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장례식 가본분계세요

.. 조회수 : 4,142
작성일 : 2017-08-14 00:24:05
아래 장례식 글 몇개 보고 궁금해서 적어봐요
전 외국에서 살 때 결혼식은 많이 봐도 장례식에 간적은 없는데요
대문 밖에서 구경한 적은 있어요
다들 정말 너무 잘 차려입고..병원이 아닌 큰 저택 같은 데서 하더라구요

전 한국에서 며느리로서 상을 치렀는데 너무 힘들었어요
3일 내내 실내에 자리지키고 있는거 밥대접 문화 엄청난 일회용 쓰레기 애 맡길 데 없어서 애보며 손님맞고 리듬 다 깨지고

외국은 어떤가요? 궁금해요 우리도 좀 간소해지면 좋겠어요ㅠ
IP : 182.222.xxx.10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8.14 12:27 AM (70.191.xxx.216)

    장례식장이나 교회에서 많이 하고, 보통 예쁘게 화장과 정장으로 관에 눕혀서 둡니다. 사진도 많이 찍고요.
    분위기가 울거나 그렇지도 않음요. 조문객이 대부분 흰색과 검은색 옷으로 소박하게 입는 건 비슷하고요.

  • 2. 한국도
    '17.8.14 12:27 AM (58.230.xxx.242)

    요즘은 대부분 업체에서 서빙해요
    외국도 돈질하기 시작하면 끝 없구요

  • 3. ..
    '17.8.14 12:36 AM (125.209.xxx.190)

    주로 교회에서하고 음식은 아예 없어요. 옷은 다 검정입어요.

  • 4. 날날마눌
    '17.8.14 12:43 AM (121.167.xxx.143)

    네덜란드 남편이랑 결혼한 언니
    형부 전처도 왔다고
    재혼한건 알지만 고인과의 관계로만 생각하고 조문왔대요
    그리고 관에 누워있던 고인에게 줄서서 각자의 방식으로 인사하는데 거의다 키스? 하는데 언니는 못하겠다니까
    하고싶은대로 하는거라고 아무도 강요하지 않았다는~
    들을수록 네덜란드 문화는 합리성이 돋보인다 생각해요
    이건 많은것중하나구요

  • 5. 원글
    '17.8.14 12:50 AM (182.222.xxx.108)

    상조업체를 불렀는데 그렇다고 저희도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시스템이던데요
    손님많으면 순식간에 서빙모드ㅜ

  • 6. 일본
    '17.8.14 1:05 AM (121.108.xxx.27)

    장례식장에 가까운 친인척만 불러서 (불교여서) 스님모셔다 불경외우고 식장 내에 준비된 화장터로 이동.
    각자 준비해온 꽃이나 생전 좋아했던 옷이나 가벼운 소지품으로 고인의 주변을 꾸며주고 인사를 건네던 뭘하던 각자의 방식으로 이별을 고합니다
    이별의 준비가 되면 화로안으로 관을 넣는데, 이때 많이들 우시더라는..
    조용히 장례식장 내 식당으로 이동해서 식사를 하는데, 저희 가족들은 금세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식사하고 이야기를 많이 나눴어요.
    식사하는 사이 유골 화장이 끝나면 다시 화장터로 이동, 재가 된 고인을 유골함에 넣고 장례가 끝납니다
    화장 하던 안하던 아무도 신경안쓰는데, 하더라도 피부톤보정 정도. 화려한 시계나 헤어액세서리는 피하고 장례식장용 옷에 진주목걸이 정도 합니다. 아무리 검은색이어도 명품가방은 피하고요
    가족들 어느 누구도 음식서빙하거나 하는일 안합니다
    시간 되는 사람들만 상주의 집에 모여서 차마시고 과일먹다가 헤어졌어요. 시골은 어떨지 모르겠어요

  • 7.
    '17.8.14 1:52 AM (118.34.xxx.205)

    우리나라장례문화중 맘에안드는게
    고인의삶에대해 얘기하는순서가 없어요
    그냥 보고절하고 밥먹고
    서빙하고고스톱하고.

