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강아지데리고 지하철타보셨어요?

유기견 조회수 : 2,742
작성일 : 2017-06-05 08:01:21
우리집에 처음 오는 강아지를 데리러 갑니다
차로 두시간 거리인데 
예전에 차에서 멀미하면서 토하는 강아지보아서요
제가 운전하는데 강아지가 토까지 하면;;;
지하철이 멀미는 덜할거 같아 좀 멀더라도 그렇게 해보려고 하는데
처음 본 강아지를 버스타고 지하철타면서 두시간가량....
이동가방이 있다고 하는데 그 시간을 잘 견뎌줄지도 걱정이고(이게 젤 큰 걱정)
승객들에게도 민폐가 될까봐 걱정이네요  
어떻게 보세요?
 
IP : 14.32.xxx.4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6.5 8:06 AM (110.70.xxx.214)

    강아지라면 가능할듯 합니다.
    가방에 넣어 대중교통 이용하는것은 합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끔 낑낑거리면 손만 넣어 만져주세요.

  • 2. ...
    '17.6.5 8:09 AM (203.234.xxx.136)

    개 입장에서는 사람 스트레스보다는 차타는게 나을지도 몰라요. 앞으로 동물병원이라도 다니려면 차타야하는데 토하더라도 차타게 해야하지 않을까 해요. 제 친구네 개도 멀미심해서 토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주인 차에 타고 가는거가 나아 보여요.

  • 3. ㅇㅇ
    '17.6.5 8:13 AM (175.223.xxx.105) - 삭제된댓글

    강아지 가방에 꼭 넣으시구요
    앉지말고 서서 가세요
    민폐죠 솔직히 .. 동물 데리고 타시면 안되는 거에요

  • 4. ///
    '17.6.5 8:34 AM (58.231.xxx.175) - 삭제된댓글

    사람들이 많은 지하철보단 자가용이 훨 좋습니다.

  • 5. ㅇㅇ
    '17.6.5 8:41 AM (125.190.xxx.161) - 삭제된댓글

    웅성웅성 사람소리에 역이나 정류장마다 안내방송 소리
    지하철이나 버스에 빈자리 없을때 등등
    스트레스요건이 많아요
    자동차에 태워서 강아지가 좋아하는 음악 들려주면서 오세요
    이동가방들고 버스타러 지하철타러 움직일때마다 가방이 흔들거려 안에 있는 강아지 더 무서워요

  • 6. 강아지
    '17.6.5 8:46 AM (14.47.xxx.244)

    강아지 낑낑거리면 원글님도 힘들어요
    토하더라도 빨리 오는게 낫죠

  • 7. ㅇㅇㅇㅇ
    '17.6.5 8:54 AM (211.196.xxx.207)

    할 지 안 할지는 복불복이라 어차피 한 번 타봐야 알 수 있어요.
    사람 많아서 온갖 냄새 폭탄일 대중교통보다 차가 낫지 않을까요?
    원글님이 알아서 운전도 조심할 테고요.
    케이지 안에 넣으면 돼고요, 그 위에 타월이나 담요 덮어서
    사람 시선, 소리, 관심 차단해주면 좋을 듯 해요.

  • 8.
    '17.6.5 9:36 AM (116.127.xxx.191)

    반려동물 전용택시 있어요ㅡ이동장에 넣어서 기사님이 이동시켜주시는 거에요

  • 9. ...
    '17.6.5 9:47 AM (114.204.xxx.212)

    캐이지에 넣어서 이동해야해요

  • 10. ...
    '17.6.5 9:47 AM (114.204.xxx.212)

    지하철은 멀미 안해요

  • 11. 강아지 이동
    '17.6.5 3:19 PM (67.48.xxx.226) - 삭제된댓글

    새가족을 맞으신 것을 축하합니다. 건강하게 함께 오래 사시길 기원합니다.

    강아지를 처음 데리고 오시는 것이면 웬만하면 지하철 타지 마시고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기차나 택시를 타시고 품에 꼭 안고 데려오세요. 주인이 안고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 이동장에 쑤셔넣으면 무서워할 수도 있읍니다. 주인, 가족을 알게 되고 자기집, 자기차에 익숙해진 다음부터는 이동장에 넣어서 이동장을 무릎에 놓고 (강아지가 주인을 볼 수 있게) 데리고 다니시면 됩니다.

    지하철은 멀미하고 승용하는 멀미하는게 아니라 처음 보는 환경이거나 처음 경험하는 움직임이면 적응을 못해서 토하는 경우가 있고 이동 자체가 스트레스가 되어서 그렇습니다. (승용차가 흔들리는 것과 지하철이 흔들리는 것이 다르니까요)

    그리고 처음 데려 오는 강아지는 따로 재워라 절대로 침대위에 올려놓지 말아라하는 충고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전부 잘못된 충고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아가가 엄마와 처음 태어난 환경에서 분리되어 낯선 집, 낯선 가족과 함께 살게되었는데 첫날밤부터 떨어뜨려놓으면 심하게 불안해합니다. 첫날은 안고 주무시고 2-3개월된 강아지의 경우 3-5시간마다 한번씩 패드에 내려놓으면 알아서 소변을 가립니다. (자기 자는 자리에는 오줌을 싸지 않아요.) 패드에 오줌 쌀 때마다 잘했다고 칭찬해주면 보통 3-4일만에 대소변을 가릴수 있게 됩니다.

