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학원은 몇 세부터 가는 게 좋을까요?

... 조회수 : 2,769
작성일 : 2017-12-07 13:58:25

여유가 많진 않아 사고력 수학 이런 거 못했어요. 구몬 좀 하다가 애가 반복연산 싫어해서 못했고..

초4 남아인데 초3까지는 80, 85정도 맞다가 지금은 95점 정도 맞는 거 같애요. 학교 시험에서 1개 정도 틀리는 정도..

5학년 수학이 어렵다고 들었어요. 지금은 저랑 그냥 문제집 2개, 연산 1개 정도 번갈아가며 조금씩 시키고 있는데요..

이번 겨울 방학부터 수학  학원을 다니는 게 나을까요? 빡세게 시키면 힘들어 하는 아이예요.

좀 징징거리고 엄살이 많은 타입? 복합계산 (괄호,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섞여있는) 연산하면 힘들다며 징징거리기도

하구요. 그래서 1페이지만 시켜요. 1주일에 2번 정도..

어떻게 수학을 하면 좋을지 방향을 좀 인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목고나 과학고는 생각하고 있지 않아요.

그래서 무리한 선행도 시키고 싶진 않구요..

IP : 113.30.xxx.7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리
    '17.12.7 2:21 PM (117.111.xxx.122)

    욕심 안내고 학교 진도 잘 따라가는 정도면 백점 맞는 수학이랑 눈높이나 연산 학습지 하나 이렇게만해도 충분할것 같아요~~~
    사실 5 6 학년은 연산실력 차이 나거든요

  • 2. ㄱㄱ
    '17.12.7 2:25 PM (117.111.xxx.78) - 삭제된댓글

    반복연산 싫어해서 못했고..
    ㅡ>싫어해서 냅두면 당연히 못함
    빡세게 시키면 힘들어 하는 아이예요.
    ㅡ> 어느 아이나 다 마찬가지
    연산하면 힘들다며 징징거리기도 하구요
    ㅡ>엄마한테나 징징거리죠.
    무리한 선행도 시키고 싶진 않구요..
    ㅡ>어느정도 선행은 되어있어야 중딩 때 그나마 따라갈 수 있다는.

    초등 졸업전에는 학원, 과외 시작합니다, 대부분.
    중딩 수학교과서 보면 꽤 어렵습니다.
    수포자들이 대체로 이 시기에 양산됩니다.

  • 3. ...
    '17.12.7 2:27 PM (220.75.xxx.29)

    특목고 과고 안 가도 중학교 가기전에 중등 끝내고 고등 가기
    전에 고등 끝내놔야 그 어마어마한 양을 감당합니다.
    그정도를 무리한 선행이라고 라고 하시면 안 됩니다.
    얘가 감당못한다는 걱정은 일단 시켜보고 하시는 걸로...

  • 4. ..
    '17.12.7 2:30 PM (180.224.xxx.157) - 삭제된댓글

    학년 올라갈수록 체감하게 될 거예요.

    연산은 그야말로 기본.
    문제 많이 풀어본 아이가 잘한다.
    초등학교 수학 백점은 별 의미가 없다.
    다른 과목과는 달리 수학은 아이가 공부할 의욕, 좋은 성적을 받고자 하는 욕심이 있어야 성과를 낸다.
    엄마가 붙잡아앉혀서 시키는 공부는 오래 못간다.

  • 5. 5학년
    '17.12.7 2:48 PM (58.122.xxx.137)

    저희 아이도 징징대는 4학년인데, 1학년 때부터 꾸준히 시켰어요. 단, 아이가 할 수 있는 만큼만요. 지금은 하루에 4쪽씩 꼬박꼬박 풀어요. 1학년 때는 1페이지도 하기 어려웠고 3학년 때는 손을 놓은 적도 있었어요. 공부습관 없는데 학원보낸다고 성과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이제라도 조금씩 조금씩 습관 들여보세요.