    시간정해서 모여서 같이묵념하고
    고인의삶이 어땠는지 기리는 얘기하고
    친한친구나가족이 그와의추억되새기고
    그랬으면해요.

  • 8. ....
    '17.8.14 2:17 AM (92.237.xxx.7)

    시할머니 장례식에 관 실은 유리마차가 왔고 마차위에 꽃으로 장식되었었고 교회에서 장례예배 같은거 보고 묘지로 이동해서 관내려놓고 위에 흙 뿌리고 가족과 친한 손님들은 작은 호첼로 가서 식사하고 헤어졌어요. 교회에서 바로 가시는 분들도 있고 묘지까지 오시는 분들도 있고요. 가족 친척들은 집에와서 차한잔 더 하시고 가셨는데 여기는 3일장 이런 문화가 아니라서 저희는 돌아가시고 3주있다 장례식을 해서 시어머니도 차분하시고 울부짖는 분은 없었어요.

  • 9. ...
    '17.8.14 2:21 AM (209.171.xxx.162)

    천주교식. 기독교식 다 가봤어요.
    장례식장 가서 신부님이나 목사님이
    장례식 인도 하시고
    고인은 화장 하고 관에 안치되어 있어요.
    관은 맨 앞 중앙에 있구요..
    다 끝나고 장례식에 참여한 한 사람 한 사람씩
    관이 안치 되어있는 곳까지 쭈욱 걸어와서
    고인에게 마지막 안사를 합니다.
    장례식 끝나고 가까운 식당에 가서 식사하는 경우도 있고
    식사 안하고 그냥 그곳에서 끝나는 경우도 있어요.
    그런데
    기독교 문화가 깔려서인지
    (죽어서 천당)이요..
    힌국처럼 애통해하지 않아요.
    묘지가 바로 집앞에 있기도 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묘지가 그렇게 동네에 있는게
    문.화.충.격.이었어요.

  • 10. 일본의 경우 오전 중에
    '17.8.14 3:01 AM (42.147.xxx.246)

    장례식을 치루는 회관에 가서 가족들 하고 손님이 앉아 있어요.
    순서에 따라 관에 있는 얼굴을 보고 자기 자리에 돌아갑니다.
    식이 끝나고
    관이 나가면 가족과 손님들은 버스에 올라타고 화장장으로 갑니다.
    스님이 잠깐 경을 읽고 마지막 기도하고
    가스실로 들여 보냅니다.

    거기서 3미터 떨어진 식당에서 예쁜 도시락을 먹어요.
    음료수도 나옵니다.
    도저히 못 먹겠더라고요.

    다 먹고 나서 기다리면 연락이 옵니다 .
    다 탄 재가 뼈와 함께 나오면 각자 커다란 젖가락으로 뼈를 항아리에 담고
    가루는 화장장에서 처리합니다.
    그런데
    다리뼈가 길어서 안들어 가니까 거기서 일하는 종업원이 손으로 똑분질러 항아리에 넣어서
    기절할 뻔했네요.

    가족과 손님이 절에 가서 공양과 스님의 독경을 듣고
    각자 자기들 집으로 갑니다.
    거의 저녁이 되었으니
    가족들은(형제 자매 만) 상주 집에 가서 주문한 도시락을 먹고 이야기 좀 하고 헤어집니다.

    나중에 얼마가 들었으니 모자란 부분은 얼마를 더 내라는 통보가 옵니다,

    그리고 제사는 매년 하는 게 아니라 1년, 3년 7년 12년 이렇게 정해져 있어서
    어느해가 제사 해인지는 좀 계산해 놓아야 해요.

    제사 때는 절에 갔다가 도시락을 주문을 해서 집에서 먹고 각자 헤어집니다.
    돈도 각자 도시락값과 절에 불공드린 값을 내는 것으로 압니다.

