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평가원 수준

고딩둘 중딩하나 조회수 : 968
작성일 : 2017-08-20 10:07:28
다자녀라 온통 교육정책에 관심이 많습니다.
우리 경험으로만 보지말고
애들 미래를 위해
어떤 정책이 좋을지
애는 공부를 안해도 잠없는 늙은 부모는 생각이 많습니다.
내신 기간마다 시험에 대한 불만이 학교마다 있어요.
출제범위가 아닌 곳에서 나오거나~~
다른 반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는데 우리 반에선 언급도 없었다~~.
잘못된 문제라고 항의가 들어와 다시 시험을 치르거나~~
수능과 연계없는 교과서 지문에 괄호넣기로 문제제기 없게 깔끔하게 채점할 수 있는 문제를 왕창 내기도 하죠.
물론 이런 문제를 내도
상위권은 흔들리지 않아요.
대신 몇몇 똘끼 충만하고, 모의나 경시만 잘 보는 게으르지만
대학과정에서 빛을 볼 것같은 학생들은 이런 평가마다 많이 오라가락 합니다.
수능 시험문제를 만드는 평가원은 강남이나 인강 일타 강사도
흠집내기 어려운 수준높은 문제를 만든다고 합니다.
이런 평가원이 가진 노하우를
왜 하루아침에
전적으로 일반교사들에게 넘겨야 하나요?
평가원은 어쩜 우리 아이의 약점만 잡아내는 문제를 낸다고 하며
혀를 내두르는데~~
저는 수능도~ 평가원도~ 유지되기를 바랍니다.
여성의 사회진출은 바라면서
애들 뒷바라지는 이십년씩 시킬려고ㅠㅠ
학종 안하고 정시 올인하면
학부모는 진짜 편합니다.
될것같지도 않은 대회니 동아리 신경쓰느라 잠도 못자는
애보기 속상하고요.
애 하는 만큼 점수 맞춰 진로 정하기를 바라는
맞벌이 다자녀 맘입니다.
IP : 119.194.xxx.12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글
    '17.8.20 10:13 AM (119.194.xxx.120)

    오락가락
    오타랑 줄바꾸기가 수정이 잘 안되네요

  • 2. 음....
    '17.8.20 10:54 AM (61.101.xxx.49)

    함께 사는 사람이 평가원 모의수능및 수능 출제에 일곱번 정도 다녀왔는데요,
    수능이 이제 수명을 다했다고 하는 결론은 주로 이런 출제 경험자들에게서 나오는 이야기 입니다.
    수능에 전적으로 매달리는 입시의 시대는 이미 끝났어요.
    수시의 대세화는 단순한 경향이 아니라 그럴수밖에 없는 지향점이에요.
    오히려 인간의 능력을 평가할수 있는 방법을 한가지로 결정하는 것을 반대해야지요.
    다양성은 어쩌면 생존 그 자체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개인의 생존에 매달려 있다가는
    집단의 생존이 위험해 질 수도 있는겁니다. 입시의 다양화는 국가적으로는 미래의 생존전략이기도 합니다.
    이미 결정되어 있는 국가의 방향성이라는 말씀입니다.

  • 3. 음..님
    '17.8.20 10:59 AM (59.5.xxx.186)

    댓글 많은 생각을 할 기회를 주네요.

  • 4. 음....
    '17.8.20 11:15 AM (61.101.xxx.49)

    가끔 이곳에 들어와 정시위주의 입시 운운하는 여론을 보는데요, 절대로 그 방향으로는 가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공정성은 개선하면 되는 것이지만 획일화는 방향성의 문제거든요. 정시는 점점 축소될 뿐입니다.
    그러면 앞으로 개인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요.
    과정에 충실하되 개인을, 즉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즉 어느 누구도 아닌 자신과 만나야 한다는 건데요
    이건 결코 주입에 의해서는 안되지요. 앞으로 학교는 개인을 사회속에서 발견하는 과정을 돕는 역할만을 하게 될거에요.
    자유학기제는 그걸 연습하는 겁니다. 문제는, 제도는 이미 방향성을 갖고 있는데 사람들이 자꾸 뒤로 가려고 한다는 거죠.
    잘못된 여론이 결국 제도를 뒤집는 결과를 가져올수도 있는데, 그건 그 사회의 성숙도가 결정하겠지요.

