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구줄면 수요도 줄어든다는 착각에 대하여

경제를알자 조회수 : 1,226
작성일 : 2017-12-29 16:56:53

http://v.media.daum.net/v/20171229153902031?f=m&rcmd=rn
IP : 175.198.xxx.19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2.29 5:14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고급화되는 대신에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2. 그냥
    '17.12.29 5:15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 3. ..
    '17.12.29 5:1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 4. ..
    '17.12.29 5:21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꿈과 같은 거죠. 일단 먼저 앞선 것이 매력이고요.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5. ..
    '17.12.29 5:22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최저임금 노동자와 최저 기초생활비 지출 인구..의 감소는 문제가 되겠죠.
    대부분은 고급화되겠지만, 기초생활에 들어가는 생필품의 수요가 줄면 그런 제품군을 만드는 기업군은 타격이 되죠.

    다이아몬드 수요는 지극히 많지만 공급이 워낙 적어 높은 가격을 형성한다.

    이건 오류가 있네요. 높은 가격 때문에 수요가 적은 거죠. 수요의 개념 자체를 흔들어 버리네요.
    귀금속 가게 가면 다이아몬드는 항상 있어요. 사람들이 원하는 게 수요예요? 살 수 있는 여건의 사람이 사려고 돈을 내는 게 수요지. 라면 가게 가격이 2배로 오르면 수요가 2배로 올라요. 실제 먹는 사람은 절반도 안되니, 수요는 절반이 되지. ㅠㅠ
    다이아몬드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경제에서 절대로 일어나지 않죠.
    수요가 높아지면 공급이 높아집니다.
    스마트폰이 잘 나가면 애플 말고도 삼성, 엘지가 다 뛰어듭니다. 금방 수요를 맞추거나 초과해 버리죠.

    글 내용은 맞는 내용이죠.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 6. ..
    '17.12.29 5:26 PM (118.216.xxx.200) - 삭제된댓글

    독일이나 스위스 .. 이런 곳은 높은 이윤이 남는 제품을 생산하고, 기업과 노동자는 그런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소비하고.. 노동자는 임금이 매우 높고.. 계속 선순환이 되죠.
    이런 나라들은 환상이죠. 다른 나라보다 앞선 것이 가장 큰 경쟁력이죠.. 과연
    모든 나라들이 비슷한 경쟁력을 가진다면, 그때도 높은 이윤이 남을지 그게 의문이네요.
    저런 진정한 선진국들 외에는 양 띠기 , 숫짜 띠기.. 머릿수 띠기..라 인구가 줄면 기업이 국가에 압박하겠죠.
    세금 걷어서 인구 증가 계획에 돈을 붓는 것은 그런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인데,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 돈을 이미 태어난 국민 한명한명의 교육의 질을 올려주면,
    고급인력으로 성장해, 부가가치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경쟁력이 올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죠.
    인구증가 정책은 국민 개개인에게는 손해를 끼친다는 거.

  • 7. 당연한 거
    '17.12.29 8:58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인구 줄면 소비 주는 거 당연해요.

  • 8. 당연한 거
    '17.12.29 9:00 PM (110.70.xxx.183) - 삭제된댓글

    아니 도무지...
    그럼 고급 럭셔리 레스토랑은
    할머니 휠체어, 할아버지 지팡이로
    가득 차 있어야겠네요.
    고가사치품은 노인들이 주 타겟이겠어요.
    그것도 60대나 아주 건강한 70대나 가능하죠.
    저희 부모님 70대인데
    한분은 관절염, 한분은 고혈압으로
    집에서 나물이랑 밥 먹는 거 좋아해요.
    노인들은 롤렉스 시계도 무용지물이에요.
    노안으로 침이 안 보여요.
    자동차 오래오래 타요.
    지하철 무료라 굳이 자가용없어도 되고요.
    유행에 관심이 없어요. 여행 멀리 못가요.
    게임 못하고 전자제품 관심없어요.
    인구 주는 게 아니라 젊은 층이 주는 게 문제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62960 소주가 달게 느껴지는날이 오네요 7 아딸딸 2017/12/30 2,222
762959 근데 박명수는 왜 자꾸 웃는거예요? 2 .. 2017/12/30 4,542
762958 바람난 남편이.. 48 붕어빵 2017/12/30 22,183
762957 낸시랭 직업이 행위예술가죠? 5 ㅡㅡ 2017/12/30 2,621
762956 1987영화, 초4 아들과 보기에 무리일까요? 7 영화 2017/12/30 1,452
762955 가요대축제...심신 닮은..mc는 누군가요?.... 5 ㄷㄷㄷ 2017/12/30 3,240
762954 연예인들은 다 치아교정 후 나오는 건가요? 4 2017/12/30 3,289
762953 전현무 최고... 38 뿡돌맘 2017/12/30 20,104
762952 정말 오래된 김치류 먹을 수 있나요? 7 시야 2017/12/30 2,067
762951 낮에 체온이 거의 미열이에요.ㅜㅜ 6 걱정 2017/12/30 3,206
762950 노부부 노령연금으로 생활안되나요? 9 .. 2017/12/30 4,857
762949 현아, 지디, 김완선의 공통점 7 YJS 2017/12/30 5,313
762948 넘 추워요.....하체를 따듯할게 할수있는 바지나 방법 좀 추천.. 26 ㅠㅠ 2017/12/30 4,801
762947 남편의 비아냥, 짜증이 너무 짜증나는데 제가 이상해요.. 3 .. 2017/12/29 1,880
762946 무대체질인 사람들은 뭐가다른가요?? 6 ㅇㅇ 2017/12/29 1,757
762945 방탄...무대에서 쓰러질 것같아요............. 35 ㄷㄷㄷ 2017/12/29 9,341
762944 뼛속까지 외롭습니다 28 2017/12/29 5,134
762943 BTS 부르는 노래 15 아짐 2017/12/29 3,030
762942 진로에 대한 고민이 듭니다.. 2 .. 2017/12/29 968
762941 생각이 과하게 많아요 8 yy 2017/12/29 2,001
762940 트와이스 많이들 좋아하네요 14 ㅇㅇ 2017/12/29 3,189
762939 올해 무한도전이 상 전멸이네요 20 .. 2017/12/29 8,208
762938 무료로 영화볼 수 있는 사이트 없을까요 8 무료 2017/12/29 2,372
762937 수영 혼자 하니까 심심하네요 11 수영좋아 2017/12/29 3,430
762936 유학에서 1년과정이 뭘까요? 8 .. 2017/12/29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