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냉장고에 있는 밥, 어떻게 데우면 새밥처럼 될까요?

밥밥 조회수 : 2,711
작성일 : 2018-03-24 10:09:49

물 뿌려서 전자랜지?

그릇에 담에 찜통에 찌기?


어떤 게 좋을까요?

IP : 175.209.xxx.5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8.3.24 10:20 AM (14.34.xxx.200)

    냉동실,냉장실
    어디에 보관하셨을까요

  • 2.
    '18.3.24 10:23 AM (175.209.xxx.57)

    냉장실이요

  • 3. 차라리
    '18.3.24 10:35 AM (59.7.xxx.110)

    야채넣고 볶음밥 해드심이~
    전 밥 새로 해서 다 못먹을 거 같으면 냉동용기에 밥 넣어서 바로 얼려요.
    그리고 렌지에 돌려먹으면 새로한 밥 같아요

  • 4. ㅁㅁ
    '18.3.24 10:38 AM (221.154.xxx.241)

    음... 전 밥해서 냉장실 넣어두고 자주 전자렌지 돌려먹는데요.
    일단 기본은 냉장고에 넣기 전까지 밥이 마르지 않아야 해요(바로 글라스락 같은 곳으로 옮겨담아서 뚜껑을 덮어놓기. )
    그리고 나선 전자렌지에 2분~3분 정도 그냥 뚜껑 없이 돌립니다. 간혹 접시 같은 거 위에 얹어서 간이뚜껑식으로 올리고 돌릴 때도 있어요.

  • 5.
    '18.3.24 10:39 AM (211.36.xxx.198) - 삭제된댓글

    밥 한공기 기준으로
    냉동실 얼음 한조각을
    밥의 위에 가운데 얹고 렌지에 돌리세요
    일분삼십초정도요
    덜 녹은 얼음은 버리고 드세요
    이런일이 놀라실거예요

  • 6.
    '18.3.24 10:46 AM (211.36.xxx.198) - 삭제된댓글

    원글님
    두껑은 덮지마세요
    제꺼는 렌지가 이십년 넘은거라 전력이 쎄서요
    렌지에 따라 시간을 더 둬야 될수도 있답니다
    참고하시고 해보세요

  • 7. 가끔
    '18.3.24 10:51 AM (221.140.xxx.146) - 삭제된댓글

    냉동이나 냉장했던 밥을 렌지에 돌리면
    어떤때는 새밥 같고 가끔은
    단단한 떡처럼? 뭉치는데 왜 그럴까요?
    살~퍼서 바로 담아도 그런경우 있어요.
    담아서 보관하는데도 노하우가 있을까요?

  • 8. ㅁㅁ
    '18.3.24 10:56 AM (110.70.xxx.108) - 삭제된댓글

    렌지가 가장 새밥 스러워요
    다만 시간엄수

  • 9. ..
    '18.3.24 10:58 AM (49.170.xxx.24)

    밥은 냉장 보관하면 호화 되어 맛이 없어요. 냉동 보관했다가 전자렌지에 해동해 먹는게 좋습니다.

  • 10. 답변
    '18.3.24 11:14 AM (182.221.xxx.139)

    찜통에 찌면 새밥입니다.
    그렇게 먹은지 10년됩니다.
    좀 귀챦아도 익숙해지면 아무렇지도 않아요.

  • 11.
    '18.3.24 8:15 PM (74.75.xxx.61)

    물뿌려서 전자렌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6228 옷은 수거함에 버리면 되나요? 3 정리 2018/04/03 1,477
796227 외도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 4 딱 한번은 .. 2018/04/03 5,041
796226 하태경 야비한 인간 16 NN 2018/04/03 2,830
796225 박근혜 1심 선고, 6일 오후 생중계하기로 1 법원,잘한다.. 2018/04/03 743
796224 중국와서 더 자본주의적으로 사네요 10 ,,, 2018/04/03 4,108
796223 하는 일이 좀 막힐때.. 어떻게 하면 운을 트일수 있을까요? 13 막막 2018/04/03 3,334
796222 식구들이 힘든걸 보기 힘드네요. 8 울고싶네요 2018/04/03 2,802
796221 Suv자동차 운전은 2종 자동면허로 안되나요? 7 질문 2018/04/03 4,148
796220 어제 동상이몽.. 무사커플 보니까.. 6 2018/04/03 4,830
796219 [책추천해주세요]천성적으로 착하고, 처세술이 낮은 사람이 읽으면.. 3 책추천 2018/04/03 1,269
796218 하태경 “서울시장 공짜로 먹은 박원순 이번엔 양보해야” 29 미췬... 2018/04/03 3,418
796217 아이가 편의점에서 지갑을 분실했는데요. 37 봄비 2018/04/03 9,028
796216 방과후는 안해도 되는거지요? 1 고등 2018/04/03 824
796215 벚꽃 질무렵에만 꽃비 맞으러 가시는 분은 안계신가요?^^ 4 ... 2018/04/03 1,269
796214 추념식 이은미가 부르는 찔레꽃... 11 의새 2018/04/03 2,944
796213 방송 3사 모두 추념식을 생중계하는 날도 오네요. 놀랍다. 2018/04/03 606
796212 사주에서 부부가 이런 경우, 비슷하게 되던가요? 4 ..... 2018/04/03 2,004
796211 천안은 벚꽃 보러 어디 가나요? 5 .. 2018/04/03 1,015
796210 오늘같은날 추천영화 3 제주사랑 2018/04/03 1,248
796209 중등 딸아이 휴대폰 요금 42000 나왔어요 ㅠ 10 중등 통신비.. 2018/04/03 2,738
796208 혓바늘같은 통증..혀의 검은점이 생겼어요. 무슨 병원을 가야 하.. 6 ... 2018/04/03 16,953
796207 효리 나레이션 하는데 좀 울컥하네요 11 .. 2018/04/03 6,861
796206 수능 최저등급 폐지 에 대한 설명과 정시확대가 아닌 정시 축소 3 루시 2018/04/03 829
796205 혹시 자율등교제(?)도 있나요? 2 초딩고딩 2018/04/03 486
796204 제 70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ㅠㅠㅠ.. 35 ㄷㄷㄷ 2018/04/03 3,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