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9급만한 직업이 없네요

ㅇㅇ 조회수 : 7,434
작성일 : 2017-08-11 13:02:54
7급은 셤이 어렵고..객관식 시험의 최고봉이라니까..

숨만쉬어도 인생이 보장된다고...


약사인친구에게 진지하게 나도 늦었지만 피트셤보고싶다니까

골아프다고
정년은 없지만 늙어서 일을해야 돈이 나오는 직업이지만
공뭔은 연금나오니까 숨만쉬어도 인생보장이니
그거하라네요..

그럼 너도 9급해 그랬더니
자긴 다시 공부하기 싫다고..

IP : 211.36.xxx.150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marco
    '17.8.11 1:05 PM (14.37.xxx.183)

    명문대 나와서 9급 공무원하면서
    자괴감도 많이 든다고 합니다.
    등본이나 떼줄려고 공부했나하는...

  • 2. 윗님
    '17.8.11 1:07 PM (117.111.xxx.183)

    근데 자기전공 살려서 일하는사람 얼마나 있을까요?

  • 3. 공무원이었음
    '17.8.11 1:07 PM (61.78.xxx.126) - 삭제된댓글

    명문대 나와서 9급 공무원하면서
    자괴감도 많이 든다고 합니다.
    등본이나 떼줄려고 공부했나하는...

  • 4. 공무원하다 그만뒀음
    '17.8.11 1:16 PM (61.78.xxx.126)

    명문대 나와서 9급 공무원하면서
    자괴감도 많이 든다고 합니다.
    등본이나 떼줄려고 공부했나하는... 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2

  • 5. ㅇㅇ
    '17.8.11 1:17 PM (122.36.xxx.122) - 삭제된댓글

    9급공무원은 전문대 출신들에게나 맞는 일자리 같아요

    명문대 나와 9급들어가더라도...왠만큼 사는 집 딸이면 상사들보면서 한숨 나올거같은데

    아직도 공무원들 의식수준도 낮고 나이든 사람들은 수준낮은 사람들도 많잖아요 반면에 대접만 받으려고 하고

    그런 차이에서 오는 자괴감 무시 못할듯 싶어요

  • 6. 공무원하다 그만뒀음
    '17.8.11 1:19 PM (61.78.xxx.126)

    왠만큼 사는 집 딸이면 상사들보면서 한숨 나올거같은데

    아직도 공무원들 의식수준도 낮고 나이든 사람들은 수준낮은 사람들도 많잖아요 반면에 대접만 받으려고 하고

    그런 차이에서 오는 자괴감 무시 못할듯 싶어요 22222222222222222222222

  • 7. ...
    '17.8.11 1:32 PM (203.228.xxx.3)

    도청소재지에 사는데 도청 공무원들 자부심 하늘을 찔려요..다 시군단위에서 공무원생활하다 시험쳐서 극소수가 도청에 들엉거던요..등본이나 떼는건 주민센터고..그거 공무원이하나요 기간제 근로자 쓰지 ㅋ 도청은 신사업발굴하고 국비따오는거 하고 굵직굵직한거 해요..건설회사 건축회사 관에서 따서 먹고사는곳 많아요..공무원과 완전 갑을관계예여...대기업건설회사 임원이 시골공무원 지 비 다맞고 우산 씌워주는거 봤어요..저는 도청산하 연구기관 연구원이라 내부사정을 잘 알죠.

  • 8.
    '17.8.11 1:42 PM (211.114.xxx.77)

    먹고야 살겠죠. 하지만 그 자괴감. 많이 힘듭니다. 적응한다고 해도 숨기고 사는거지.
    얼마나 요즘에 공무원 무시하는데요. 정말 사람을 함부로 대해요. 그런 막가파 민원인들 대하는거 쉽지 않아요. 무조건 네네. 해야하는. 자괴감. 극복 힙듭니다.

  • 9. ...........
    '17.8.11 1:51 PM (185.65.xxx.138) - 삭제된댓글

    별로 안좋은 대학 나왔는데 9급 붙은 사람들은 엄청 행복하게 살긴 하는데요

    좋은 대학 나와 9급 붙은 사람들은 그래도 한켠에 아쉬움 같은거 있더라구요.

    그리고 공무원도 상명하복 피라미드 조직이라서

    9급이면 제일 말단이라 힘들어요.

    일은 쉬운데, 조직내에서 인간관계는 별로죠. 제일 말단이라서 위축되는것도 있구요.

  • 10. ...
    '17.8.11 1:51 PM (123.108.xxx.28)

    싫은 직장에서 싫은 업무에 싫은 사람들과 60되도록 이직도 못하고 평~생 일하는 것도 고통입니다.
    저는 공사다니다 사람이 싫어서 때려쳤어요 ㅎㅎ

  • 11. dus
    '17.8.11 1:52 PM (58.125.xxx.140)

    연금이라뇨? 옛날 80년대에 고졸이나 전문대 졸업하고 20대에 들어가 30년 넘게 해야 연금을 국민들이 시기할 만큼 타는 거지, 요즘 들어가면 연금 없어요.
    박근혜가 다 깎았잖아요.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릴 하시는 건지...

