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학교 선택 좀 도와주세요~

고민맘 조회수 : 777
작성일 : 2017-11-29 14:37:47

아이가 중3인데 성적은 상위권이긴 한데 엄청 잘 하는건 아니고 반에서 5등안에는 드는 정도예요.

집에서 가까운 고등학교는 기숙도 하고 소위 잘 하는 아이만 모이는 일반고로특목고 떨어진 아이들이 많이 가고 시험도 특목고 수준이래요.. 작년엔 일반고 중에서유일하게 수능 상위30위권에도 들고 저희 동네가 학구열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전교생에 반정도가 인서울도 하더라구요..

아이도 여기 생각하고 아빠는 여기 보내고 싶다는데.. 저는 아이가 가서 내신 깔아줄까봐 걱정이되서요..

수시가 점점 확대되서 내신이 안받쳐주면 정시밖에 없는데 정시는 재수생이랑도 경쟁해야하고

그렇다고 내신 최상위는 어느 학교나 어려울거 같고 ..

첫아이 엄마고 직장맘이라 정보에 어두웠는데 교육설명회 가보니 일반고 사이에서도 변벌이 심해서

내신 받기 쉬운 일반고는 전교권이어도  수능이 안따라 주는데도 많고 반에서 2-3명만 깨어있고 다 잔다는 분위기에

놀자는 분위기라 저희아이도 워낙 분위기 타고 놀기를 좋아해 거기 가도 걱정이고..

그리고 내신받기 쉬운곳이 경쟁이 심해 추첨에서 떨어지면 더 먼데로 갈지도 모르고 오히려 잘하는 일반고는 작년에 모집미달이라네요.. 저는 당연히 잘하는 일반고로 몰린다고 생각했는데 아이친구들도 거기는 거의 안가는 분위기고 미달이어서 다른데서 떨어져서 잘하는 일반고로 배정되서 가게되면 아이들이 가기 싫어서 운다는 이야기도 들리네요..

대학 선택도 아니고 이제 고등 선택인데도  고민이 많네요ㅠㅠ

경험하신 분들 의견 좀 부탁드려요..^^




IP : 121.141.xxx.17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겪어보니
    '17.11.29 2:57 PM (114.204.xxx.212)

    잘하는 일반고 가면 수시는 어려워서 차라리 특목고가 낫다 싶을정도에요 특목고는 감안이나 해주죠
    그렇게 간 아이들 6논술이 주에요
    적당한 일반고가 좋은데...

  • 2. 고민맘
    '17.11.29 3:06 PM (121.141.xxx.179)

    그렇군요..적당한 일반고는 경쟁이 세서 떨어질 확률도 높아 40분 거리에 먼데로 갈 수도 있다네요ㅠㅠ

  • 3. 답을 딱
    '17.11.29 5:40 PM (58.140.xxx.107) - 삭제된댓글

    저는 아는데..^^
    근데 엄마들이 들어도 실행은 하지 않더라구요.

    지금 수시 성공하려면 내신이 너무도 중요해요.
    그런데 반에서 5등하는 성적으로 고등학교가서 잘하면 3등급할거예요. 인서울도 못하는거죠.
    열심히 하면 한서삼 정도예요.
    그런데 보통의 일반고에서는 그렇게밖에 못해요. 물론 예외도 있어요. 고등가서 죽기살기로 공부해서 전교권 하는 애도 있는데 100에 하나도 안돼죠.
    평준화 지역말고 비평준화 지역의 고등학교 중에서 학생수가 많고(10학급이상) 동네에서 평판이 나쁜 학교를 골라 보내는 거에요.
    지인들에게 이방법을 추천했지만 아무도 실행은 안하더라구요. 본인 아이가 그런 고등학교 다닌다는게 자존심 상하고...
    그래도 그런 학교가 어떤 학생에게는 대박을 줄수 있더라구요.
    지인 딸은 학생부 교과로 서성한 상위학교 최종합했어요. 중학교때 원글님 자녀보다 못한 성적이었어요.
    학생부 교과는 딱 내신성적만 보는 전형인데 다른 학교 상위권들은 내볼수 없는 전형이예요.
    잘하는 상위권 아이들끼리 석차가 자꾸 바뀌는 학교에서는 전교1등도 1.3을 넘어가는데(외고는 전교1등도 2등급이라죠)
    이 학교는 1.01이나 1.02가 가능해서 응시하는 전형이고요. 인서울 중상위로 합격합니다.
    특히 수능을 보지 않는 전형이 급속 증가해서 수능 응시할 필요도 없더라구요.
    그래서 올해 수능 결시율 최고 였죠.
    울 아이는 6개 전형에 수능 최저 있는게 두개였는데
    그나마 유의미한 건 한 학교 뿐이었거든요. 그니까 내신 좋으면 수능도 필요없어요. 지금은요.

