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베이비시터 식사 어떻게 해야하나요? 페이는 어느정도가 적정한가요?

... 조회수 : 3,685
작성일 : 2018-02-07 12:14:49
 돌 안된  아기 맡기는데

시터 식사가 고민이네요.


살림 안하는 집이라 식재료도 거의 없고 저희부부 끼리는 걍 시켜먹을때가 많아요.


보통 어떻게들 하시는지... 

페이랑 별도로 식비 지급하는지, 아니면 식재료 사두면 시터분이 알아서  만들어드시는건지요

그냥 저는 페이만 드리면 시터분이 알아서  사드시든 하시는거고 저는 신경 쓸 필요가 없는건가요



IP : 112.152.xxx.114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루루
    '18.2.7 12:18 PM (223.62.xxx.154) - 삭제된댓글

    식비로 6천원정도 드릴테니 도시락싸오라고 하시는건...
    보통 알바는 식대제공(식사시간은 시급미지급)하거나 식대미제공(식사시간은 시급지급)하거든요.

  • 2. ...
    '18.2.7 12:19 PM (223.62.xxx.88)

    대부분 집에있는거 꺼내서 시터가 알아서 차려먹는데 없으면 식대 드려야죠.예전에는 한끼에 5천원씩 드렸는데 요즘은 5천원으로 식사해결이 되려는지 모르겠네요.

  • 3.
    '18.2.7 12:20 PM (114.201.xxx.134)

    제 조카가 그정도부터 시터가봐줬는데요
    올케가 반찬을 사두기도하고 간단한 생선같은건 해드시고
    사드시는거좀 그렇다할땐 국정도 올케가 끓여놨어요
    동생네도 늦게오는직업이라 거의사먹는집이예요
    그러다 조카도 일반식먹을쯤 아기거위주로 조금해놓거나
    시터가 간단한거는 해서주긴하는데 기본적으로 해놔야하더라구요

  • 4. 차려드실정도는
    '18.2.7 12:35 PM (223.62.xxx.16)

    준비해둬야해요ㅡ

  • 5. 원글
    '18.2.7 1:13 PM (112.152.xxx.114)

    감사드립니다.

  • 6. ..
    '18.2.7 1:28 PM (121.137.xxx.215)

    시터랑 상의해 보세요. 원글님 댁이 집에서 식사를 자주 만들어 먹지 않는데 시터분 식사는 식재료를 사다 놓는게 나을지 식대를 드리는게 나을지. 냉장고에 기본 반찬이 있는 집이면 알아서들 드시던데 그렇지 않은 경우니까 상의해보셔도 될듯 싶네요.

  • 7. 라일락하늘
    '18.2.7 1:52 PM (220.75.xxx.87)

    케이스마다 달라서 상의 먼저 하셔야돼요. 국가에서 하는 돌보미 서비스는 음식을 마련해둬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고용했는데 .. 어른/아이 재료 좀 사두면 아기 반찬 하시면서 같이 마련해서 드세요 (예, 소고기 무국, 미역국 등등). 어른 반찬이랑 간식 (빵, 과일, 견과류)은 따로 제가 좀 사두고요.

  • 8. 라일락하늘
    '18.2.7 1:53 PM (220.75.xxx.87)

    그리고 약간 간단히 해드실 수 있는 것들, 라면이나 레토르트 우동 같은 것도 좀 돌려가며 사두면 잘 드세요. 친정엄마 협조로 김장 김치 정도는 늘 있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80248 은 시세는 어디서? 2 궁금 2018/02/16 617
780247 중국차(tea) 잘 아시는분 15 ㅇㅇ 2018/02/16 2,208
780246 문고판책도오래소장할수있나요??? 2 tree1 2018/02/16 662
780245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2 ar 2018/02/16 383
780244 SBS 스켈레톤 윤성빈 3차 시작했어용 3 기레기아웃 2018/02/16 1,567
780243 이명박 재산관리인 구속이ㅎㅎㅎ 11 ㄱㄴㄷ 2018/02/16 2,885
780242 文대통령, 中국민에 설날 인사…"양국 함께할 일.. 9 ........ 2018/02/16 1,208
780241 르몽드, 북한이 순진한 한국 이용? 틀린 생각 1 기레기아웃 2018/02/16 1,562
780240 수호랑 마스코트 3 민낯 2018/02/16 1,692
780239 명절마다 아프다고 누워있는 남편 꼴보기싫어요 11 ... 2018/02/16 4,172
780238 남편/아들이 처가와(가)서 일만 실컷 했다더라.. 하는 건? 9 ㅂㅈㄷㄱ 2018/02/16 3,209
780237 부모님께 세배는 큰절 드리면 되죠? 6 갑자기 헷갈.. 2018/02/16 1,429
780236 마크제이콥스나 마크 바이 신발 사이즈 잘 아시는 분 2 김ㄹ 2018/02/16 1,010
780235 강릉 올림픽파크(평창경기장) 다녀왔어요. 6 지기 2018/02/16 2,592
780234 남친의 선물 때문에 싸웠어요 조언 부탁드려요 93 .. 2018/02/16 23,807
780233 " '장모님'대신 '어머님'으로 부르세요" 4 내말이 2018/02/16 3,023
780232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도전해볼 기회가 주어졌다면 2 선택 2018/02/16 1,189
780231 한겨레 만평 뒤늦게 보고 눈물이 펑펑 - 김대중 노무현.. 8 눈팅코팅 2018/02/16 3,344
780230 음력설의 수난사 1 세상에 2018/02/16 1,143
780229 해외에서 1 질문 2018/02/16 656
780228 프랑스 국민 여배우 이자벨 아자니 최근,, 19 ㅇㅇ 2018/02/16 24,263
780227 영어권 국가 자격증 취득 2018/02/16 685
780226 부부중 한명이 미국 영주권있는경우 가족이민이 되나요? 8 ... 2018/02/16 3,854
780225 긴머리해본지가... 1 달팽이호텔 2018/02/16 1,178
780224 살려달라외치면서 깼어요. 댓글 좀 부탁드려요 12 혼비백산 2018/02/16 3,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