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더 나은 교육을 위한 핀란드의 실험, 더 많은 차별

한걸음씩.. 조회수 : 3,606
작성일 : 2017-05-21 01:16:55
 차이를 넓히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좁히는 차별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3431049&cid=58436&categoryId=58436


교육의 미래, 효율성이 담보되는 시간만큼 공부하는 핀란드

한국과 핀란드 학생의 주당 학습시간
총 50시간 vs 총 17.5시간
3배나 많은 시간을 오직 공부에만 투입

OCED에서 실시한 PISA(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 핀란드 1위  우리나라 2위
그러나 학습효율화 지수(한시간 공부할때 점수를 몇 점 올리는지 분석한 지수로 학습 시간과 성취도의 관계)

충격적인 결과는
핀란드는 학습효율화 지수 96.6%로 역시 1위
우리나라는 OECD평균에도 한참 못미치는 65.4%로 24위
학습 효율화 지수가 낮은것은 비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있다는 의미

다른 모든 나라를 압도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시간
공부를 많이 하면 헉업성취도 역시 상승하나 일정수준 이상에서는 시간을 더 들이고 돈을 더 투자해도 더 이상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순간이 옴
즉, 핀란드 학생들은 효율성이 담보되는 시간만큼 공부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은 더이상 효과를 얻지 못하는 시점 이후에도 끊임없이 시간, 돈, 노력을 투입
이렇게 비효율적인 레이스를 포기하지 못하는것은 불안때문.

일정수준 이상의 엄청남 돈, 시간, 노력을 투자해서 얻는 것은 안타깝게도 단 한가지..
문제 풀이 기술..
(우리나라의 경우는  문제풀이 기술을 더 필요하게 만드는 입시제도.사회제도에 근원적인 문제가 있겠어요.)

한번 읽어보시라고 링크합니다.
영재교육마저 수능교육으로 전락시키는 우리나라에서 교육개혁은 너무나도 갈길이 멀고,  교육이 단지 교육제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시스템 전반과 연결된 문제인 만큼 어려운 문제이지만  학교와 학원으로 내몰리는 아이들을 위해서 한걸음이라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래봅니다.

IP : 123.111.xxx.250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우리나라
    '17.5.21 1:18 AM (218.55.xxx.109)

    아이들 불쌍하긴해요~~

  • 2. ...
    '17.5.21 1:19 AM (115.143.xxx.133)

    우리나라 교육환경 이건 정말 정상이 아님

  • 3. ...
    '17.5.21 1:20 AM (49.167.xxx.79)

    그래서 거꾸로교실등 많은 노력들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귀좀 기울여주세요

  • 4. 맞아요
    '17.5.21 1:21 AM (125.191.xxx.148)

    정말 중학생,,고등학생들 너무 공부만 하죠..
    뭐 초등도 놀이터에 볼수가없어요;;;
    그렇게 공부해서 ㄷ ㅏ 만족할만한 삶이 아니듯이..
    최소화 할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만들어줫으 좋겟어요~

  • 5. ..
    '17.5.21 1:22 AM (116.124.xxx.166) - 삭제된댓글

    저..
    우리반 꼴등 만큼 문제풀이 햇어요.
    꼴등은 문제풀이 안 하겠죠?
    그리고 1등 했어요.
    저는 그렇게 많은 문제지와 씨름하던 제 아래.. 등수 애들은
    뇌가 매우 피로해서, 수업 내용이 머리에 안 들어와서 공부를 못 한다 생각해요.
    좋은 교재와 좋은 교사..
    그리고, 휴식..
    이런 정상적인 교육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 6. ᆞᆞ
    '17.5.21 1:22 AM (49.1.xxx.113) - 삭제된댓글

    며칠전 Tvn에서 이적씨랑 따루씨(핀란드사람)이 핀란드 학교 탐방 하는 거 보여줬는데 부럽더라구요.
    우리나라도 저런 교육시스템이라면 학생들이 좀더 일찍 편견 없이 인생을 개척할 수 있었을 것만 같았어요.

  • 7. ..
    '17.5.21 1:24 AM (211.177.xxx.228)

    아이들이 어른들 60시간 노동시간보다 공부를 더 많이 해야해요
    그것도 문재 잘 푸는 방식만.

