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럼 맞벌이 부부는 돈 관리 어떻게들 하세요

궁금해서 조회수 : 2,695
작성일 : 2017-09-21 01:00:16
저 아래 전업주부인 경우 생활비를 남편한테 타서 쓰냐 아님 월급 통장을 본인이 관리 하냐 의견이 분분하네요.
저는 대학 들어가면서부터 돈 벌기 시작해서 사십대인 지금까지 한번도 쉬지 않고 열심히 벌어왔지만 돈 관리는 정말 못하거든요. 가계부 써보려고 연초면 꼭 한 권은 사는데 한 달도 못쓰고요. 돈 관리 잘하는 남편이 있으면 통장을 다 맡기고 싶지만 남편은 저보다 더 못하는 것 같아요. 심지어 남편은 잔고 바닥났다고 카드 정지된 적도 여러 번이고요. 각자 알아서 내는데 정말 기분 내키는 대로, 생각 나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카드 긁어서... 살고 있는 집은 친정 부모님 돈과 제가 모아 놓은 돈으로 샀고요 (남편은 전혀 보태지 않았는데도 왜 그랬는지 공동명의로 ㅠ.ㅠ). 친정에 들어갈 돈은 제가 알아서 내고 시댁 쪽은 주로 남편이 내고요. 아이한테 나가는 돈은 반반씩 하려고 하는데 그것도 정산을 정확히 해 본 적이 없어서 보통 제가 더 내는 편이고요. 

다른 맞벌이 부부들은 어떻게 돈 관리 하세요? 뭔가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같이 모으는 통장 하나 없이 이렇게 노후를 맞으면 안 될 것 같은데요. 이러다간 아이 대학 등록금도 돈 있는 사람이 내고 시설에 들어갈 돈은 각자 알아서 내게 될 것 같아요.  
IP : 74.75.xxx.6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둘중 잘하는이가 맡아야죠
    '17.9.21 1:04 AM (221.141.xxx.42)

    원글님네는 원글님이 잘하니까 남편 용돈 기타 빼고 나머지다 달라고해서 계획 세워 지출하세요

    지금은 전업이지만 몇달전까지 그리했어요

  • 2. ...
    '17.9.21 1:07 AM (175.223.xxx.107)

    저희는 제가 해요. 원래는 같이했는데 신랑일이 너무 바쁘고 제가 관리를 더 잘해서, 제가 했음 해서 맡게 되었는데요
    신혼초 몇년은 공동관리했어요.
    한통장에 몰아넣고, 저축 보험 생활비 다 한통장에서 나가구요. 인터넷가계부(모네타꺼 사용했었어요. 광고아니구요) 사용해서 월지출 고정액, 생활비, 용돈 등 기입하면 언제든 로근인해서 확인가능하게 하니까 투명하고 관리가 잘되었네요.

  • 3. 어렵네요
    '17.9.21 1:15 AM (74.75.xxx.61)

    만난 지 17년 결혼 12년 차지만 당신이 버는 돈 오늘부터 내가 관리하겠소, 그 말이 안 나오네요. 잘할 자신도 없고요. 워낙 남편 수입이 적어서 그렇기도 하고 나이 차이가 좀 있어서인지 제가 먼저 그러자고 하면 존심 상해할 것 같기도 하고요. 둘 중의 하나가 떠맡는 거 말고 뭔가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없을까요.

  • 4. 근데 각자 관리하면 돈이 잘 안모여요
    '17.9.21 1:23 AM (221.141.xxx.42)

    딴거 없고 원글님이 사치안하고 이상한 물건만 안사면 되는거 아닌가요?

    큰건은 상의를 해서 구입하고요

    나머지는 저축하면 돼죠

    저도 가계부 쓰고 그런것은 안했지만 남편이 언제든 내통장 볼 수 있게하고 적금 탄거 알려주고 현재 자산 알려주면 의심? 안하던데요

    각자 관리하는 사람들보면 어떤 책임감이 없어서 그냥 되는대로 쓴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모아야한다는 개념도 없다고...

    원글님 선택이죠

  • 5.
    '17.9.21 1:23 AM (74.75.xxx.61)

    윗님, 지금 모네타 검색해 봤는데 못 찾겠어요. 광고 아닌거 아니까 스펠링 알려주시면 안 될까요.

  • 6. 맞아요
    '17.9.21 1:29 AM (74.75.xxx.61)

    근데.. 님, 제 걱정이 바로 그거예요. 각자 관리하니까 뭔가 공동의 목표 의식이 없어서인지, 그냥 기분 내키는 데로 쓰고 돈 모으려는 생각을 안 하게 돼요. 저 돈 많이 벌어도 시장 옷만 입고 택시 한 번 안 타거든요. 그런데도 생활비는 매달 간당간당. 결국은 관리를 잘 못해서 그런 것 같은데 남편도 그 능력이 안되니 도움을 받아야 할 것 같아요. 아이가 없었을 때는 그렇게 자유롭게 살아도 좋았지만 이제는 부모로서 돈 관리도 더 책임감을 가지고 해야 할 것 같은데. 어떤 방법이 좋을런지요.