  • 4. 답을 딱
    '17.11.29 5:41 PM (58.140.xxx.107)

    저는 아는데..^^
    근데 엄마들이 들어도 실행은 하지 않더라구요.

    지금 수시 성공하려면 내신이 너무도 중요해요.
    그런데 반에서 5등하는 성적으로 고등학교가서 잘하면 3등급할거예요. 인서울도 못하는거죠.
    열심히 하면 한서삼 정도예요.
    그런데 보통의 일반고에서는 그렇게밖에 못해요. 물론 예외도 있어요. 고등가서 죽기살기로 공부해서 전교권 하는 애도 있는데 100에 하나도 안돼죠.
    평준화 지역말고 비평준화 지역의 고등학교 중에서 학생수가 많고(10학급이상) 동네에서 평판이 나쁜 학교를 골라 보내는 거에요.
    지인들에게 이방법을 추천했지만 아무도 실행은 안하더라구요. 본인 아이가 그런 고등학교 다닌다는게 자존심 상하고...
    그래도 그런 학교가 어떤 학생에게는 대박을 줄수 있더라구요.
    지인 딸은 학생부 교과로 서성한 상위학과 최종합했어요. 중학교때 원글님 자녀보다 못한 성적이었어요.
    학생부 교과는 딱 내신성적만 보는 전형인데 다른 학교 상위권들은 내볼수 없는 전형이예요.
    잘하는 상위권 아이들끼리 석차가 자꾸 바뀌는 학교에서는 전교1등도 1.3을 넘어가는데(외고는 전교1등도 2등급이라죠)
    이 학교는 1.01이나 1.02가 가능해서 응시하는 전형이고요. 인서울 중상위로 합격합니다.
    특히 수능을 보지 않는 전형이 급속 증가해서 수능 응시할 필요도 없더라구요.
    그래서 올해 수능 결시율 최고 였죠.
    울 아이는 6개 전형에 수능 최저 있는게 두개였는데
    그나마 유의미한 건 한 학교 뿐이었거든요. 그니까 내신 좋으면 수능도 필요없어요. 지금은요.

  • 5. 답을 딱
    '17.11.29 5:49 PM (58.140.xxx.107)

    원글님이 걱정하는 분위기"내신 받기 쉬운 일반고는 전교권이어도 수능이 안따라 주는데도 많고 반에서 2-3명만 깨어있고 다 잔다는 분위기"
    이거 말인데요.
    전교권이 수능이 안따라줘도 지금은 최상위권 대학 합격이 가능하고요.
    다 잔다는 아이들 때문에 내신 대박이 터질수 있어요.

  • 6. 비평준화면
    '17.11.29 5:52 PM (203.233.xxx.130)

    서울은 다 평준화 인데, 경기도로 나가야 하는거네요.

  • 7. 고민맘
    '17.11.29 6:34 PM (180.229.xxx.49)

    그니깐 설명회 듣고 오니 수능은 이제 큰 의미없을거 같고 내신이랑 교내활동이 중요할거 같은데 아이가 워낙 분위기 잘 타서 마음을 다잡지 못하면 못하는 학교가서도 죽쓸거 같아서요...이쪽은 경기도라도 평준화되서 이사가기도 힘드네요.. 입시가 넘 어려워요 ㅠㅠ

  • 8. 진성
    '17.11.29 8:22 PM (122.37.xxx.47)

    광명시에 있는 진성이네요.
    저희애는 공부를 썩 잘하진 못하지만 수행도 그닥 챙기는 스탈이 아니라
    2지망으로 진성 쓸까 하고 있어요.
    1지망에서 떨어지면 거의 마지막지망에서 된다고 해서
    운*,충*정말 가기 싫어서..
    남자아이들은 진성 좋아하는 아이들도 많은데 여자아이들이 극혐해요.
    공부도 공부지만 아직도 머리는 귀밑 3센치 일정도로 학칙이 엄격한가봐요.
    저희애도 그래서 엄청 싫어하는데 1지망 안되면 운* 갈까봐 그냥 쓰기로 했어요. 2지망으로...

