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난방비 아끼는 법 알려주세요.

... 조회수 : 5,983
작성일 : 2017-11-20 18:54:35

지역난방(열병합)이고 개별난방이에요.

새아파트인데 관리비가 좀 비싸서 난방비라도  아끼고 싶어요.

현재 난방 안튼 방은 18도고요.발 시렵고..좀 춥긴한데

니트 조끼입고 뜨끈한 차 마시면 괜찮고요.

안방은 20도로 맞추니 18도 방이랑 비교할때 넘 훈훈하네요.

주방에서 열선이 깔리는지 주방부터 안방가는 길도 따뜻하고요.

주로 주방과 안방에서만 생활해서 안방만 20도로 맞추로 살까 싶은데

1) 틀었다 껐다 하는것보다 그냥 온도 고정시켜놓는게 더 싼거 맞나요?

2) 더 아끼는 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33평인데. 관리비 19만원나오네요. (두식구에 한명은 거의 밖에서 씻어요.운동하느라..)

보통인가요?

IP : 1.224.xxx.1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인데
    '17.11.20 6:57 PM (223.62.xxx.132)

    난방비 포함 관리비 19만원이면 적게 나오는거 아닌가요?그리고 지역난방은 아주 약한온도로 늘 틀어 놓는게 더 적게 나올겁니다.

  • 2. 런투유
    '17.11.20 7:00 PM (218.232.xxx.65)

    다른 이야긴데요
    관리비는 대단지가 아주 싸요

  • 3. ...
    '17.11.20 7:04 PM (1.224.xxx.130)

    네..2000세대 같은 평수일때는 12~3만원 나왔었는데
    여기는 새아파트에 항목도 많고 세대수도 500여세대라 그런지..
    거의 기본이 20가까이네요.ㅜㅜ
    난방은 오늘 처음 튼거라 지난달까지는 급탕만 포함된 관리비로 봐야할거 같네요..

  • 4.
    '17.11.20 7:06 PM (49.167.xxx.131)

    세대수가 적음 더 나와요. 기본관리비가 비싸서 그래요.

  • 5. 절약
    '17.11.20 7:11 PM (175.208.xxx.26)

    켤 때 확 켜고 한 두시간 후에 꺼요

  • 6. 끄면
    '17.11.20 7:15 PM (118.36.xxx.241)

    다시 틀때 온도 올리기 위해 에너지소모가 많으니 켤때 확 켠 다음 어느정도 난방이 되면 은은한 온도로 유지하시면 됩니다.

  • 7. 실내온도 보다
    '17.11.20 7:17 PM (211.107.xxx.253)

    실내온도보다 1도 가량 높게 설정해두고 있음 불이 들어왔다 나갔다 해요 이렇게 했더니 난방비 별로 안나오더라구요

  • 8. 위에
    '17.11.20 7:22 PM (121.128.xxx.23)

    실내온도 보다 1도 가량 높게 설정해둔다면
    바깥날씨에 따라 실내 온도도 달리 해야하지 않을까요??
    저는 귀가 하면 실내 온도 보다 1도 높게 하기는 하는데
    아침에 외출할때는 전원 끄거든요.

  • 9. 지역난방만 17년
    '17.11.20 7:23 PM (14.39.xxx.205) - 삭제된댓글

    일단 관리실에 전화를 해서 유량식인지, 열량식인지 알아보세요.
    유량식이라면 한 방만 난방하는것과 모든 방을 난방하는것의 요금차이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모든 방을 동시에 켜고 동시에 끕니다. 이경우 안쓰는방을 잠궈놓는 의미가 전혀 없거든요.
    열량식이라면 사용하시는 방만 난방하세요.
    온도조절은 요즘난방조절기는 다양한 기능이 있읍니다. 조절기의 기능을 적절히 이용하심 좋아요.

  • 10. 지역난방만 17년
    '17.11.20 7:29 PM (14.39.xxx.205) - 삭제된댓글

    일단 관리실에 전화를 해서 유량식인지, 열량식인지 알아보세요.
    유량식이라면 한 방만 난방하는것과 모든 방을 난방하는것의 요금차이가 거의 없어요. 그러니 모든 방을 동시에 켜고 동시에 끕니다. 이경우 안쓰는방을 잠궈놓는 의미가 전혀 없거든요.
    열량식이라면 사용하시는 방만 난방하세요. 
    온도는 처음에 난방 올리셔서 집이 따뜻해진 이후로는 잠깐 돌았다 꺼졌다 하는 식으로 해두시는게 좋아요. 계속 돌리면 뜨거운 난방수가 들어왔다 나가버리는 식이라서요.
    요즘 온도조절기는 다양한 기능이 있어요. 그러니 설명서 잘 읽어보시고 맞는 방법으로 쓰심 됩니다.

    관리비는 19만원이면 많이 나오는건 아닌것 같은데요.

  • 11.
    '17.11.20 7:32 PM (39.7.xxx.46)

    담번에 이사를 정남향집으로하세요
    저 남향집으로이사와서 난방을 한번도 안했네요
    작년 겨울 생으로 났어요
    어떤날씨에도 항상 최소 20도 이상이었고
    밤에 잘때는 전기매트나 온수매트켜고 자니까
    필요없더라고요

    여름에도 시원해서 에어컨 덜켜고요

    남향집 강춥니다

  • 12. happy
    '17.11.20 8:05 PM (122.45.xxx.28)

    창문,베란다쪽 뽁뽁이 붙이고
    잘 때 난방텐트 쓰고
    양말, 털슬리퍼 신고
    두루 챙겨보세요.

