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재인케어 찬성하는 의사도 있나요?
중년이상급 의사들이 주로 나왔더라구요
의료계아는이가 없어서...
문재인케어 찬성하는 의사도 있는지 급궁금이요
찬반이유도 궁금해요.
1. ㅡㅡ
'17.12.10 9:09 PM (123.108.xxx.39)중년 아저씨들이야 누릴것 다누렸지만
인턴 레지던트 의대생들 미래가 불투명해진거죠
그래도 의대 입결 높을 거에요.2. 없어요
'17.12.10 9:11 PM (218.150.xxx.42)없어요
의과생 ㅍ케이 수련의들은 아직실감안나서 그래요
개업의들은 바로아니까 그런거구요3. ...
'17.12.10 9:18 PM (59.12.xxx.4)그래도 잘먹고 잘사니까 다들 의대갈려고 달려드는거 아닐까요?
4. ...
'17.12.10 9:39 PM (58.146.xxx.73)보험확대이후엔 바로 심평원
보험의료비 삭감이 따를테고
의사 한사이클 바뀌면 환자들도 보험진료는 쇼핑못하는 시기가 오겠죠.
의료재정약화되면 의사들 수도 조절되고
유럽처럼 되겠고요.
지금처럼 미국식 서비스를 유럽식으로 제공한다는게
무리죠. 언젠가는 변화가 와야될일.
일조금하고 투자적게하고 돈 덜벌면
그래도 의사되겠다는 사람이 있겠죠.
지금처럼 최고성적학생은 아닐지라도.5. 아예
'17.12.10 10:03 PM (223.62.xxx.95)영국처럼 공무원화 시켜서 월급받고, 휴가, 복지 보장하고, 의료비는 적자가 나든 어쩌든 나라에서 책임 관리한다면 찬성하는 사람들 있을겁니다.
6.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7.12.10 11:03 PM (223.62.xxx.95)7. 있어요
'17.12.10 11:19 PM (115.140.xxx.241) - 삭제된댓글문케어 찬성하는 의사 있습니다.
문케어는 공공성 강화가 그 핵심이기에 공공성 강화에 찬성하는 의사들 있습니다.
문케어 밑그림에 참여한 사람들도 의사입니다.
수가 현실화 문제 너무 중요해서 그 상황 응원하고 있었는데 비대위 하는 것 보면 그냥 밥그릇 싸움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처럼 보이고요,
문제 해결하고 싶으시면 정부와 대화하세요. 윤서인 웹툰이나 들이밀지 마시고요.8. 문케어
'17.12.10 11:37 PM (223.62.xxx.95)밑그림에 참여한 사람들은 의료관리학 전공한 사람들이라 임상경험이 없고 의료현장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절실한지 모르죠. 이국종 교수님도 답답해 하시던게 그런거죠. 그분들은 의사면허가 있긴하지만 오히려 행정가에 가깝습니다.
저도 다른 사람들의 파업은 밥그릇 싸움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누가 남의 밥그릇을 걷어찰 수 있나요. 그 사람들의 요구나 주장을 심도있게 공부하기전에는 밥그릇싸움이라 쉽게 부르지 않습니다.9. 있어요
'17.12.10 11:37 PM (115.140.xxx.241)문케어 찬성하는 의사 있습니다.
문케어는 보장성 강화가 그 핵심이기에 보장성 강화에 찬성하는 의사들 있습니다.
문케어 밑그림에 참여한 사람들도 의사입니다.
수가 현실화 문제 너무 중요해서 그 상황 응원하고 있었는데 비대위 하는 것 보면 그냥 밥그릇 싸움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처럼 보이고요,
문제 해결하고 싶으시면 정부와 대화하세요. 윤서인 웹툰이나 들이밀지 마시고요.10. ...
'17.12.10 11:46 PM (115.140.xxx.241) - 삭제된댓글네. 맞아요 밥그릇 걷어찰 수 없고 밥그릇 싸움도 숭고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요, 그런 싸움을 국민건강수호라고 포장하지 말아주세요.
북한 병사 안내려왔으면 어쩔뻔 하셨는지. 윤서인이나 최대집 내세우며 집회하는 분들이
이국종 교수 운운하시는 것도참. 도대체 그들 중 몇 프로가 이국종 교수 같은 분들인가요.
