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술형 채점관련

성적 조회수 : 1,341
작성일 : 2017-09-30 12:35:05
중2 아들
수학시험보고 와서는 만점이라고 엄청 좋아했어요
객관식은 답지가 바로 붙어서 확인했고 서술형 문제도 배점이 높았는데 다 맞았고 학원샘에게 시험지보냈고 답도 다 확인해줬답니다

반 친구들이 이번에 수학을 많이 못봤고 울음 터뜨린 친구들도 있어서 더더욱 뿌듯했다 해요
아이가 시험성적에 연연하거나 아주 열심히 스스로 하는 스타일은 아닙니다. 수학은 가장 잘하는 과목인데 이번에는 좀 열힘히 했고 반드시 만점 맞겠다고 해서 저를 감동시켰어요

그런데 서술형 채점결과가 나와서 봤는데 1점이 깎였대요
그래서 99점이 된거죠
99점 잘했고 답은 다 맞은건데 1점 감점된게 풀이과정에서
괄호 하나를 선생님이 보기에 너무 작게 되어 있어 괄호 닫은걸로 안보여서 감점 처리가 됐답니다
아이가 신중하게 풀다가 시간이 모자랐고 서술형도 많아서 시험지에 쓴거 답지에 옮겨 쓸때 볼펜으로 쓰다보니 틀리면 omr카드 바꾸기 힘들거 같아서 문제 하나에 괄호 열기는 제대로 쓰고 닫기했을때
작게 쎴나봐요 숫자와 부호등 길이가 길어서 답지에 다 흐기 힘들거 같아 글자를 작게 썼구요

저번 시험에서 풀이과정 한줄 빼먹어서 8점짜리중 무려 5점 감정 당했어요 답도 맞았고 풀이과정도 썼고 빼먹은건 연산부분이라
빼고 써도 되겠다 싶어 안썼는데 풀이과정 잘못된다 반이상 감정을 당한겁니다

그래서 이번에 신중했는데 또 자신은 분명 썼는데 잘안보이게 썼다고 1점이 감정되니 아이가 정말 억울하고 미치겠다는 심정입니다

만점자가 한명도 안나왔는데 자기가 만점아니냐고 하면서요
답 다 맞은 학생은 반에서 자기뿐이래요 그래서 더 억울하다면서요

제가 답지를 안봤고 시험지는 봤는데요
학원샘도 저번시험이나 이번시험 너무 타이트하게 채점했다
그정도는 맞다고 해줄수 있는 부분같다라고 하셔서 제 기분이 좀 더 그래요
아이에게는 다음에는 절대로 작은실수도 하지말라고 했는데요
타학교도 이렇게 채점하나요?

물론 수학이니 괄호가 중요하고 풀이과정 중요한건 인정하는데
좀 넘 한다라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어요
IP : 211.108.xxx.4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7.9.30 12:39 PM (175.223.xxx.143) - 삭제된댓글

    서술형 채점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엄청 꼼꼼하게 하세요.
    당장은 눈 앞의 성적이 우선 보이겠지만 고등까지 길게 보면 지금 훈련이 큰 도움 될 거예요.
    수리논술로 대학 가게 될 수도 있으니 몇 점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고 아이에게도 그렇게 얘기하세요.
    중등은 절대평가고 하니 고등 때를 연습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철저히 시키세요.
    아이가 전사고 가더니 중등 때 시험 어렵게 내고 채점 빡세게 하신 선생님들께 젤 감사한답니다.

  • 2. ..
    '17.9.30 12:44 PM (125.133.xxx.141)

    중2니까 연습했다고 생각하세요.
    학부모님들과 학생들은 정말 힘들어하는데
    그거 그래도 중등때 훈련이 되어있어야지
    대입에 직접 관련된 고딩때 훈련 안되어있어서
    감점당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거 진짜 미쳐요..
    넓게 보자고 아이 토닥여주세요.

  • 3. 중2딸
    '17.9.30 12:46 PM (222.110.xxx.32) - 삭제된댓글

    저희아이학교도 마찬가지예요.
    있어야할 과정 하나 빠지면 점수 많이 깍이고 그 외에도 많이 깎여요. 저는 수학 전공자인데 제가 봐도 이해하지 못할 감점도 있는데요, 아이에게는 학교선생님마다 채점기준이 있다고 다음에는 꼼꼼히 누구나 알아보게 쓰라고 합니다.

  • 4. 원글
    '17.9.30 12:50 PM (211.108.xxx.4)

    아..제가 잘못 생각했네요
    저번 시험에도 감정 많이 당하니 이번에는 풀이과정 열심히 썼더라구요
    지금 타이트하게 채점해주는게 감사한거네요

    멀리보면 이렇게 해주는거에 감사해야지 저는 반대로 생각했어요

    부끄럽네요 당장 점수에 연연한거

  • 5. ...
    '17.9.30 1:15 PM (175.223.xxx.34)

    서술형 채점기준은 선생님 나름의 원칙이 있을거예요. 만점 없는데 99점이면 제일 수학 잘하는 학생인데....최고네요.^^칭찬 많이 많이 해주세요. ^^

  • 6.
    '17.9.30 1:15 PM (219.248.xxx.165)

    지금 당장 100에서 99로 깍여 아쉽겠지만 그래도 1등이고 아이가 오기로라도 다음부턴 글씨에도 신경쓰고 더 꼼꼼히 챙길거에요.결국 아이에게 엄청 득이되는 경험일거다 생각하세요.
    타이트하게 채점안하면 너도 나도 맞게 해달라 할거니깐 선생님은 당연히 엄격한ㅁ기준으로 채점할수밖에 없을거에요.