  • 9. 고민맘
    '17.11.29 9:42 PM (180.229.xxx.49)

    우째 아셨을까?? 역쉬 82네요 ㅋ 저희딸은 학칙이 엄격해도 간다고하는데 저만 걱정이네요...예전엔 수능만 잘 보면 되는데 내신땜에 눈치작전에 걱정이 많습니다.

  • 10. 진성
    '17.11.29 10:38 PM (122.37.xxx.47)

    아이가 간다고 하면 보내세요.
    내신쉬운 다른 학교도 분위기 휩쓸리고 수행 열심히 안하면 대학가기 쉽지 않겠던데요.
    운* 으로 떨어지면 혁신학교라 시험은 3과목만 보고 나머지 과목은 다 수행으로 내신낸다고 하던데....
    정말 고등 가기 힘드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5075 통영 섬 여행-비진도가 나을까요 소매물도가 나을까요? 5 2017/12/01 1,779
755074 법원 비판하는 판사출신 박범계 의원 트윗 1 (^^)/ 2017/12/01 732
755073 널린게 식당인데 맛있는 식당은 없다 7 ㅜㅜ 2017/12/01 1,584
755072 비비고 육개장2팩으로 재료 더해서 한솥 끓였어요 18 바람만 2017/12/01 5,251
755071 두명을 한번에 멕이는 유시민ㅋ 6 ㅋㅋ 2017/12/01 3,961
755070 마트 냉동볶음밥에 낚였어요 ㅠ 6 강빛 2017/12/01 2,688
755069 제 머리 상태에 대해 조언 좀 해주세요.. 4 자포자기상태.. 2017/12/01 1,146
755068 전철역 도보10분 거리 3 ... 2017/12/01 1,086
755067 속초 맛집 좀 추천해주세요^^ 17 속초 놀러온.. 2017/12/01 4,595
755066 스리랑카 대통령의 한글 트윗 .jpg 6 굉장합니다... 2017/12/01 2,516
755065 게츠비에서 게츠비가 나쁜일로 돈 벌었다는 게 어디 나와요? 8 ㅇㅇ 2017/12/01 2,408
755064 뱃살타파보다 더 힘든 게 힙 업 같아요.ㅜㅜ 6 네모난힙 2017/12/01 2,862
755063 김동철 "세비 인상 안 한다고 국회에 대한 인식 좋아졌.. 5 쓰레기 2017/12/01 753
755062 해외나갈 예정일경우 자녀 영어공부요 8 아웃 2017/12/01 913
755061 이탈리아 날씨 어떨까요 무스탕 오바일까요 4 ki 2017/12/01 1,151
755060 비혼의 연애 8 ... 2017/12/01 3,287
755059 노르웨이 최저비용으로 4인가족 1주일 9 2017/12/01 2,247
755058 강하늘의 기억의밤 보신 분~ 1 . 2017/12/01 2,175
755057 요즘 집 고치면 욕조는 거의 없애는 분위기인가요?? 16 dd 2017/12/01 6,176
755056 우리 시어머니는 며느리 칭찬받는게 그렇게 듣기 싫으신가봐요 5 총총 2017/12/01 2,681
755055 카톡대문에 당분간 연락하지 말아달라고 써 놓으면 5 어떨까여? 2017/12/01 2,671
755054 엘지전자 김치냉장고 불매운동 하고 싶어요. 30 재성마미 2017/12/01 9,626
755053 속상할때 읽었더니 후련해지거나 마음이 편안해졌던책 추천좀.. 3 thrt 2017/12/01 1,205
755052 아이가 16년전 재산상속받은것 증빙되나요? 3 사별의 2017/12/01 1,550
755051 이렇게 소고기값이 비싼게 명박때문인가요?? 7 아놔 2017/12/01 1,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