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살림초보인데요..

... 조회수 : 701
작성일 : 2018-01-11 12:11:05

부모님그늘에서 살다가 마흔 중반에 결혼해서 살림이라는걸 한지 몇달안됩니다.

살림에 1도 몰라요. ㅠㅠ

맞벌이고 저는 도시락을 싸가지고 다녀요.

도시락 밥이 젤 문제더라구요. 두번째는 식재료 양. 버려지는게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에 좌절..ㅜ

처음엔 저녁에 예약취사하고 아침에 밥을 담아갔습니다.

문제는... 양 조절이 잘 안됩니다. 저녁먹을꺼 까지 한다고 해도 안먹게 되는 날이 부지기수...ㅜ

그러면 찬밥... 그러다 음식물쓰레기... 반복....

아..이건 아니다싶더라구요.

전기밥솥이 전기요금 젤 많이 먹는다고도 하고.. 버려지는것도 아깝고...

그 다음 자구책으로 그럼 냉동밥으로 가자...

자..그러면 여기서 또 고민. 엄마한테 건강에 대한 주의를 귀에 딱지앉게 듣고 살아서, 밀폐용기도 이래서 안되고 저래서 안되고...-_- 렌지에 돌리면 안좋고..... 아이고

렌지가능용기를 몇번 쓰다가.... 이것도 환경호르몬이 나올텐데......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고..

그러다가, 무거워도 건강을 생각해야지 싶어서 락00 유리용기를 샀는데.......

아놔~ 너무 무겁네요 ㅠ

전기밥솥 계속 돌려도 생각보다 전기요금 안먹나요? 그러면 그냥 예약취사로 다시 돌아가려구요.

2인 가족은 식재료도 조금씩 자주 사는게 맞겠죠.

솔직히 시간도 많이 없어서 장볼때 사놓고 싶어요.

 경제적 / 시간적으로 아끼는 노하우는 언제쯤 알게될까요.


IP : 211.32.xxx.210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전기밥솥에
    '18.1.11 12:34 PM (1.229.xxx.214)

    예약취사하고 코드를 빼 놧다가 다음에 먹을때 재가열이나 전자렌지 돌려 먹어도 요즘 날씨에 이틀정도는 괜찮던데요 반찬은 도시락반찬 밑반찬으로 주말에 몇개 준비해 놓고 조미김 쟁여 놓고 하면 일이 쉬워집니다 장도 인터넷쇼핑 홈플같은데서 하면 야채든 과일이든 집앞까지 배달해주니 편해요 살림은 하다보면 늘어요 요령이 생겨요

  • 2. 밥은
    '18.1.11 1:43 PM (211.193.xxx.135) - 삭제된댓글

    윗님처럼 예약취사하고 코드 빼고, 바로 다음끼 먹을 때 재가열이나 전자렌지 돌리는데.
    혹시나 며칠 후에 먹을지 모른다면.
    밥 먹고 한김 나가면 비닐봉지에 담아서 냉동실 보관해요.
    2-3일은 냉장고에 용기에 담아 보관했다가 전자레인지에 돌려 먹어도 되고요.
    안전한 것은 냉동실 보관했다가 데워 먹거나...
    그냥 냉동밥에 물 부어서 끓여 먹기도 해요.
    냉도 밥 그릇에 연연하지 마시고요.
    식은 후에 1회용 비닐봉지에 담는 것은 그리 환경호르몬 나오지 않아요.

    레인지에 데울 때는 넓은 그릇에 냉동밥을 담고,
    다른 대접으로 뚜껃 덮고 돌리세요.

    또는 찜기에 냉동밥을 쪄도 됩니다.

  • 3. ,,,
    '18.1.11 2:22 PM (121.167.xxx.212)

    전기 밥솥에 밥하고 24시간 보온으로 놓고 사용 하는데
    한달에 이만 얼마나 삼만원 안에서 전기료 내요.
    찬밥 먹기 싫고 밥해서 다른 그릇에 퍼 놨다가 전기렌지 돌리고
    하는 것도 귀찮아서요. 40년 가까이 보온으로 해 놓아도 전기 요금 많이 안 나와요.
    정수기 스타일러만 없고 웬만한 전자 제품은 다 사용해요.
    건조기 식기 세척기 전기렌지 사용하고 있어요.
    아마도 많이 나와도 오천원 이하일거예요.
    요즘 코드에 꽂으면 전기 소비량 체크되는 게 있는데 전기 밥솥 보온으로 해 놓고
    체크해 봤는데 많이 안 나와요
    오천원이면 하루 이백원 꼴이라 전 사용 해요.
    평상시 전기료 오만원 이상 나오는 집은 생각해 보시고요.
    삼만원 이하 나오는 집은 큰 상관이 없어요.
    오천원도 크다 하면 사용 못 하는거구요..