    다행인지 혼합계산은 내년에 다시 나와요. 새 교육과정이라서.
    선행하지 마시고 4학년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만 복습해보셔요. 저는 연산 복습 중이예요. 1,2월은 4학년 연산 복습하고 2월엔 배수와 약수 조금 시켜서 보내려고 해요.

  • 6. 집에서
    '17.12.7 2:55 PM (210.100.xxx.239)

    봐주시고 중학교때 보내세요.
    수학강사예요.

  • 7. 원글
    '17.12.7 2:56 PM (113.30.xxx.72)

    지금은 진도따라 하루에 2페이지 정도씩 풀고 있어요.. 항상 진도 따라 풀고는 있었답니다. 근데 선행을 미리 ebs로 시키려고 예전에 방학때 몇 번 해봤더니 안 배웠다면서... 안 배웠으니 하는 건데.. 심화 문제집은 못 풀어봤어요. 힘들다고 해서.. -_-;;

  • 8. 대체로
    '17.12.7 3:01 PM (118.220.xxx.166)

    6학년때부터 보내는게 좋더군요.

  • 9. ...
    '17.12.7 3:03 PM (180.70.xxx.99)

    5학년 겨울방학이요

  • 10. 중딩
    '17.12.7 3:19 PM (211.108.xxx.4)

    초6학년 2학기때나 겨울방학때요
    그때가서 중딩 선행 나가도 됩니다
    그전에 앞서가 선행 많이 해놔도 중딩 내신대비 또 계속 시험전에 해요 진도 빨리 해도 잊어버려요
    너무 앞선 선행은 시간.돈 낭비요
    대신 중딩가면 선행 심화까지 하고 고등선행은 몇번 봐야합니다

  • 11. 신기
    '17.12.7 4:15 PM (117.111.xxx.83) - 삭제된댓글

    중학교 들어가서 학원 보내라는 수학강사가 다 있네요.

  • 12. .......
    '17.12.7 4:26 PM (115.137.xxx.91) - 삭제된댓글

    초등수학은 학원을 보내야 할 필요성을 못느껴서
    초6때 보내서 중등수학부터 시작했어요
    초등수학은 연산과 개념이 대부분인데
    학원에 가서 문제풀이만 반복하면
    오히려 사고력이 안 늘것 같아서요

  • 13. 학원은 아직
    '17.12.7 5:28 PM (222.118.xxx.106)

    연산1-2장
    사고력수학 1-2장
    교과수학 1-2장
    가장 중요한 점은 매일하는 겁니다.
    그리고 주말엔 보드게임 추천합니다.

  • 14. 하이디
    '17.12.7 6:28 PM (39.115.xxx.210)

    울 딸이랑 아들도 6학년 겨울부터 시작햇어요.
    그 전에는 1학기만 앞서가는 정도로 집에서 엄마표로 풀어주었습니다.그러니 학교시험은 90점대로 봐왔고요.

    지금 대학생이랑 고딩인데.. 일직 시작해서 선행한 아이들보다 수학 잘해요.1등급 나와요.

    댓글중 수학강사님이 의견이 어떤 의도인지 알겠어요.
    일찍 초딩때 정석 다 끝내고 선행하는거 대부분의 아이들은 못따라가요, 그냥 진도 맞추는거지..
    내 아이가 2,3프로에 들어가는 영재가 아니라면, 울 아이들은 보토아이들보다 조금 좋은 정도였어요.이해력이..

    물론 5학년 수학은 중1때 과정이 그대로 나오는 기초과정이라 중요해요. 집에서 반복적으로 열심히 문제집 2,3개 정도 푼다면 충분해요.

    늦게 시작한 울 아이들이 수학 배우면서 더 흥미가지게 됐고..초딩때 없었던 이해력이 중딩 수학이랑 맞물리면서 심화과정까지 무난히 풀게 되더라구요.

    다른 과목보다 수학이 진도 빨리 뺄수있어요. 중딩때까진 고1과정 수학1,2 선행하였고.. 중3겨울부터 시작해서 고딩2초에 이과수학 진도 다 뺐어요.