  • 8.
    '17.5.21 1:26 AM (221.154.xxx.47) - 삭제된댓글

    핀란드에는 특목고가 없죠 그리고 한 학교에서 실업계로 갈 아이와 일반대로 갈 아이가 같이 공부하더군요 학교에 실업계 진로를 선택한 아이들이 실습할 수 있는 기계 장비들을 갖추고요
    개별적으로 진로 맞춤 교육을 하는거에요
    저는 이런 핀란드 학제가 우리나라에 맞을지는 회의적입니다

  • 9. 핀란드 학제를 따라하지는게
    '17.5.21 1:30 AM (123.111.xxx.250)

    아니라, 교육 선진국인 핀란드를 예로 우리나라 교육의 심각한 문제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자는 거예요.

    문제풀이 스킬만 익힌 학생들이 고시에 몰리고, 이런 현상들이 국가 경쟁력까지 떨어뜨리고 있다고 하네요.

  • 10. ...
    '17.5.21 1:31 AM (49.167.xxx.79)

    핀란드, 덴마크 교육에 차이가 있어요.. 핀란드도 결국 줄세우기? 그래서 덴마크 교육으로 갔고요.. 우리에 맞는 교육 찾아야겠지만 지금의 입시와 대학가는 목표의 공부는 국가 존망의 큰 요인이 될것 같습니다..

  • 11. ..
    '17.5.21 1:31 AM (125.186.xxx.75)

    초등학교때부터 기본12시까지 공부만한 대학교2학년 우리딸 좀전에 휴학하고싶다 얘기해서 기분이 좀 그렇네요..놀아본기억이 없고 지금하는 공부가 너무 힘들기만하고 재미없다구요..대학보내도 끝이아니고 참 힘드네요..애들 어릴때부터 너무 공부만 시키는 것같다는 생각은 많이 들어요..교육이 좀 변하기는 해야할것같아요..뭘위해 죽기살기로 그렇게 공부를 시킨건지.....

  • 12. ...
    '17.5.21 1:35 AM (39.7.xxx.240)

    줄을 세우더라도 공부에 재능이 있는 애들끼리 시켜야죠 대다수는 공부에 재능이 없는 아이들인데 부모욕망으로 학원에 온갖 실험을 당하며 고문당하는거죠

  • 13. 그러게요
    '17.5.21 1:37 AM (218.55.xxx.109)

    대학 보내도
    4년동안 학점관리 영어시험 등등 스펙 관리해야되구요.
    참 씁쓸

  • 14.
    '17.5.21 1:42 AM (125.191.xxx.148)

    그리고 지금 초등생들은...공부뿐만아니라..다른것 운동, 미술, 음악 등..
    멀티로~ 다 시킵니다..그냥 즐기는것이 아니라...최고 목표로요...

    결국 아이 혼자 생각할 시간이 턱 없이 부족한게 요즘이예요...

  • 15. ////
    '17.5.21 1:42 AM (210.100.xxx.106) - 삭제된댓글

    그러게요. 공부 잘하는 애들은 공부 재미있어해요.
    그런애들이 공부 해야죠.

  • 16. 인생의회전목마
    '17.5.21 1:45 AM (116.36.xxx.170)

    사회적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을
    애들 대상으로 하진 말았으면 합니다
    직업에따른 처우 문제가 해결되면 대학보내는 문제는 자연스레 해결되지 않을까요?
    교육은 그 사회를 반영하는거라고 배웠습니다

  • 17. 한국식교육수입하는미국
    '17.5.21 1:54 AM (110.70.xxx.217) - 삭제된댓글

    https://youtu.be/bcZ-cfWARk0

    미국은 한국식 교육 수입하고
    한국식 학교가 15개나 개교했고 더 넓혀가고 있어요

    왜 이래요 우리나라

    기득권층 발등에 붙붙었죠?

    자기네만 좋은거 해야하는데
    흙수저가 치고 올라와서 기득권 자식에게 못 물려줄거 같아서?

  • 18. 한국식교육수입하는미국
    '17.5.21 1:56 AM (110.70.xxx.217) - 삭제된댓글

    이거 벌써 4~5년전에 우리나라 방송됐어요

    미국의 흙수저들이 한국식 교육 수입했더니 전원 명문대 진학했었고

    그거 보는 한국 기득권층들 위기감 느껴서
    교육정책 미국식으로 뜯어고친거예요?