  • 5.
    '17.8.20 1:24 PM (125.130.xxx.189)

    세계적으로도 선진 국가들에서는 더욱
    수시 선발을 늘려가는 추세이고 이것은
    거꾸로 갈 수 없다고 합니다
    정시를 늘리는 나라는 없어요
    시험지로 아이들의 진로와 직업을
    결정하거나 줄 세우기 하는 사회는
    병들어 갑니다
    지금도 고3 수능 셤 앞두고 시험 공포나
    평가에 대해 또는 학업 성취에 대한 압박감이나 강박으로 많은 수의 학생들이
    불안 장애나 공황을 겪고 있어요
    이런 비 인간적인 상황과 제도를 어른들
    편리에 의해 유지하자는 것은 현실을
    모르는 주장입니다
    세상은 변하는데 교육은 일제시대일 수 는 없어요
    저는 고시나 공무원 시험으로 인재를
    뽑고 그 인재들은 굳어버린 사고로
    자기 세상에 갇혀 권력과 행정력을
    행사하다가 사법과 입법 행정부가 모두
    경색을 맞이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고시에 올인해서 판검사된 사람들 중에
    교양 서적이나 인문학을 접한 사람들이 너무 없습니다ㆍ 균형적인 사고를 한 적이 없는 종이 시험지 성공 시대의 인물들이 만든 괴현상을 우리는 경험해 오지 않았는지요?
    저는 서울대 연고대에 수능 우수 성적자들로 채워지는게 걱정됩니다
    다양하고 창의적이며 개성 있고 에너지
    넘치는 인간상들이 존재하고 스스로
    배우고 깨치도록 만들어 주는 교육의
    콘텐츠가 있어지길 바랍니다
    지금 문정부가 하는 교육 정책의 방향은
    새로운 것이 아니고 이미 실천 되었어야 할 방향입니다

  • 6. ....
    '17.8.20 3:13 PM (119.202.xxx.241)

    수능출제위원인지 뭔지가 씨부렸다는 건 여기서 확인할 수도 없고.
    그래서 그렇게 세상이 변해서 4차 산업을 대비해 기간제 교사를 정규직으로 만들어서 세상을 진흙탕으로 만들려고 하는게 좌파놈들이지.
    지들끼리 편 먹고 편 만들고 패거리정치, 전 국민을 둘로 나눠서 이간질 시키지.
    누가누가 편 많이 먹나.
    기간제 교사가 정규교사 되서 자기한테 잘 보이고 마음에 드는 놈의 생기부는 확실하게 써 줄 것이고
    지 편 아닌 놈의 생기부는 형편 없어지겠지.
    기간제 교사들의 파렴치한 행위와 인성을 보고도 교사의 판단에 따라 학종으로 대학가는 제도가 좋다고 옹호나는 거냐?
    기간제 교사들이 정규교사 되면 임용고사라는 건 없어지지. 임용고사도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겠지.
    지금도 교사들이 학생들 보고 생기부 써 오라고 하는 판에 그걸로 대학가게 만들자고?
    현실에 맞는 소리를 해라.

  • 7. ....
    '17.8.20 3:18 PM (223.62.xxx.169)

    맞아요...학원들은 정시찬성..이유가 있는거죠..

