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펌) 어떤 의사가 분석한 살충제 계란과 인체 유해성

살충제의사 조회수 : 1,562
작성일 : 2017-08-18 14:20:55
논문까지 다 뒤져서 잘 찾아보셨네요. 
급성 중독이나 발병은 드물다
만성 복용시 쥐 실험에서는 갑상선 암등 발생이 증명되었으나 인체 실험은 없다
과도한 공포심 갖지 말고 차분하게 대처하고 재발을 막자
미세먼지 중금속오염  흡연 등  다른 것들이 우리 몸에 더 심각한 문제다.

참고로 정부에서는 갑상선 암은 별거 아니라고 발표도 했어요 ^^
1cm 이하 갑상선암을 과도하게 수술하거나, 과잉 진료하지 말자. 과도한 검사도 하지 말자고 지침도 내릴 정도이니 ^^
 

아래는 페북에서 어떤 의사 선생님이 분석한 계란 살충제 관련 글입니다.

만성 중독

인간에 대한 독성 테스트는 불가능하다. 쥐와 같은 동물에게, Fipronil을 장기간 주입하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0.019 mg/kg/day 이하에서는,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농도를 높이자 경련, 사망등이 발생했다. 특히 갑상선 종양이 발생했다. 미국환경보호국(EPA)은 Fipronil을 발암가능성이 있는 Group C로 분류하였다.

위의 자료를 토대로,

NOAEL(무독성량) = 0.02 mg/kg/day

RfD(Reference dose) = 0.0002 mg/kg/day

-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고려해서 RfD는
보통 넉넉하게 100배 엄격하게 보정한다.

RfD 이상의 Fipronil을 계속해서 섭취하면, 갑상선 종양등의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 무조건 종양이 생긴다는 것은 아니다.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지. 종이 다른 동물 연구가 기반이란걸 고려해야한다.

RfD를 넘긴다고 반드시 문제가 되는 건 아니지만, 가능하면 그 아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위험 회피는 가능한 줄이는 편이 좋다. 사전 예방의 원칙이다.

언론에 보도된 수치를 바탕으로,

달걀에서 검출된 Fipronil = 0.056 mg/kg.

60kg 인간이 60g 짜리 달걀을 먹는 것으로 계산하면, 하루에 3.6개 이상 섭취 시 RfD를 넘기게 된다. 3.6개 이상의 달걀을 오랫동안 계속 섭취시, 갑상선 종양등이 생길 수 있다.

WHO 규정은,
달걀 1kg당 Fipronil = 0.02 mg. 
우리나라 달걀 1kg당 Fipronil = 0.056 mg 
이 정도 수치가 검출된 것은 문제가 있다.

*

급성 중독

마찬가지로 동물 실험에서,

Fipronil 급성 음독 NOAEL = 2.5 mg/kg
RfD = 0.025 mg/kg

달걀에서 검출된 Fipronil = 0.056 mg/kg.

60kg 인간이 60g 짜리 달걀을 먹는 것으로 계산하면, 하루에 450개 정도를 섭취시 RfD를 넘기게 된다. 20kg 소아라면 150개만(?) 먹어도...

(식품의약품 안전처 발표에 따르면, 60kg 성인기준 급성 독성을 일으키는 달걀 숫자는 245개.)

달걀 수백개를 먹는 게 가능할까 싶지만, 만약 실제로 일어난다면? Fipronil 급성 중독은 얼마나 위험할까?

음독 사례에 대한 보고가 굉장히 드물지만,

Fipronil 성분의 살충제 Regent를 50-100ml 가량 음독한 환자 8명에 대한 case series가 있다. 7명의 환자가 무증상이거나 혹은 발한, 구토 등의 경한 증상을 겪었다. 그 중 2명은 중추 신경계 증상인 경련을 일으켰다.

다행히 7명 모두 4일 이내 문제없이 퇴원했다.

8명 중 1명은 간질중첩으로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고, 17일째 폐렴으로 사망했다. 하지만, 이 환자는 음독 성분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았다. 임상 양상상 Fipronil보다는 endosulfan과 같은 치명적 농약의 음독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Fipronil로 만든 개미 미끼를 비스켓으로 착각해 먹은 사례가 있다. 0.1ml 미만을 섭취하였으며 아무 문제도 일으키지 않았다. 그 외 Fipronil을 보호장구 없이 살포 작업을 한 후, 두통, 어지러움등을 호소한 환자에 대한 보고가 있다. 환자는 수시간만에 완전히 회복되었다.

설령 살충제 달걀을 죽도록 먹더라도, 급성 중독으로 죽을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인다.