    요즘 신입은 공무원연금 없습니다. 공무원은 그리고 7급 초봉이 150~160만원입니다. 보너스요?
    한 해에 몇백만원밖에 안 되는 금액이고요.

    10년 넘어 6급 달아도 260만원 받아요.
    그러니 9급은 얼마 받을까요?
    조직은 곳곳에 폭탄들이고요, 자르질 않으니 승진 포기한 폭탄들과 대화 안되는 질 안 좋은 사람들이
    조직에 많습니다.

    뭘 알고 떠드시길 바랍니다.

  • 12. 공친친
    '17.8.11 1:53 PM (125.136.xxx.127)

    제가 지방 국립대를 나오고, 저는 공무원은 아니지만 관련 일을 하다 보니
    주변에 공무원 하는 친구들이나 지인들이 좀 있어요.
    9급부터 시작하는 친구들이 많구요.
    9급이라도 됐으면 좋겠다 싶다고 그러더니 막상 합격하고 조금 일하다 보니
    명문대는 아니더라도 지역에서는 나름 국립대 나와서 동사무소나 면사무소에서 서류 떼고 하는 일이 너무 별 볼일 없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친구도 있었고, 심지어 그만 둔 친구도 있어요.

    그래서 다시 시험봐서 빨리 7급 되려고 준비하려는 애들도 있었구요.
    그런데 그게 말이 쉽지, 일이랑 병행해서 다시 시험보는 게 보통 일이 아니거든요.
    여자 애들은 그래도 8년 정도 지나니 서서히 7급 달기 시작했는데, 남자 입장에서는 그 과정이 더 고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저 아는 사람 중에는 이대 나와서 면사무소에서 9급부터 시작한 사람 있어요. 고향이 시골이라 돌아온 것이기도 한데...

  • 13. dus
    '17.8.11 1:53 PM (58.125.xxx.140)

    중앙부처 공무원 업무강도는 대기업뺨칩니다.
    승진 포기자면 모를까, 업무에 밀려 사적인 전화도 오래 못해요.
    쉴새없이 일하고 전화받고 야근을 11시~12시까지 밥먹듯이 해요.

    그리고 지방직 공무원도 각종 민원과 지자체 행사에 주말에도 시달립니다.
    업무강도가 옛날 공무원 아닙니다.
    정신 차리시길 바랍니다.

  • 14. dus
    '17.8.11 1:56 PM (58.125.xxx.140)

    그리고 공무원은 일반 기업에서 주는 퇴직금 그런 것도 없어요.
    퇴직수당이라고 10년 넘어도 천만원 주고 20년 넘으면 몇 천만원 주고요.

    정말 박봉과 과로, 민원에 시달리고 맞벌이 안하면 도시 빈민입니다.

  • 15. 아니
    '17.8.11 2:06 PM (183.104.xxx.108) - 삭제된댓글

    도대체 얘들 왜 이러나요?
    맨날 하급공무원 교사들 난리네요?
    왜그러죠?
    고급공무원은 근처도 못가봐서 그러나요?
    서민들끼리 치고박고가 제일 댓글 많고 재밌나봐요

  • 16. dus
    '17.8.11 2:06 PM (58.125.xxx.140) - 삭제된댓글

    그리고 약사가 미치지 않은 이상 9급 시켜줘도 안 해요.
    정기적으로 약사들 중에서 약무직 6급이나 7급을 뽑습니다. 그것도 월급 작다고 안 하는데, 뭘 시험쳐서
    9급을 하겠어요?

    이 더위에도 정부청사들은 에너지 절약한다고 6시 이후 야근해도 에어컨 끄고
    작년 그 살인적인 더위에도 에어컨 시원하게 안 틀어줍니다.

  • 17.
    '17.8.11 2:18 PM (116.125.xxx.180)

    183. 왜 저래요?
    그냥 푸념하는글에

  • 18. dus
    '17.8.11 2:20 PM (58.125.xxx.140)

    그리고 약사가 미치지 않은 이상 9급 시켜줘도 안 해요.
    정기적으로 약사들 중에서 약무직 6급이나 7급을 뽑습니다. 그것도 월급 작다고 안 하는데, 뭘 시험쳐서
    9급을 하겠어요?

    이 더위에도 정부청사들은 에너지 절약한다고 6시 이후 야근해도 에어컨 끄고
    작년 그 살인적인 더위에도 에어컨 시원하게 안 틀어줍니다.

    공무원을 깎아내리는 게 아니라 공무원 의 실상을 말하는 겁니다.
    환상 갖고 계신 분들이 많아서요.
    온 국민이 시기하는 공무원 연금도 기업보다 못한 박봉에 시달리면서
    말 안 통하는 현재 50대 이상들의 상사
    (7,9급 시험이 상대적으로 쉬웠을 때 들어온 세대라서 한마디로 질 이 떨어집니다.)
    에게 갈굼당하면서 그 작은 월급 중 몇십만원을 20년 넘게 부어서 타는 겁니다.