    진도 다뺀다고 1등급 나오지 않아요.너무 조급한 생각 가지고 학습하시지 마시고.. 멀리 바라보시고 하시면 자제분도 덜 힘들게 학습할수 있을거에요.

  • 15. ..
    '17.12.7 8:34 PM (220.122.xxx.35)

    수학 선행 의견

  • 16. 원글
    '17.12.7 8:47 PM (113.30.xxx.72)

    좋은 의견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집에서 꾸준히 하다가 6학년때 생각해봐야겠어요..

  • 17. 하이디님
    '17.12.8 12:50 AM (211.108.xxx.4)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해요
    저희 아이들도 초6 2학기 넘어 보냈어요
    그전에는 집에서 문제집 2권정도 꼼꼼하게 제가 봐줬어요
    일찍 보낸다고 특히 초등생 선행진도 빠른거 좋은거 아니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9491 2018년이 곧 찾아와요. 2017년 가기전에 생각나는 연초 계.. 3 ㅇㅇ 2017/12/18 590
759490 기레기들 이번 중국방문에 미친듯이 훼방인게 12 친일매국노 2017/12/18 1,202
759489 성균관대 재학·졸업생, 황교안 동문 부끄러워 서명 돌입 7 고딩맘 2017/12/18 1,263
759488 FA 직업 연봉 좀 봐주실래요? 4 happy 2017/12/18 1,006
759487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10 .. 2017/12/18 1,532
759486 발삔 애들 매일병원가서 물리치로받나요? 5 정형외과 2017/12/18 773
759485 요즘 기자 인간들 보면 친일 하고도 남았게죠? 13 ... 2017/12/18 914
759484 신생아 4명 사망한 이대 목동 병원 대처 수준.jpg 12 .. 2017/12/18 5,387
759483 노래 찾아주세요(길모어걸즈에 나왔던 노랜데 ...) 2 ㅜㅜ 2017/12/18 585
759482 생애전환기 검진 안받은분 빨리 받으세요 9 .. 2017/12/18 3,469
759481 중경에서의 문재인 대통령 2 ... 2017/12/18 898
759480 중학생 핸드폰 사용 시간 제한 1 .. 2017/12/18 3,896
759479 몸이 너무 피곤하고 계속 안좋은 느낌인데..검진 어디서 받아야 .. 2 00 2017/12/18 1,574
759478 기레기들이 쓰레기 기사와 방송을 하는 이유는 5 ㅁㅁ 2017/12/18 600
759477 딸아이 미래직업 8 궁금맘 2017/12/18 2,362
759476 집밥백선생 레시피 변형된 것 말고 원래의 것은? 1 반찬고민 2017/12/18 871
759475 박진희 닮았다는 말..요 아래 박진희 예쁘냐구 그런 글 있어서... 14 aa 2017/12/18 2,151
759474 채널 에이,, 울나라 방송 아닌것 같네요 9 ㅉㅉ 2017/12/18 1,393
759473 82에 끊이지 않고 영원히 올라오는 사골 3대 질문. 26 ㅓㅓㅓㅓ 2017/12/18 5,196
759472 옆가게 여자랑 싸웠습니다 (고소장 접수) 22 ... 2017/12/18 8,847
759471 만화 신과함께.. 비싸도 볼만한가요? 9 볼까말까 2017/12/18 2,322
759470 감동, 국내 언론에서는 다루지 않은 문재인 대통령 혼밥 4 ㅇㅇㅇ 2017/12/18 879
759469 강철비 재밌네요.근데 대체 왜 영화관에서.. 3 .. 2017/12/18 2,306
759468 초등학생들...대형어학원 or 동네 일대일학원..어디가 좋을까요.. 4 아리송.. 2017/12/18 1,848
759467 유주택자는 청약저축을 사용할수 없는 건가요? 2 청약 2017/12/18 1,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