네가 더 중요하다고 여겨서
    입지만 좋으면 그 동네에 있는 집들 가격이 다 비슷했다면..
    요즘 사람들은 헌 것보다는 최신제품 좋아하는 경향이 있어
    동네가 좀 아니어도 헌 집 보다 새 집을 더 좋아하고 몰리니 가격차가 납니다.
    세분화 되어....
    좋은 입지- 새 아파트
    좋은 입지- 오래된 아파트
    그저 그런 입지 - 새 아파트
    그저 그런 입지 - 오래된 아파트... 가격이 다 달라지게 된 것이고요.
    우리 상식과 경험에 의하면 아무리 오래된 아파트라도 좋은 입지에 있는 것이 그저 그런 입지의 새 아파트보다 비싸다고 여기는데.
    종종 거꾸로 뒤집어 지는 걸 보니 의아한 것이지요.
    원글님 말씀대로 아무리 새 아파트라고 해도 시간 지나면 오래된 아파트가 되는 것이니
    내재된 가치는 좋은 입지의 오래된 아파트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재비..원자재 오르고 있는 건 사실이고. 최저임금 어쩌고..해서 인건비도 오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10711 (청와대 트위터) 적폐청산 추진경과와 성과, 앞으로의 추진방향 .. 3 세우실 2018/05/14 537
810710 소통~ 2018/05/14 304
810709 이재명 사태의 본질 - 왜 깨시민은 이재명 낙선을 각오하는가? .. 4 중요한글 2018/05/14 624
810708 이재명이 형수에게 ㅂㅎㅉ 할수 밖에 없었던 사연. 34 혜경궁 2018/05/14 5,651
810707 아침에 강아쥐가 이상해요..어디가 안좋을까요? 3 ... 2018/05/14 1,040
810706 지금 출근 지하철에서 껌을 떡떡 소리나게 씹는 사람이 있네요 3 2018/05/14 672
810705 이재명은 대선 경선 후원금 12억원 과다집행 의혹을 해명하라! 10 파파괴 2018/05/14 1,224
810704 도지사후보 제주도 VS 경기도 인파비교 7 비교된다 2018/05/14 1,089
810703 다들 열정적인 게시판 15 ㅎㅎ 2018/05/14 824
810702 40중반,,,,왜이렇게 낙도없고 우울하죠 16 2018/05/14 7,985
810701 [펌] 변호사 이재명의 무고죄를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54 무고죄 2018/05/14 2,425
810700 냉동실 전구가 나갔어요ㅠ 3 냉동실 전구.. 2018/05/14 2,073
810699 보헤미안풍의 옷 어디서 구매하는게 좋을까요? 20 2018/05/14 3,038
810698 슈만 음악과 리스트 음악은 어떤 다른 매력이 있나요? 5 피아노곡 2018/05/14 886
810697 혜경궁 김씨는 누구다! 퍼트려서 고소당하면 밝혀질듯 4 오유펌 2018/05/14 1,357
810696 어머니날..중3아들의 황당한 대답 25 튤립 2018/05/14 14,431
810695 마트에서 락스로 옷이.. 3 락스 2018/05/14 2,678
810694 이읍읍 명백한 잘못(죄?)을 알려주세요 18 ㅇㅇ 2018/05/14 1,554
810693 나 82 회원인데~ 11 봄봄 2018/05/14 1,157
810692 기자메모] "@08__hkkim&quot.. 6 혜경궁 2018/05/14 1,380
810691 시부모랑 사는게 보통일이 아니네요. 18 ..... 2018/05/14 13,469
810690 펌) 지금 민주당이 이 지ㄹ을 하는 이유 15 ........ 2018/05/14 2,495
810689 표의원 이재명을 도와준게 아니라 멕이려고 한듯 ㅎㅎ 7 표창원 2018/05/14 2,792
810688 스위스로 가 안락사 선택한 104살의 호주 과학자 11 개인의권리 2018/05/14 3,834
810687 (펌) 이재명은 안된다는 감동적인 명문 23 ㅇㅇ 2018/05/14 3,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