    하늘에서 공짜로 떨어지는 거 아니예요. 월급에서 다달이 떼어 가서 그걸 나중에 타는 거예요.

    고연봉자들은 공무원 연금 부러워하지 말고 돈 모아 재테크를 하세요.

  • 19. dus
    '17.8.11 2:38 PM (58.125.xxx.140)

    그리고 또 한가지 팁.
    중앙부처 공무원들 과로사가 많습니다. 몸 튼튼하신 분들 아니면 하지 마세요.
    작년에도 AI 방역하다가 과로사한 9급 청년 공무원 안타까운 사례 있었구요.

    명문대 출신들-다른 거 하세요. 행시를 하시든지. 개인적으로 행시도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워낙 박봉에 일은 많고 노력한 만큼 보상주는 조직이 아니라서요

  • 20. ...
    '17.8.11 2:52 PM (58.233.xxx.140)

    남의 떡은 커보이고

    남의 직업은 거저 월급 받아가는 줄 알죠

  • 21. ..
    '17.8.11 4:02 PM (210.178.xxx.230)

    그래도 호봉제라 시간 지날수록 호봉 올라가는거 쏠쏠하지 않나요

  • 22. 00
    '17.8.12 1:26 AM (124.59.xxx.137)

    Dus님 잘아시는거 같아 여쭤봅니다 공사나 공기업은 어떤지 명문대출신은 그럼 뭘해야되죠

  • 23. dus
    '17.8.13 11:35 AM (58.125.xxx.140)

    글쎄요, 공사, 공기업은 제가 다녀보질 않았고 주위에 다니는 사람도 딱히 없어서 뭐라 답을 못 드리겠네요.
    명문대 출신들은 자기 적성이 다 다르니 알아서 해야겠지만 공무원 7,9급은 정말 아닌 것 같아요.
    업무도 단순 업무고 체력 강한 사람이 장땡이고 위에 상사들은 질 낮은 인간들이 득실거리고....

    전문직이 낫지 않을까요? 4차 산업혁명 시대라 전문직도 위험하다지만 전문직 나름이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9794 공인인증서 비번 오류로 풀어야 하는데 아무 은행이나 가도 되나요.. 4 2017/08/18 1,168
719793 손목 뼈 옆에 작은 뼈같은게 나왔어요. 12 아,, 2017/08/18 8,321
719792 오늘 길고양이가 죽었습니다 9 ㅇㅇ 2017/08/18 1,668
719791 스페인여행 잘 아시는 분 9 스페인 2017/08/18 2,337
719790 6살 터울 자매면 언제부터 둘이 집에 두어도 될까요? 15 ㅇㅇ 2017/08/18 2,828
719789 광주 택시기사 진실 2017/08/18 658
719788 집 인테리어기간동안 가족과는 어디서 지내나요? 10 2017/08/18 4,103
719787 7세인데 영어dvd 유튜브 말고 다른경로로 보여주시는분요 9 사과 2017/08/18 1,867
719786 아이들 공부에 관한 정보 얻을수있는 카페가 있나요? 2 초등맘 2017/08/18 895
719785 암보험가입하려는데요 1 보험 2017/08/18 607
719784 강아지 무서워하는 여자보면 유난스러워 보이나요? 59 궁금 2017/08/18 6,056
719783 카레 만들어놓은거 2 나마야 2017/08/18 884
719782 잠이 안와서 유투브로 궁금한 이야기 봤는데 별게 다있네요 3 dmadma.. 2017/08/18 1,608
719781 대전에 잔디밭있는 식당 추천부탁드려요. 5 크렘블레 2017/08/18 953
719780 고기먹자 어준아~ 8 고딩맘 2017/08/18 2,278
719779 아래집의 냄새 (냄새는 위로 올라가는것 맞나요) 6 배리아 2017/08/18 5,689
719778 살충제계란 예방 대책 우병우 민정수석실이 막았다 9 샬랄라 2017/08/18 3,592
719777 요즘 아파트들 새벽에 에어컨 냉방 안되나요?? 6 진심 2017/08/18 2,852
719776 딸애 라식수술인데요 11 21살 2017/08/18 3,014
719775 평일에 집에서 한 끼도 안 먹는 남편들 있나요? 11 2017/08/18 2,610
719774 6살아이가 등이 너무 아프다고 우는데 걷지도 못하겠대요 14 m 2017/08/18 7,196
719773 24살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7 24살 2017/08/18 2,358
719772 JTBC의 문재인100일 기념 여론조사 그래프 조작 13 ........ 2017/08/18 3,154
719771 유럽(독일,스위스,이탈리아)에서 운전하기 어떤가요? 9 렌트할까 2017/08/18 1,892
719770 음악을 찾아요.. 3 .. 2017/08/18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