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
고려대 공대 교수님 칼럼입니다.
사설.칼럼칼럼
[세상 읽기] 부드러운 언어와 날카로운 논리 / 윤태웅등록 :2017-06-06 19:27수정 :2017-06-07 10:06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스크랩프린트크게 작게
ESC 대표·고려대 공대 교수 수학적 표현에 열광하거나 분노할 이들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언어로서 수학은 건조합니다. 모호하지 않아 오해의 소지도 없습니다. 같은 단어를 다른 의미로 쓰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추론 규칙을 사용하지요. 토론 과정에서 목소리를 높일 필요도 없고, 사람들끼리 상처를 주고받을 이유도 없습니다. 수학적 성과에 경외감을 느끼거나 그런 일을 성취한 수학자의 삶에 감동할 순 있겠지만, 수학적 논리 전개의 과정엔 지극히 건조한 단어와 문장이 등장할 뿐입니다. 화려하지도, 자극적이지도 않습니다. 단순한 구성 요소로 빚어내지만, 결과물은 아주 단단합니다. 아무도 그 논리를 부정할 수 없으니까요.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고도 하지만, 글로 빚은 원한이 만년 간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무슨 말을 하는가?’보다 ‘그 말을 어떻게 하는가?’에 저는 더 관심이 있습니다. 사람은 감성적 동물이기에 일상의 영역에선 논리 못지않게 감성적 소통도 중요하지요. 논리와 감성은 서로 무관하지 않습니다. 필요 이상으로 강한 표현이나 없어도 되는 문장 성분이 갈등과 오해의 소지가 되기도 하고요. 건조한 단어와 문장으로 수학적 추론을 이어가듯, 필수적인 요소만으로 군더더기 없는 논증을 펼치는 건 논리와 감성 양면에서 모두 바람직한 일이라 여깁니다.사람들이 주고받는 말에 너무 날이 서 있습니다. 꼭 베일 것만 같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관련 호칭 문제나 <한겨레21>의 표지 사진을 둘러싼 논란에서도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어떤 이는 오만했고, 어떤 이는 무모했으며, 충돌은 거칠었습니다. 소모적이었지요. 날카로운 논리를 설득력 있게 펴기 위해서라도 표현의 날은 무디게 해야 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달을 가리키는데 왜 손가락만 가지고 뭐라 하냐 따질 수도 있겠지만, 달을 잘 가리키는 일도 중요합니다. 손가락에 집중하느라 달을 보지 못한다면 억울하다 해야겠지요. 상대방이 야유와 경멸의 대상이 아니라 설득의 대상이라면 말입니다.부드러운 언어로 정중하게 수평적 소통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두루뭉술하게 하자는 게 아닙니다. 개념을 정확히 정의하며, 반드시 해야 할 이야기만 구체적으로 하자는 것입니다. 거칢과 마찬가지로 부드러움도 논리적으론 불필요한 요소 아니냐는 지적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칢이 소모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면, 부드러움은 핵심 논점에 집중할 수 있게끔 도와줍니다. 주장을 함과 동시에 들을 준비가 돼 있음을 밝히는 의사 표시가 되기도 할 테고요.문빠라는 단어는 모호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열정적 지지자를 가리킬 수도 있고, 별생각 없는 맹목적 지지자를 일컬을 수도 있습니다. 둘은 의미가 꽤 다릅니다. 맹목적 지지자라는 뜻이었다면 대상을 비하한 셈이겠고요. 어떤 판단으로든 설득이 목적이라면 쓸 이유가 없는 표현인 듯합니다. 또 한겨레를 한걸레라고 하는 순간, 촛불 시민의 곁을 줄곧 지켜왔던 한겨레는 청산의 대상으로 전락하는 셈이 되겠지요. 적어도 그건 아니지 않겠습니까? 새날을 꿈꾸며 같이 촛불을 들었던 사람들끼리 서로 너무 상처 주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한겨레도 더 겸손해지길 기대해봅니다.세상은 아직 그대로고, 우린 이제 겨우 첫발을 내디뎠을 뿐입니다. 같은 방향을 바라보더라도 생각은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차이는 발전의 소중한 동력입니다. 부드러운 언어로 치열하게 소통하며 함께 길을 만들어 가야 하겠지요. 우리가 현명하지 않으면 어찌될지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csidxe96c031e780a553bba...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97736.html#csidx8b5de23cccbc173bf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