    사람 아가나 강아지나 똑 같습니다. 두려움에 떠는 강아지에게 독립심을 가르친다는둥 서열을 가르친다는 하는 것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지요.

  • 12. 강아지 이동
    '17.6.5 3:22 PM (67.48.xxx.226) - 삭제된댓글

    새가족을 맞으신 것을 축하합니다. 건강하게 함께 오래 사시길 기원합니다.

    강아지를 처음 데리고 오시는 것이면 웬만하면 지하철 타지 마시고 (다른 사람이 운전하는) 자기차나 택시를 타시고 품에 꼭 안고 데려오세요. 주인이 안고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 이동장에 쑤셔넣으면 무서워할 수도 있읍니다. 주인, 가족을 알게 되고 자기집, 자기차에 익숙해진 다음부터는 이동장에 넣어서 이동장을 무릎에 놓고 (강아지가 주인을 볼 수 있게) 데리고 다니시면 됩니다.

    지하철은 멀미를 안하고 승용차는 멀미를 하는게 아니라 처음 보는 환경이거나 처음 경험하는 움직임이면 적응을 못해서 토하는 경우가 있고 (승용차가 흔들리는 것과 지하철이 흔들리는 것이 다르니까요), 이동 자체가 큰 스트레스가 되어서 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처음 데려 오는 강아지는 따로 재워라 절대로 침대위에 올려놓지 말아라하는 충고를 하는 사람이 많은데 전부 잘못된 충고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아가가 엄마와 처음 태어난 환경에서 분리되어 낯선 집, 낯선 가족과 함께 살게되었는데 첫날밤부터 혼자 떨어뜨려놓으면 당연히 심하게 불안해합니다. 첫날은 안고 주무시고 2-3개월된 강아지의 경우 3-5시간마다 한번씩 패드에 내려놓으면 알아서 소변을 가립니다. (자기 자는 자리에는 오줌을 싸지 않아요.) 패드에 오줌 쌀 때마다 잘했다고 칭찬해주면 보통 3-4일만에 대소변을 가릴수 있게 됩니다.

    사람 아가나 강아지나 똑 같습니다. 두려움에 떠는 강아지에게 독립심을 가르친다는둥 서열을 가르친다는 하는 것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지요.

  • 13. 보라
    '17.6.6 2:05 AM (219.254.xxx.151)

    애견택시 이용하시는게 좋을듯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5053 장하성 정책실장 "소득격차·실업률, 재난 수준".. 3 샬랄라 2017/06/05 988
695052 화장실에 좋은 향 나게할려면 5 종류 2017/06/05 2,661
695051 디자인쪽 나이들어도 하시는분들있나요? 7 ㅡㅡ 2017/06/05 1,471
695050 저는 옷을 오래 입는 편인가요? 6 1년만에 버.. 2017/06/05 2,044
695049 다슈 샴푸 쓰고 계신분~ 11 머리카락 2017/06/05 1,404
695048 그 여자의 바다 여주 여자 로봇연기네요 7 아들도 2017/06/05 1,888
695047 식기세척기 린스 4 식세 2017/06/05 945
695046 고대 법학과 나와 딴일하는 사람 어떠세요? 22 그냥 2017/06/05 4,121
695045 이규철 특검보 실망입니다 36 어이상실 2017/06/05 13,231
695044 어떤 남편이 나은지? 9 궁금 2017/06/05 1,144
695043 호식이 두마리 치킨 회장보니까 가족들은 정말 창피할것 같아요.?.. 30 ... 2017/06/05 14,870
695042 사시패스해서 대기업법무팀에 1억연봉 받고 취직한게 잘된건가요??.. 24 ... 2017/06/05 6,147
695041 특수활동비 1 ... 2017/06/05 468
695040 요즘 뭐해드세요? 메뉴좀 공유부탁드려요 21 2017/06/05 3,752
695039 이용섭 "[동아일보] 보도, 사실 왜곡시키고 있다&qu.. 2 샬랄라 2017/06/05 1,000
695038 가디건 좀 봐주세요. 4 비싸네요. 2017/06/05 1,082
695037 시동생만 목돈 준 시댁 20 82쿡스 2017/06/05 6,702
695036 이런 상황 사과받았어야 하는거죠? 10 기분이 2017/06/05 1,296
695035 아들일로 조언 부탁드려요 8 아들맘 2017/06/05 1,279
695034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1 ........ 2017/06/05 644
695033 밥먹고 식은땀이 나요 얼마전부터 2017/06/05 578
695032 회사 둘중 고민이예요ㅜㅜ 4 ㅎㅎ 2017/06/05 791
695031 입시가 어려운 이유 3 에휴 2017/06/05 1,229
695030 세탁기 에어워시 기능 잘쓰시나요 4 ㅇㅇ 2017/06/05 1,408
695029 손목 보호대 한 박근혜 전 대통령 16 짰네짰어! 2017/06/05 6,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