  • 7. 바나나
    '17.9.30 1:19 PM (49.161.xxx.80)

    위로드려요. 고등학교 때 성적이 진짜니까 지금 시행착오가 고딩때 도움이 많이 될거에요. 서술형은 내가 아는걸 디스플레이 해야하니까 꼼꼼함이 생명인데 이걸 중학교때부터 느슨하게 부분점수 대충주면 고등학교 와서 고생해요. 애들이 항의하죠. 중학교땐 됐는데 왜 안되냐고. 그건 중학교 샘이 억지로 그냥 점수 준거야~이렇게 말하죠

  • 8. ...
    '17.9.30 1:37 PM (1.231.xxx.48)

    네.
    다른 분들 댓글처럼 1점 감점당한 게 장기적으로는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될 거에요.
    서술형 평가를 내가 채점하는 게 아니라 남이 채점하기 때문에
    남이 보기에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감점된다는 걸
    아이가 깨닫는 계기가 될 수 있으니까요.
    선생님이 만약 꼬투리잡아서 감점하는 거라면
    괄호 명확하지 않은 걸로 그 부분의 식 자체를 무효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3-4점 이상 팍팍 깎았을 거에요.
    그런데 1점 깎은 건,
    아이에게 앞으로 더 꼼꼼하게 하라는 선생님의 신호에요.

  • 9.
    '17.9.30 2:21 PM (119.65.xxx.181) - 삭제된댓글

    우리아이랑 똑같네요
    본인 만점이라고 좋아했는데 1점 깎여서 엄청 기분나빠했어요
    선생님의 이유도 납득 못하고요
    제가 시험지를 본 건 아니라 저도 잘 모르니 위로만...

  • 10. 이건
    '17.9.30 2:31 PM (122.35.xxx.174)

    타이트함의 문제가 아니라 선생님 실수로 느껴져요.
    작게 쓰는 아이들도 있으니 샘이 꼼꼼히 봐야지요.
    아무리 작아도 분명히 괄호가 있는 것은 점수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수로 깎았으면 정정해주어야 하구요.....

  • 11. 경험
    '17.9.30 4:04 PM (175.223.xxx.43)

    저 중1때 마침표안썼다고 그문장 모두감점한 영어선생님계셨는데 아직도 그 억울함이 가시지않네요

  • 12. 원글
    '17.9.30 4:14 PM (211.108.xxx.4)

    경험님
    울아이도 기말때 영어 마침표 안써서 2점 감정 당했어요
    아이도 억울해 했어요
    아들이라 꼼꼼하지 못해서 그런거다라는 생각 했는데
    이번은 좀 많이 본인이 억울해 하네요

    여기 학교가 서술형 시험이 좀 타이트하게 보는것 같긴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5754 여행 가는데 명절 음식 어떡하죠? 6 헛제사 2017/10/02 1,690
735753 문재인 대통령, '고향 잘 다녀오세요' 5 반가웠겠다 2017/10/02 866
735752 베트남 쌀국수 좋아하세요? 24 질문 2017/10/02 6,111
735751 한기를 유난히 심하게 느껴서 힘들어요 18 한기 2017/10/02 7,413
735750 안철수가 감추고 싶어하는 경력들.jpg 10 웃기는짬뽕 2017/10/02 3,894
735749 오늘 음식하면 추석날 괜찮나요? 5 새미 2017/10/02 1,474
735748 [더러움 주의]샤워하기 전 뒤를 닦아 보면.. 31 고민 2017/10/02 14,581
735747 싱글와이프 프로를 보며 느낀 점 1 제목없음 2017/10/02 2,441
735746 아랫사람에게 싫은 소리들은거 오래오래 기억 2 시누 2017/10/02 905
735745 서울대 공대 대학원 학비 8 여쭈어요 2017/10/02 7,238
735744 직장다니는 조카는 추석 용돈 안줘도 되지요? 12 ... 2017/10/02 3,515
735743 이명박비리 총정리(언론이 안하니 우리가 한다) 7 richwo.. 2017/10/02 1,819
735742 6세 아이 항상 피곤해 해요 49 엄마 2017/10/02 5,114
735741 이곳에서 요즘 추천받은 영화, 미드 다 좋았어요!! >. 6 정말감사 2017/10/02 2,933
735740 남편과의 문제 5 잉키 2017/10/02 1,898
735739 편육 보관은 ??? 2017/10/02 1,017
735738 전 부친거 어디에 올려두시나요?? 8 ... 2017/10/02 2,020
735737 세계적인 석학 안철수 교수.jpg 4 뭐라굽쇼 2017/10/02 1,960
735736 오늘이 최진실 떠난지 9주년인데 9 최진실 2017/10/02 5,029
735735 갈비찜 급질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도와주세요 2017/10/02 1,061
735734 팔자주름 언제 찐해지나요? 어휴 2017/10/02 1,236
735733 당근 오일 ㅎ 10 ㅇㅇ 2017/10/02 3,169
735732 감기올거같은 느낌 살짝.. 이때 뭐할까요 44 자취생 2017/10/02 7,676
735731 은갈치와 먹갈치 차이 있나요? 7 허당 2017/10/02 2,362
735730 된장미역국에 들기름 넣기도 하나요? 1 리리컬 2017/10/02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