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절대평가, 현대판 음서제로 갈 것... 4차산업혁명과 수능절대평가, 인과관계 없어

돈이실력 조회수 : 1,700
작성일 : 2017-07-31 13:24:22

http://m.pbc.co.kr/news/view.php?cid=690321&path=201707

●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 도입, 왜 반대하시는 것입니까?

▶ 지금 수능절대평가라는 것은 일정 점수 이상 받으면 같은 등급을 부여받는 것인데요. 예를 들면 수능평균 80점에서 100점 사이는 모두 1등급을 준다는 것이 수능 절대평가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같은 등급을 받는 수험생이 수만 명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수능은 변별력을 상실하게 되고 수능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정시는 사실상 무력화가 됩니다. 이렇게 정시가 폐지된다면 결국은 대부분의 신입생을 학생부종합전형 일명 ‘학종’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되는데요.

학종은 고액 컨설팅을 받을 능력이 되는 부유층 자녀에게 유리한 제도이고 또한 깜깜이 전형이라고 해서 정성평가가 반영되기 때문에 배경 좋은 자녀들이 뒤로 무임승차할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학종은 현대판 음서제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 이유는 우리의 교육제도가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해야 하는데 너무나 낙후된 암기식 위주의 교육이 아니냐. 그런 지적 때문에 나오는 것이거든요. 그런 부분을 타개하기 위해서 절대평가를 도입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것인데 그래도 수긍하기가 어려우십니까?

▶ 지금 4차 산업을 대비하기 위해서 절대평가를 도입해서 수능을 무력화시키고 그래서 정시를 없애버리고 수시 학종으로 간다. 저는 국민들이 공감할 수 없는 인과관계라고 생각을 합니다.

수능을 없애는 것이나 4차산업을 대비하는 것이나 지금 수시 학종이라는 그 제도가 있으면 왜 4차산업에 대비가 되는 입시전형 요소인지 설득력이 없습니다. 학종 같은 경우는 지금 굉장히 학생들이 학종을 대비하기 위해서 굉장히 지금 고통을 받고 있거든요.


IP : 223.62.xxx.21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응?
    '17.7.31 1:27 PM (119.207.xxx.31) - 삭제된댓글

    토요일에 광화문 나가셨어요?
    이재명도 좋아요 콱콱 눌렀는데 누르기만 하고 안나온건가요?

  • 2.
    '17.7.31 1:35 PM (116.125.xxx.180)

    하라고해요
    하고 ~
    4년째 즉 현 고1이 수능보고 재수하려고 할때 난리나는거죠
    현 중3들도 난리일테고~

    멀리가면 그때쯤이고 ~
    당장 내년에 고1부터 과목선택제하잖아요
    고1은 공통과목이니 조용히 지나가는데
    고2부터 과목선택
    이때부터 불만 폭발할거라봐요
    솔직히 우리애는 아직 초딩이라 다음 정권인데
    그냥 김상곤, 그리고 사걱세
    니들 맘대로 하고
    쫄딱 망해세 우리애 때는 수능 정상화로 돌아가길 바라는게 차라리 낫겠다 싶어요

  • 3. marco
    '17.7.31 1:50 PM (14.37.xxx.183)

    이미 스카이 70%가 부유한 집 자녀들입니다...

  • 4. ...
    '17.7.31 2:12 PM (223.62.xxx.213)

    토요일 바른정당 의원도 나오셨겠죠? 그 글은 왜 삭제하셨나 모르겠네요...(원글님이 그 글 올리셨다는 것은 아닙니다)

  • 5. 학종만 손보면 되는겁니다.
    '17.7.31 3:11 PM (218.48.xxx.197)

    절대평가가 무슨 80점까지 1등급을 줍니까~
    요즘 보면 물타기 보여요.
    학종을 개선하는 것과 수능 등급제는 다른 논의입니다.
    예전 9등급제는 이도 저도 안되는 이상한 제도 맞아요.
    5등급제도는 그때랑은 달라요.
    장기적으로
    아주좋은 대학들 4~5개, 좋은 대학들 십수개, 이런식으로
    대학서열을 뭉갤 필요가 있습니다.
    촘촘한 지금의 대학서열 구조로는
    어떤 조치도 무용지물입니다.

  • 6. 예전 종부세때 생각나요.
    '17.7.31 3:24 PM (218.48.xxx.197)

    실제 종부세로 손해보는 사람은 재산상위 사람들인데
    서민들 집못사는 걸로 몰고갔었죠.

    수능절대평가는
    상위 5프로 정도 애들이 그 안에서 1프로,2프로,3프로 이렇게 촘촘히 못나누니까
    서연고서성한 줄세우기가 안되는 것 뿐입니다.