  • 13. ,,,
    '17.11.20 8:34 PM (121.167.xxx.212)

    만약 난방을 한다면
    1. 항상 외출로 해 놓는다
    2. 실내 온도 21도인데 아침엔 추워요.
    23도로 설정해 놓고 1시간에 5분 돌아가게 한다(하루 2시간 난방 하는 셈)
    3. 외출로 항상 해 놓고 아침 저녁으로 한시간만 난방 하고 끈다.

    어느 방법이 난방비가 적게 나올까요?

  • 14. 온도설정보다는
    '17.11.20 8:39 PM (211.244.xxx.154)

    타이머 방식이 더 낫더군요.

    온도는 온도센서 민감도에 따라 과하게 도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요.

    저는 365일 온수모드하다가
    안방 보일러 컨트롤러 온도가 21도 되면 밤에 잘때 3~4시간 간격으로 반복설정해놔요. 그러면 아침에 22~23도 강화마루는 찬기가 없는정도로 돼요.

  • 15. 근데
    '17.11.20 9:13 PM (125.187.xxx.37)

    새아파트가 실내온도가 너무 낮은거 아닌가요?
    저희는 23도예요 10년됐는데
    엊그제 추운날은 22.5도로 내려가구요

  • 16. ..
    '17.11.20 10:16 PM (211.36.xxx.78)

    여기 새아파트인데 베란다확장.
    글쓴분 아파트 온도 왜그리 낮아요?
    지금 거실온도 21.5도인데 겁나 춥거든요ㅋㅋ
    원글님 안추워요? 20도로 해놓고 어떻게 겨울난데요?
    보통 훈훈하다 정도 말고 안춥다 정도로 하려면 22.5도는 되야 그리느껴지던데..
    저희 33평이고 겨울엔 안방만 난방해요.
    거실엔 모노륨전기장판 틀고 담요덮고 생활하구요.
    너무 추우면 23도로 돌려요. 그래도 그렇게 안따뜻한데..
    안방은 공간이 작아서 23도로 해놔야 훈훈느낌..

  • 17. ㅇㅇ
    '17.11.21 1:07 AM (14.37.xxx.202)

    10년 넘은 아파트 난방 안해도 20도
    오년된 아파트로 이사오니 안해도 22도인데 .. 정남향 아니고요
    원글님은 왜케 낮을까요?
    시간 설정 해 놓는게 가장 절약 하는 방법이라고 들었어요 ~ 너무 추우면 몸 상하는거 같아 요즘은 그냥 틀어오 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3849 입생로랑 가방 구매대행으로 사도 괜찮을까요? 1 dd 2017/11/28 1,465
753848 아직 모기가 있네요 6 ㅜㅜ 2017/11/28 723
753847 갑자기 맑은 분비물이 많아졌어요 4 뭐지 2017/11/28 3,794
753846 kfc 아메리카노 맛이 어때요? 1 치킨땡겨 2017/11/28 792
753845 구하라 얼굴 어디가 달라진거에요? 13 뭐지 2017/11/28 7,263
753844 전 왜이리 삐딱한걸까요 9 위인전 2017/11/28 2,493
753843 길냥이 밥을 불규칙적으로 주는 경우 문제가 될까요? 4 .. 2017/11/28 960
753842 프로필 사진 찍으면 비슷하게 나오는 편인가요? 4 프로필 2017/11/28 755
753841 우리 지도호랑이로 보이세요? 26 반도 2017/11/28 3,962
753840 생선조림에 청주 넣는 이유가 뭐에요? 13 궁금 2017/11/28 2,262
753839 호주 일주일 여행 가는데 챙기고 조심해야 할께 무엇일까요?? 6 tre 2017/11/28 1,458
753838 세월호 기억 교실에 다녀왔어요. 5 대만아짐 2017/11/28 680
753837 아이폰은 광고가 정말 7 아이 2017/11/28 2,983
753836 서양식 높은 침대 5 조언 좀 2017/11/28 3,151
753835 김장 끝내고 팔이 너무 아파서 보쌈도 못했네요 3 .... 2017/11/28 1,552
753834 자녀 명문대 보내신분들..자랑 좀 해주세요~ 14 부럽다 2017/11/28 4,351
753833 82에 방탄글이요. 회원이셨던분이 이제 아이돌에 눈떠서 그러신것.. 12 근데 2017/11/28 1,999
753832 동치미 무 다른 요리로 맛있게 먹는 방법 있을까요? 5 ... 2017/11/28 1,309
753831 오늘 유아인이 메갈들에게 쓴 긴글 78 ... 2017/11/27 8,794
753830 과식한날 하는 운동 & 18키로 감량 노하우 124 다이어트 2017/11/27 18,459
753829 요즘 피부 다들 어떠세요? 2 뒤집어진다 2017/11/27 2,156
753828 미술교습소 창업 조언 좀 부탁드려요. 9 ㅇㅇ 2017/11/27 1,909
753827 방탄BTS) 엘렌쇼 공식영상 떴어요.................. 3 ㄷㄷㄷ 2017/11/27 1,634
753826 주민세 안내면 어케되나요? 1 추징 2017/11/27 1,881
753825 팬티라이너만 면으로 바꿨는데도 생리통이 사라졌어요 3 .... 2017/11/27 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