  • 19. 한국식 교육수입하는 미국도 사교육은 안가져갔어요.
    '17.5.21 2:43 AM (115.143.xxx.133) - 삭제된댓글

    미국도 한국식의 좋은 장점만 가지고 간거지
    선행 학습이며 사교육이며 이런건 안가져 갔어요.
    학국식과 미국식의 장점을 합해 성공한거죠.
    공부도 오로지 학교 안에서 해결하도록 했지
    우리나라 처럼 수십만원 수백만원씩 써가며 사교육
    받을 필요 없이 학교 수업만으로 명문대로 가더만요.

  • 20. 한국식 교육수입하는 미국도 사교육은 안가져갔어요.
    '17.5.21 2:44 AM (115.143.xxx.133) - 삭제된댓글

    미국도 한국식의 좋은 장점만 가지고 간거지
    선행 학습이며 사교육이며 이런건 안가져 갔어요.
    한국식과 미국식의 장점을 합해 성공한거죠.
    공부도 오로지 학교 안에서 전부 해결하도록 했고
    우리나라 처럼 수십만원 수백만원씩 써가며 사교육
    받을 필요 없이 학교 수업만으로 명문대 가더만요.

  • 21. 한국식 교육수입하는 미국도 사교육은 안가져갔어요.
    '17.5.21 2:46 AM (115.143.xxx.133)

    미국 데모크라시 프랩 차터스쿨은 한국 교육방식의 좋은 장점만 가지고 간거지
    정상적이지 않은 선행 학습이며 사교육이며 이런건 안가져 갔어요.
    그 학교는 공부도 오로지 학교 안에서 전부 해결하도록 했고
    우리나라 처럼 수십만원 수백만원씩 써가며 사교육
    받을 필요 없이 학교 수업만으로 명문대 가죠.

  • 22. Hhh
    '17.5.21 2:50 AM (85.76.xxx.111) - 삭제된댓글

    저 핀란드에도 미국에도 살아봣고 현재는 핀란드에 살아요. 미국보다 핀란드학생들이 훨씬 열려있고 행복해해요, 한국식 교육이 최악이에요 정말. 저같으면 핀란드 교육정책 백퍼센트 지지하겠어요

  • 23. 핀란드는
    '17.5.21 7:28 AM (119.200.xxx.230)

    과도한 경쟁으로 얻는 사회의 전체 이익이
    그렇지 않은 사회보다 적다는 사실을 깨달은 나라라고 할 수 있죠.
    과도한 경쟁사회가 얼마나 많은 경제적 인적 사회적 낭비 위에 서 있는지는
    우리나라를 보면 알 수 있지 않나요.
    물론 지금의 한국을 이루는 데 끝모를 경쟁이 기여한 바가 있지만
    이제는 보다 세심하고 정교한 사회제도가 절실한 때이고
    어줍잖은 평등의식이라는 무시무시한 말이
    얼마나 자해적이고 자기소모적인 사고방식에서 나온 말인지 알아야 합니다.

  • 24. 검색해보니까요
    '17.5.21 8:13 AM (175.117.xxx.235)

    안구 550만
    수출 주종목이 목재 관련 천연광물
    그 다음 주력 산업인
    노키아 망한건 아실테고
    인구적고 자원많은 그들과
    우리랑 전제가 달라요
    놀라운건 왕따와 청소년 자살률이 높다는 점이었구요
    더 나은 쪽 개선의 교육방향을 잡는게 우리에게팔요한건 공감이나
    핀란드 교육의 장점만 보고 비교는 무리
    우리교육의 장덤도 물론있거든요

  • 25. 음...
    '17.5.21 9:28 AM (61.83.xxx.59) - 삭제된댓글

    핀란드 고등학교 입학할때 시험쳐서 인문계와 직업 전문학교로 나뉘는거 아세요?
    대학 못 가는 아이들은 일찌감치 포기시키기 때문에 행복지수가 높은거라는 생각 안드나요.
    우리나라도 중학교 단계에서 대학 갈 아이는 소수로 뽑고 나머지 아이들은 취직 준비 시키면 됩니다.
    경쟁도 줄고 좋네요.
    그런데 그런 제도는 또 반대할거잖아요.