  • 8.
    '17.8.20 3:30 PM (125.130.xxx.189)

    기간제 교사랑 연계시키다니 비약도 넘
    지나치구먼요
    정치 이슈화하여 반정부 정서 부추기는건지 ᆢ
    솔직히 기간제 교사중에도 자질있고
    경험 많은 교사도 많아요
    임용고시가 그들의 인성과 능력을
    증명하지도 않구요
    미국 처럼 3년에 한번씩 재 임용 해야
    합니다
    임용제도도 개선해야 되요
    평생 밥그릇 초등 교사들 보고
    느낀바들은 다 잊으셨나요?
    중등 고등 교사들도 늘 선별해야죠
    기간제 정규직화 찬성은 아니지만
    기간제 교사들이 더 나은것도 봤죠
    공무원도 임시직에 일 다 미루고
    어떻게 일 하는지 아시면 놀랄걸요

  • 9. 원글
    '17.8.20 4:25 PM (119.194.xxx.120)

    지향점이나 방향성이
    시험 한번으로 결정되면 안 되는
    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데요.
    개별평가가 되게
    개인에게(각 학교/ 교사) 결정권이 주어지는 것이
    미덥지 못하다는 겁니다.
    전 국민에게 공개되능 수능 형식의 평가라면 수긍하겠단거죠.

  • 10. 원글
    '17.8.20 4:32 PM (119.194.xxx.120)

    공정성이 어떻게 가능할지 의문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0269 구직 중인데 무기력해지네요.. 3 .. 2017/08/20 2,239
720268 가족들 피해서 나왔어요 17 장맛비 2017/08/20 6,199
720267 집에 있는 벽시계들이 자꾸 멈추는데... 8 Sss 2017/08/20 1,838
720266 아버지가이상해) 유방암 진단을 입원, 수술로 알아요? 10 ㅇㅇ 2017/08/20 2,617
720265 공포 영화 예매해 두었는데 3 괴담 2017/08/20 782
720264 조립식주택 습기가 심해요 1 주택 2017/08/20 2,088
720263 맛있는 라볶이 요리법 알려주세요. 4 요기여~~ 2017/08/20 1,723
720262 비타협적인 성격이라 독립하면 고독사할까 겁나요 6 ㅇㅇㅇ 2017/08/20 1,294
720261 성격이 팔자다 5 .. 2017/08/20 3,855
720260 머리카럭 처리요 9 나마야 2017/08/20 1,387
720259 로봇청소기 고민 중, 경험담 좀 들려주세요. 6 고민 2017/08/20 1,909
720258 지금까지요 대선나갔다가 총선나가고 시장나가고 하던 정치인이..?.. 1 ,,, 2017/08/20 774
720257 수시6장 모두 정하셨어요? 3 .. 2017/08/20 2,068
720256 청년다방 떡볶이 자꾸 생각나요 15 .... 2017/08/20 5,402
720255 밥통, 궁중팬 등 주방살림 코팅이 벗겨져요 8 dd 2017/08/20 2,336
720254 메디컬침대 추천 (80대 허리 아프신 아버지)부탁 드려요 ㅡㅡ 2017/08/20 388
720253 제육볶음 맛있게 하는 팁 좀 알려주세요 31 맛있게 2017/08/20 6,490
720252 국립정신건강센터는 뭐하는곳인가요??? 4 중곡동 2017/08/20 1,004
720251 文대통령, 李합참의장에 항공권 전역선물..'45번 이사'에 감동.. 8 감동입니다 .. 2017/08/20 1,473
720250 김소형 클렌져 써보신분들 계신가요? 3 클렌징 2017/08/20 1,008
720249 해직됐다 복진된 언론인들 해직기간 급여는 주나요? 5 ... 2017/08/20 1,022
720248 김치 잘 담그시는분께 묻습니다 5 열무김치 2017/08/20 2,260
720247 홈쇼핑 김치 빅마마 6 홈쇼핑 김치.. 2017/08/20 4,281
720246 우리 서명 한 번 더 합시다~~~~~~ 49 phua 2017/08/20 1,890
720245 우울증, 진실을 알고 싶어요. 6 깊은 2017/08/20 2,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