  • 7. 남편분과 심도 있게 상의를 하세요
    '17.9.21 1:38 AM (221.141.xxx.42)

    저녁에 와인이나 맥주한잔 하면서요

    현재 처한 상황이 이러한데 당신은 어찌 생각하느냐 나는 우리 미래를 이렇게 하는게 좋겠다 라면서 용기 내셔야죠

    그래서 남편분이 동의하면 그나마 ?나은 님이 관리를 하시구요

    저는 게을러서 가계부 못쓰지만 가계부까지 쓰면 신뢰하겠죠

    모네타 들어가는 방법은 네이버에 모네타 치고 들어가서 회원가입하고 미니가계부 들어가면 가계부관련 즐겨찾기하는방법 누가 올렸더라고요 그거 참고하심 될듯

  • 8.
    '17.9.21 1:44 AM (74.75.xxx.61)

    모네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남편이랑 돈 관리 이야기를 안 해본 건 아니거든요. 특히 남편이 몇 번 좀 크게
    실수한 적이 있어서요. 그렇지만 한 쪽이 완전히 관리한다고 하기에는 저희 둘 다 너무 개념이 없고 게을러서 어떤 앱이나 프로그램 내지는 좋은 아이디어에 의존하고 싶어서 올린 글입니다. 오늘 당장 다운 받아서 볼게요. 행복하세요.

  • 9. ...
    '17.9.21 2:45 AM (112.161.xxx.81) - 삭제된댓글

    똑똑가게부 어플 깔고 카드쓰면 문자오는 거 신청해 놓으시면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가게부 어플에 그날쓴돈 다 적으세요 현금까지. 이게 엑셀 정리하는것보단 덜귀찮아요. 전 미혼이지만 대학때부터 가게부 써와서 이젠 완전히 습관이 됐어요

  • 10. ....
    '17.9.21 9:34 AM (110.92.xxx.200)

    한명이 버는 건 온전히 다 저축하고
    다른 한명이 버는 것만 쓴다는 생각으로 하구요.
    모으는 쪽이 아닌 쪽에서 용돈 타서 써요.
    저는 남편이 관리하고 워낙 돈 안써서 잘 모으긴 하는데,
    그게 안되면 공동통장 하나 만들고 그 통장으로만 돈 쓰는 방법 있더라구요.
    해당 통장에 연계된 체크카드 두개 만들어서 각자 비용은 거기서 쓰는 식으로요.
    체크카드는 수입 많은 쪽으로 연말정산 몰아주는게 유리하대서 한쪽으로 몰고
    뭐 그렇게 해요.

  • 11. 저는..
    '17.9.21 1:57 PM (202.30.xxx.182)

    저는 이틀만 일하기도 하고, 남편 월급이 제 몇 배가 됩니다. 남편 이름으로 나가는 보험이나 저축 남편 용돈 제외하고 매월 일정액을 제 통장으로 보내줍니다. 그러면 저는 주로 저축이나 펀드 등으로 제 통장에서 이체 시키고, 남편 이름으로 개설된 통장으로 다시 돈을 이체시켜 체크카드 사용을 합니다. 제 월급은 그대로 모아둡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4936 어제 황태참치 미역국 맛있어요~~ 3 굿굿 2017/09/29 2,261
734935 전에 82장터에서 정관장 제품 싸게 파시던 님 (오렌지님이었던가.. .... 2017/09/29 580
734934 다시 초원으로 돌아가면되지 2 tree1 2017/09/29 577
734933 배에 힘주고 걷는다는게 어떻게 한다는건가요? 11 뱃살 마녀 2017/09/29 3,524
734932 이소라 1집 .... 1 볼륨크게 2017/09/29 817
734931 정말 오랜만에 사주보러 갔다왔는데 두군데서 말이 달라요,, 3 ma 2017/09/29 2,832
734930 여기는 서울 톨게이트 입니다. 11 ㅇㅇ 2017/09/29 4,251
734929 길상사 단풍 언제쯤 절정인가요? 1 모모 2017/09/29 1,626
734928 왜이렇게 세상에 진상이 많을까요? 10 ... 2017/09/29 3,729
734927 (대전) 제10회 찬송의 밤 나를 부르네 음악회에 당신을 초대합.. 나를 부르네.. 2017/09/29 340
734926 요즘 자켓 입어야 되죠? 8 ,,, 2017/09/29 1,724
734925 트라우마 꿈 .. 2017/09/29 315
734924 대낮에 성추행당한게 억울해요 14 속상 2017/09/29 5,833
734923 백발마녀전 1,2 1 tree1 2017/09/29 1,033
734922 다엿트 쉽다는 분들께 14 아련 2017/09/29 2,344
734921 (혐주의)"X있는 변기에 발넣어"…같은반 학생.. 3 ㅇㅇㅇㅇ 2017/09/29 1,186
734920 호주산la갈비 이가격 적당한가요? 5 처음명절 2017/09/29 1,431
734919 어깨가 굳어간다는데 운동부족인가요? 3 ㅁㅁ 2017/09/29 2,257
734918 82쿡의 힐링된 글 강추합니다 - 신생아도 째려보나요? 7 귀염 2017/09/29 2,916
734917 9세 아이 사시교정.. 7 ? 2017/09/29 744
734916 아이가 학교에서 급우를 괴롭히나봐요 14 중1맘 2017/09/29 3,187
734915 올리브영가면.. 얼굴에 피지녹여주는 제품 있나요? 7 모공청소 2017/09/29 3,290
734914 1가구3주택, 세금 어떤가요? 1 3주택 2017/09/29 1,126
734913 항생제 강한걸로 주사 맞았는데요 9 .... 2017/09/29 2,135
734912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춘 김영란법 조정한다네요 11 mango 2017/09/29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