    노무현의 실책 중 하나죠.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대학 가기 쉽게 만들어준 제도...

  • 26. 음...
    '17.5.21 9:32 AM (61.83.xxx.59)

    핀란드 고등학교 입학할때 시험쳐서 인문계와 직업 전문학교로 나뉘는거 아세요?
    대학 못 가는 아이들은 일찌감치 포기시키기 때문에 행복지수가 높은거라는 생각 안드나요.
    우리나라도 중학교 단계에서 대학 갈 아이는 소수로 뽑고 나머지 아이들은 취직 준비 시키면 됩니다.
    경쟁도 줄고 좋네요.
    그런데 그런 제도는 또 반대할거잖아요.

    노무현의 실책 중 하나죠.
    취직 준비를 시켜야 하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을 유리하게 만들어줬죠.
    덕분에 고졸을 채용하던 사무 보조직, 경리 같은 직업조차 대졸자를 원하게 됐죠.

  • 27. ...
    '17.5.21 10:32 AM (114.204.xxx.212)

    우린 인구도 많고 , 직장은 적고 그러니 경쟁 안할수가 없어요
    다 대학가야하고 대기업 들어가야 하니
    블루컬러직업도 중소기업도 월급 비슷하고 존중받고 , 미리 나눠서 대학은 공부할 아이들만 간다면 가능하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1874 유시민..임종석.. 16 이야기 2017/05/26 4,303
691873 사교육 안시키면 공교육에서 잘 가르치나요? 8 ... 2017/05/26 1,376
691872 마포 ㅁㄹㅍ 24평 매도후 잔금남았어요. 못먹고 못자요ㅠ 10 ... 2017/05/26 3,393
691871 당화혈색소 5.7 대학병원 내분비과 안가도 될까요 9 카톡 2017/05/26 5,376
691870 남편 가발- 표안나고 자연스런 가발회사? 추천해주세요 마흔후반 2017/05/26 807
691869 고민정과 한혜진의 공통점 있나요? 3 이상 2017/05/26 1,807
691868 교육 입시제도 우리가 원라는건 1 ㅇㅇ 2017/05/26 480
691867 며느리 직업도 주변에 얘기하나요? 8 글쎄 2017/05/26 4,941
691866 이뻐라 사랑만 해주고 공부 안시키면 어찌되나요? 15 .. 2017/05/26 3,840
691865 학원에서 학생부종합전형 설명회.컨설팅 한다고 문자오네요. 3 ^^ 2017/05/26 1,094
691864 폰네비를 쓰는데 지피에스가 잘 안잡혀요 1 . . 2017/05/26 572
691863 文대통령 격노 "양극화 만든 경총, 반성부터 하라&qu.. 8 샬랄라 2017/05/26 2,223
691862 여친이 싫어하는 행동 6 2017/05/26 1,639
691861 청문회보니 이낙연 총리 후보 좋은 분 같아요 6 0 0 2017/05/26 1,457
691860 허벅지 부종 열감 아시는분 부탁 드려요. 5 쫄쫄면 2017/05/26 3,942
691859 자유한국당 진짜 개ㄸㄹ이 집단 19 ........ 2017/05/26 2,916
691858 미세먼지의 주범이 중국이 아니었던 것 같은 느낌.. 10 yunary.. 2017/05/26 3,748
691857 원글,댓글에 욕 쓰는 분들은 어떤 성격일까요? 4 2017/05/26 428
691856 !!!!!회사 출근 질문요 3 82분들~~.. 2017/05/26 670
691855 검소, 절약 49 평소 2017/05/26 8,529
691854 스탠드 김치냉장고 브랜드 추천 부탁드려요 티니 2017/05/26 550
691853 학종100% 언제 시행되는걸까요? 2 …… 2017/05/26 1,008
691852 세월호 휴대폰 2대 복구… "죽으면 안 돼" .. 3 복구 2017/05/26 2,084
691851 서울시장 개인 식사비는 사비..작년 관사운영비 950만원 지원 2 샬랄라 2017/05/26 1,280
691850 단원고 故 강민규 교감 유족, 출항 당연히 반대했을 것 8 안타까워요 2017/05/26 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