아울러 이국종 교수가 언급한, 국회에서 유일하게 진심으로 중증외상센터 설립을 위해 노력했다는 전문위원인 허윤정 교수도 문케어 밑그림에 참여한 분이죠.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시면 정부와 대화하세요. 도대체 지금까지 의사들이 보장성,공공성 강화를 위해
뭐 얼마나 저런 집회를 열었던가요? 의료 공공성,보장성 강화를 위해 목소리를 얼마나 높였던가요?
그런데 이제 와서 무슨 국민건강수호입니까.11. ....
'17.12.10 11:59 PM (115.140.xxx.241)네. 맞아요 밥그릇 걷어찰 수 없고 밥그릇 싸움도 숭고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요, 그런 싸움을 국민건강수호라고 포장하지 말아주세요.
그리고 북한 병사 안내려왔으면 어쩔뻔 하셨는지.
매번 이국종 교수 운운하시는 것도;;;. 도대체 그들 중 몇 프로가 이국종 교수 같은 분들인가요.
아울러 이국종 교수가 언급한, 국회에서 유일하게 진심으로 중증외상센터 설립을 위해 노력했다는 전문위원인 허윤정 교수도 문케어 밑그림에 참여한 분이죠.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시면 정부와 대화하세요. 도대체 지금까지 의사들이 보장성,공공성 강화를 위해
뭐 얼마나 저런 집회를 열었던가요? 의료 공공성,보장성 강화를 위해 목소리를 얼마나 높였던가요?
그런데 이제 와서 무슨 국민건강수호입니까.12. 비대위에
'17.12.11 12:08 AM (223.62.xxx.95) - 삭제된댓글그분만 있는게 아닙니다. 그분에 포커싱해서 박사모?로 몰아가는 포털 댓글들이 목적이 있다고 밖에 생각이 안됩니다. 실제로 그런 시선을 불편해하는 의사회원들도 많아 정치색을 드러내지않고 집회 준비과정에만 도움을 주겠다고 하신걸로 알구요.
의사들이 제도에 불합리함을 이야기한다고 정부에서 들어준다고 생각하시나요. 건정심이라는 수가결정기관의 수가 결정과정을 아시나요. 정부가 수가를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2% -> 이걸론 정말 어렵다 안된다고 함 -> 받아들이지 않았으니 패널티 당첨. 1% 인상. 이게 현실입니다.
이 집회가 왜 국민건강수호인가라는건 총액계약제와 포괄수가제를 공부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의료관리학 사단의 최종 목표는 총액계약제입니다. 별로 믿지는 않으시겠지만 의사들은 환자의 병을 진단해내고 치료했을 때 보람을 느낍니다. 최선의 치료방침을 택하고 최상의 결과를 얻고싶은게 의사의 직업적 욕심입니다. 총액계약제의 목적은 의료비 통제입니다. 그 아래에서 의사는 부족한 예산을 갖고 획일화된 보급형 의료를 할 수 밖에 없을거구요. 보장성의 목적에는 부합할지 모르지만, 의사로서는 최선의 진료에 대한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습니다.
저놈들의 이야기는 믿을 수가 없다고 생각하신다면 저도 어쩔 수 없네요. 하지만 지금 나서지 않으면 나중에 부끄러울 것 같아서 나선 사람들인건 사실입니다.13. 비대위에
'17.12.11 12:19 AM (223.62.xxx.95)그분만 있는게 아닙니다. 그분에 포커싱해서 박사모?로 몰아가는 포털 댓글들이 목적이 있다고 밖에 생각이 안됩니다. 실제로 그런 시선을 불편해하는 의사회원들도 많아 정치색을 드러내지않고 집회 준비과정에만 도움을 주겠다고 하신걸로 알구요.
의사들이 제도에 불합리함을 이야기한다고 정부에서 들어준다고 생각하시나요. 건정심이라는 수가결정기관의 수가 결정과정을 아시나요. 정부가 수가를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2% 인상 -> 이걸론 정말 어렵다 안된다고 함 -> 받아들이지 않았으니 패널티 당첨. 1% 인상. 이게 현실입니다.