    그럼, 학종은 그렇게 촘촘히 나눠놓고 줄세우는데
    정시는 결국 최상위 서연고 안되는 거 아니냐!
    이게 문제죠.
    그럼, 학종을 바꾸면 됩니다.

    학종은 안 바꾸고 정시만 바꾸면
    자사고, 쎈학군애들은 피보는게 맞죠.
    그들이 소수이긴 하지만 피해보도록 방치할 수는 없죠.
    그럼 학종을 보완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게 진짜로 자리잡을 경우
    장기적으로는 자사고니, 쎈학군이니 이런게 사라집니다.
    쎈학교 다니면 대입에 불리하니까요.

    지금 제도가 너무 훌륭하다는 게 아닙니다.
    아이들 무한경쟁에 몰아넣고 온가족이 공부공부하는 나라.
    근데 그 공부내용이 결국 대학가는데에만 유용한 지식이 상당부분인 나라. 4차산업사회랑 완전 역행하는 거 맞죠.
    이게 정상입니까....

    논의는 활발해야 합니다.
    건설적인 방향으로요.

  • 7. 에효
    '17.7.31 4:15 PM (36.39.xxx.243) - 삭제된댓글

    답없는 댓글들 천지네요. ㅡㅡ 지 새끼들이나 공부 시키기 싫음 기술교육 시키던가. 지긋지긋한 뭐당 알바들

  • 8.
    '17.8.1 12:46 AM (122.44.xxx.243)

    권력의 맛을 알면 누리고 싶어하는 속성 때문일 것 같기도 해요
    학종위 최대 수혜자는 기득권입니다.
    알아서들 기겠지요
    권력의 단물을 빨아보려는 대학과 그들과 딜을 했던 최순실처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6374 정치인이 같은 당 의원에게 외계인 소리를 듣는다는 건... 2 막장 2017/08/08 562
716373 딸 처음 키워봐요 유의사항있을까요? 9 2017/08/08 1,715
716372 퇴직금을 퇴직연금으로 바꿀 때 계산법 부탁드려요 3 인사담당자 .. 2017/08/08 1,570
716371 탄산음료 어느정도 드시는편이세요..?? 9 ... 2017/08/08 1,239
716370 워너원 멤버중 누구 좋아하세요 40 11 2017/08/08 4,342
716369 독일에서 출발 자차로 오스트리아 스위스 일정요 5 여행 2017/08/08 852
716368 이게 나라냐 고 다시 물어야 하는 이유 (feat. 이국종 교수.. 고딩맘 2017/08/08 856
716367 더위 다 갔나보네요. 4 ... 2017/08/08 2,781
716366 이철성 "촛불 갖고 이 정권이 무너질 것 같냐".. 12 샬랄라 2017/08/08 2,124
716365 지하철에서 오이 먹는 아줌마 43 진상 2017/08/08 14,444
716364 서민을 위한 부동산정책을 해주세요 20 서민 2017/08/08 1,511
716363 짜장라면 추천해주세요. 6 .. 2017/08/08 1,089
716362 애가 라코스* 검정 티를 사놓고 빨래 못해서 안절부절인데요 19 비싼 티셔츠.. 2017/08/08 5,583
716361 먹다가 남은 반찬들 12 처리 2017/08/08 3,717
716360 재활요양병원 안양군포의왕평촌근처 추천부탁드립니다. 동글밤 2017/08/08 727
716359 북한, 중국, 러시아도 까불면 용서치 않겠다 6 초광성대국 2017/08/08 1,022
716358 지간신경종 댓글 달아주신 분 고마워요. 2 ... 2017/08/08 1,359
716357 저희집 냥이가 5 ... 2017/08/08 1,298
716356 마음에 안 들면 우는 다섯살 아이와 남편 2 ㅡㅡ 2017/08/08 1,528
716355 편의점에서 약 함부로 사서 먹지 마세요~ 특히 판*린.. 9 아마 2017/08/08 5,432
716354 이성적인 사람은 음악으로 성공하기 어려운가요? 6 음악 2017/08/08 1,020
716353 핸드폰 가게에 당했는데 어쩌죠 7 사기 2017/08/08 3,881
716352 어제 41주만에 출산. 지옥같던 시간이 자꾸 떠올라요ㅠ 39 이제 나도 .. 2017/08/08 9,438
716351 삼치 데리야끼 구이 실패하지 않게 도와주세요 3 삼치 2017/08/08 869
716350 좋았던 책 추천합니다 12 책추천 2017/08/08 2,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