    각 가정마다 다르겠지만 장례식 치루는 곳에서 이틀을 지내는 사람도 있는 것 같은데
    그건 잘모르겠네요.

  • 11. 우리나라
    '17.8.14 9:08 AM (221.144.xxx.238) - 삭제된댓글

    장례식은 좀 혐오스러워요
    고인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돈이 오가고
    조용하지만 먹거리판이고
    며칠전 장례문화 가족들과 얘기한적 있는데
    아예 장례식을 하고 싶지 않을정도에요.
    아주 아주 매우 매우 가까운 지인 10명 내외만 내 죽음을 애도했음 좋겠어요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 불러내서 돈받고 절받고 음식먹이고
    이런거 하고 싶지 않아요

    예) 부장님 장모님상, 이웃집 아줌니 시아버지상... 뭐 이런거요

  • 12. 윗님 동감이에요.
    '17.8.14 11:44 PM (211.36.xxx.204)

    장례식 문화 너무 싫어요.
    그게 뭔가요... 고인에 대한 애도는 전혀 없고..
    저도 바꾸고 싶어요.
    3일장도 넘 긴거 같고요.
    시간을 정해 놓고 그 시간에 모여서 기도하고 애도 하고
    그러고 밥먹는건 없었으면 좋겠어요.
    뭐 먹을려고 만나는 사람들 마냥. ㅠ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2881 코트 소재로 제일 좋은 것 무엇인가요? 7 밍크말고요 2017/10/30 2,574
742880 친구 3명과 부산여행을 하려고 합니다. 3명이 묵을 호텔 추천해.. 5 79 2017/10/30 1,694
742879 지금 밖인데 정말 안추워요 35 참나원 2017/10/30 5,867
742878 일식집에 나오는 콘치즈버터구이 4 2017/10/30 2,654
742877 전세 만기가 11월 20일인데 아직 집도 안 보러와요 3 전세 2017/10/30 1,842
742876 김어준블랙하우스 트윗 6 아아악궁금증.. 2017/10/30 2,196
742875 흐릿하게 생겨야 어려보이나요 8 2017/10/30 2,408
742874 의대학종~(내신)화2지2 선택 괜찬을까요? 8 생물제외 2017/10/30 1,881
742873 발열깔창 참 좋네요~ 17 수족냉증 2017/10/30 4,290
742872 추워지면 비염이 더 심해지나요? 8 ㅇㅇ 2017/10/30 1,983
742871 동안도 아니고 제나이 들어보이는 사람이 피부가 좋아보일수도 있을.. 7 피부 2017/10/30 2,806
742870 생활비 안 주는 남편 내 쫒으려구요 33 땡땡이 2017/10/30 8,426
742869 결혼 문화 1 늦가을 2017/10/30 1,111
742868 강경화 "유엔결의안 기권, 일본의 원폭 피해국가 홍보 .. 5 샬랄라 2017/10/30 1,341
742867 냉동인삼으론 인삼청 못 담나요? 1 .. 2017/10/30 1,000
742866 남편이 회사에 가기를 너무 싫어합니다 25 ... 2017/10/30 9,390
742865 중학생패딩 브랜드. 어디서. 살까요? 7 패딩 2017/10/30 2,208
742864 오상진부부 커피숍하나요?? 29 ㅂㅅㅈ 2017/10/30 27,564
742863 여행 싫어하는 아이들과 10 여행 2017/10/30 1,395
742862 제 사주에 남편이 두명이래요 ㅠ ㅠ 10 사주 2017/10/30 7,013
742861 사고싶던 상가 10 째려만보다 2017/10/30 2,842
742860 부동산 사이트에서 80/73m2, 89/73m2 인 집은 무슨 .. 3 면적 2017/10/30 1,483
742859 갤럭시 j5 어떤가요? 6 고장나서 2017/10/30 1,151
742858 특이체질에 관하여 도움 부탁드립니다 4 ooo 2017/10/30 583
742857 청송주왕산가는데 숙소, 식당 추천해주세요 4 여행가요 2017/10/30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