(먹다먹다 배가 터져 죽거나, 계란만 먹다 구역질나서 토하다가 흡입성 폐렴으로 죽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다.)

*

Fipronil은 곤충에 대한 선택성이 높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대한 독성은 낮다. 굉장히 많은 양을 한번에 음독하지 않는 한 사망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렇다고 무시할 일은 아니다. 규정 수치 이상의 Fipronil을 함유한 계란을 장기간 계속 섭취시, 갑상선 종양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 기준은 일단 지키고 볼 일이다.

당장 계란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규정 수치 이상의 살충제를 계속 섭취하는 일만 막으면, 장기적으로 종양등이 발생할 위험도 없앨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검사와 감시를 강화하고, 재발을 막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이다.

과도한 공포에 사로잡히지 말자. 
우리에게 필요한건 혼란이 아니라, 차분한 대처다.

*

Mohamed, F., Senarathna, L., Percy, A., Abeyewardene, M., Eaglesham, G., Cheng, R., ... & Davies, W. (2004). Acute Human Self‐Poisoning with the N‐Phenylpyrazole Insecticide Fipronil—a GABAA‐Gated Chloride Channel Blocker.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42(7), 955-963.

Chodorowski, Z., & Sein Anand, J. (2004). Accidental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 with fipronil—a case report.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42(2), 189-190.

Fung*, H. T., Chan, K. K., Ching, W. M., & Kam, C. W. (2003). A Case of Accidental Ingestion of Ant Bait Containing Fipronil: CASE REPORT.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41(3), 245-248.

Jackson, D.; Cornell, C. B.; Luukinen, B.; Buhl, K.; Stone, D. 2009. Fipronil Technical Fact Sheet; National Pesticide Information Center, Oregon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s.http://npic.orst.edu/factsheets/archive/fiptech.html.

IP : 101.81.xxx.20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3186 초딩3학년 친구와 싸워 안경이 부러졌는데 19 2017/10/31 2,745
    743185 자한당 조훈현 가르치는 여명숙 소신발언에... 2 고딩맘 2017/10/31 1,547
    743184 임신하려고 절에 다니는데 스님이 보이차를 주셨어요. 12 ㅡ.ㅡ 2017/10/31 6,633
    743183 빅토리아&압둘 보셨나요? 2 지나가다 2017/10/31 1,351
    743182 김주혁 사망원인요... 심장질환이 아니라 25 사망원인 2017/10/31 22,363
    743181 가스라이팅 oo 2017/10/31 1,123
    743180 오늘 밖에 안나간분들 5 많나요 2017/10/31 2,314
    743179 홍종학... 국세청 말대로 하는데 언론은 도대체 왜? 1 ... 2017/10/31 810
    743178 나이든 엄마와 어떻게 지내고 계세요? 9 운전 2017/10/31 2,845
    743177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보신분 계세요? 8 지금 2017/10/31 1,905
    743176 멍과 혹이 난건 어느 병원으로 가야 할까요? ... 2017/10/31 662
    743175 인문학이 뭐에요? 5 초보 2017/10/31 2,266
    743174 아이오페 슈퍼바이탈쿠션 사용해보신분 2 삼산댁 2017/10/31 1,280
    743173 수건 삶는 문화 한국만 있는건가요? 4 수건삶기 2017/10/31 3,430
    743172 김주혁씨 사인보니 차량결함쪽으로 쏠리네요 19 ㅠㅠ 2017/10/31 19,729
    743171 운동 2 인천송도 2017/10/31 1,062
    743170 "기무사, MB청와대 지시로 2008년 댓글공작 시작&.. 1 샬랄라 2017/10/31 689
    743169 타로를 기독교에서는 금하는 이유가 15 ㅇㅇ 2017/10/31 7,590
    743168 "조윤선 前정무수석, 이재만·안봉근과 별개로 국정원 .. 3 .... 2017/10/31 1,799
    743167 횡간소음 4 피해자 2017/10/31 1,397
    743166 [국감] 여명숙, 게임판 농단 4대 기둥 있다.. 청와대 고위 .. 8 고딩맘 2017/10/31 1,490
    743165 [속보] 11월부터 도시가스 요금 평균 9.3% 인하 ....(.. 31 어머머 2017/10/31 5,803
    743164 해외입양.. 잘사는 줄알았는데 11 2017/10/31 6,008
    743163 통증의학과나 정형외과 추천해주세요 쌀강아지 2017/10/31 704
    743162 배추 겉잎 완전 좋아요 2 땡큐 2017/10/31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