이 집회가 왜 국민건강수호인가라는건 총액계약제와 포괄수가제를 공부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의료관리학 사단의 최종 목표는 총액계약제입니다. 별로 믿지는 않으시겠지만 의사들은 환자의 병을 진단해내고 치료했을 때 보람을 느낍니다. 최선의 치료방침을 택하고 최상의 결과를 얻고싶은게 의사의 직업적 욕심입니다. 총액계약제의 목적은 의료비 통제입니다. 그 아래에서 의사는 부족한 예산을 갖고 획일화된 보급형 의료를 할 수 밖에 없을거구요. 보장성의 목적에는 부합할지 모르지만, 의사로서는 최선의 진료에 대한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습니다.
저놈들의 이야기는 믿을 수가 없다고 생각하신다면 저도 어쩔 수 없네요. 하지만 지금 나서지 않으면 나중에 부끄러울 것 같아서 나선 사람들인건 사실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779419 | 내일시댁갈생각에 잠은 안오고 위집애는울고 1 | 음 | 2018/02/15 | 1,975 |
779418 | 아무렇게라 말하는 사람들.. 일정 부분 소시오패스겠죠? 4 | 막말러 | 2018/02/15 | 1,871 |
779417 | 보드게임 추천해주세요 6 | ㅇㅇ | 2018/02/15 | 1,045 |
779416 | 오늘 저녁비행기로 방콕가요 20 | 태국 | 2018/02/15 | 5,316 |
779415 | 굴비찔때 쌀뜨물이 없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 | ca | 2018/02/15 | 1,459 |
779414 | 여행가서 숙박하는데 돈아끼지 말아야겠어요 7 | 후덜덜~~ .. | 2018/02/15 | 5,329 |
779413 | 문래동 카이스트 전화벨 7 | 저놔바다라 | 2018/02/15 | 3,697 |
779412 | 뉴비씨만평 2 | ar | 2018/02/15 | 639 |
779411 | 갑자기 몸이 미친듯이 가려워요. 5 | .... | 2018/02/15 | 4,288 |
779410 | [장준하특별법제정 100만인서명운동]을 다른 사이트로 2 | 오유 | 2018/02/15 | 493 |
779409 | 지금 tvn 어쩌다어른에 강형욱씨 나와요 3 | 강형욱 팬 | 2018/02/15 | 3,279 |
779408 | 강화도 | *** | 2018/02/15 | 585 |
779407 | 한숨 2 | .... | 2018/02/15 | 801 |
779406 | 광주 첨단지구 사시는분들께 여쭤요 3 | @@@ | 2018/02/15 | 1,222 |
779405 | 북한응원단, 김정은 코스프레 대박 ^^ 19 | ㅗㅎㅎㅎㅎ | 2018/02/15 | 4,443 |
779404 | 설연휴에 평창가세요 1 | 가고 싶다 | 2018/02/15 | 1,282 |
779403 | 시누이와 엇갈린? 며느님들 안부 전하시나요?? 6 | 음 | 2018/02/15 | 3,083 |
779402 | 한끼줍쇼 김수미 28 | ‥ | 2018/02/15 | 21,296 |
779401 | 인하대학교 자취생에게 조언 부탁드려요. 16 | ㅡ.ㅡ;; | 2018/02/15 | 3,824 |
779400 | 김치가 다 떨어졌는데 지금 담가도 될까요? 6 | 김치 없다 | 2018/02/14 | 2,248 |
779399 | 6세여아 물사마귀 자꾸 번져요..ㅠ 19 | 자갈 | 2018/02/14 | 7,642 |
779398 | 50대 여자분께 선물할 책.. 10 | 추천주세요 | 2018/02/14 | 2,209 |
779397 | 반편성 하니까 어렸을 때 기억나요 1 | ... | 2018/02/14 | 946 |
779396 | 언제 가야할지 애매해서요. 4 | 명절때 | 2018/02/14 | 1,096 |
779395 | (방탄팬분들만) 가온시상식 보셨어요??해도해도 너무하네요. 32 | 이런게적폐 | 2018/02/14 | 3,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