  • 4.
    '18.1.11 7:32 PM (112.186.xxx.156)

    저도 직장에 도시락 싸가요.
    밥은 전기압력밥솥에 해서 밥 용기에 덜어서 식힌 다음에
    하루 이틀 새에 먹을 건 냉장고에 두고 더 두고 먹을 건 냉동실에 둡니다.
    전 밥 할때마다 아주 싹 다 용기에 덜고 밥솥을 비워요. 안 그러면 저는 잊어버려요. ㅠ ㅠ

    전 아주 오랫동안 도시락 싸서 다녔거든요.
    밥 용기가 다양해요. 유리도 있고 보통 락앤락도 있어요.
    유리에 있는 건 직장에서 그냥 전자렌지에 돌리고
    플라스틱 용기에 있는 밥은 직장에서 식기용 대접(도자기)에 옮겨담고서 전자렌지에 돌립니다.

    전 이런 식으로 현미잡곡밥을 매일 먹으니까 그것만 해도 제 건강에 많이 도움이 되어요.

    식재료 버리는게 많다는건 쇼핑을 계획적으로 하고 있지 못하고 냉장고 관리가 부실하다는 말이예요.
    애초부터 딱 먹을만큼만 사고,
    그래도 재료가 남는다 싶은건 그때그때 씻어서 다지거나 데치거나 해서 바로 쓸 수 있게 냉동해둡니다.
    솔직히 이건 하다보면 느는 것이니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도시락 반찬을 만들 때 식재료 오래된 것 부터 만들면 절대 버리는 거 없게 되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7098 '뿌리' 찾다 고독사 입양인 쓸쓸한 장례..다시 노르웨이로 1 샬랄라 2018/01/11 1,404
767097 골든디스크 시상식 어제 몇시까지 했는지 아시는분? 4 ... 2018/01/11 760
767096 주민센터 새마을 문고 사서? 21 2018/01/11 2,656
767095 팥죽을 망쳤어요 11 으윽 2018/01/11 2,417
767094 커파 자주 마시는 분들께 4 호호 2018/01/11 2,982
767093 낼모레 대장내시경인데 라면 안되겠죠? 5 에고 2018/01/11 12,488
767092 안철수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옳은 조치인지 의문&q.. 10 오~예~ 2018/01/11 2,278
767091 초등학생 반에 전업맘랑 워킹맘 비율이 어느정도 되나요?? 24 ..... 2018/01/11 5,268
767090 아이라인 반영구하다가 각막 손상(펑) 9 아이라인 2018/01/11 5,246
767089 요즘 마음이 외롭고 힘든데요.. 4 .. 2018/01/11 2,187
767088 Kfc 굳~~~~ 11 ㅅㅅ 2018/01/11 3,587
767087 숭문고는 자사고인가요? 일반고인가요? 7 ... 2018/01/11 1,286
767086 투자, 재테크 고민 ... 2018/01/11 752
767085 미대 건대 글로컬, 동덕여대 중 나은 곳은? 9 2018/01/11 2,695
767084 고3 수학교재문의요 4 메이 2018/01/11 800
767083 오래된아파트 빨리파는법 도와주세요 11 이사 2018/01/11 7,245
767082 남편차 타기 싫어서 머리가 아픕니다. 12 타기싫어 2018/01/11 5,619
767081 가입한 보험보장을 전부 체크하려면 어디에 알아봐야할까요? 6 .. 2018/01/11 919
767080 힐링이 필요할 때 뭐하세요? 18 지친다 2018/01/11 4,658
767079 '영부인 옷값 수억'거짓말 정미홍 검찰 송치 10 richwo.. 2018/01/11 2,379
767078 가상통화 '검은 목요일'..사실상 '휴지조각' 가능성/5시2분기.. 23 그냥 2018/01/11 4,636
767077 석류깍는법 2 .... 2018/01/11 1,176
767076 연말정산... 아시는 분 도움부탁 드립니다 3 연말정산 2018/01/11 1,336
767075 재무상담 받을껀데요..답례로 뭐가 좋을까요? 6 고민 2018/01/11 668
767074 오렌지쥬스 어디게 제일 맛있나요? 13 요새 2018/01/11 2,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