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제개편의 문제점

... 조회수 : 501
작성일 : 2017-04-26 00:58:20
1. 만6세가 초등 1학년으로 간다면 교과 과정은 현 1학년의 과정인가? 유치원 수준의 과정인가? 학령으로 연령대의 교육이 있는데 무시하는건가?
2. 그럼 그 만 6세의 아이들을 지도하는건 유아교육과 선생인가 초등 교원인가?
3. 기계적으로 3개월씩 끊어서 올라간다면 생길 몇년간의 혼란과 한 형제가 같은 학년을 다니는 경우는 어떻게 되는가?
4. 꼭 552 로만 4차산업혁명을 대비한 진로계획,교육이 가능한가?
5. 학령을 낮추면 1년 일찍 사회에 내보낸다는 계획인데 왜?
IP : 49.167.xxx.7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ㅠㅠ
    '17.4.26 1:13 AM (125.176.xxx.13)

    지 자식 외국서 교육시켜
    국내교육 직접해보지도 않고
    교육정책 내놓는가 정말 역겹습니다

    남의 자식은 마루타되도 된다는 심뽀네요
    자기 자식은 선진교육시키고싶고

  • 2. ...
    '17.4.26 1:16 AM (49.167.xxx.79)

    자기 자식들은 해당 안되고요..
    그 부부 보면 예전에 풍문으로 들었소라는 드라마의 유준상, 유호정부부가 연상되네요...

  • 3. ...
    '17.4.26 1:34 AM (119.149.xxx.23)

    5.5 10년간 입시 관계없이 인성교육 창의성교육 하고
    2년간 대학 혹은 직업 진로 결정하니까
    사교육비도 줄고
    장점도 많은것 같네요.

    1ㅇ년후 좋은대학 ,좋은 직업 순위가
    지금과 달라지겠죠?

    그래서 풍문으로 들은
    그 드라마 같은
    드러운일
    안겪어도 될거에요 아마.

  • 4. ...
    '17.4.26 1:55 AM (1.231.xxx.48)

    2년 빨리 초등학교 보내고
    2년 빨리 졸업시키면
    입시 관계없이 인성교육, 창의성 교육이 되는 건가요?

    우리나라 교육이 이렇게 변질된 건
    일자리 문제에요.

    사회에 안정적 일자리가 부족해서
    다들 어릴 때부터 과도한 경쟁을 하고
    교육에 너무 많은 돈을 투자하게 된 거죠.

    사회 시스템을 개혁하고 안정적 일자리를 공급하는 정책이 우선입니다.

    만5세-한국 나이로 6세 아이들을 초등학교 보낸다고 해서
    부모들이 아이들 사교육을 안 시키지 않죠.

    초등교육은 유아교육과 달리
    아이들을 평가하는 걸 전제로 하는 교육이에요.
    그 평가 기준에 맞추기 위해
    오히려 지금보다 더 어린 나이부터 아이들이
    사교육 시장에 내몰릴 위험이 큽니다.

    학제개편을 하면 선진국형 교육혁명이고
    4차산업혁명에 맞는 인재가 양성된다는 건
    쥐박이의 4대강 공약과 똑같은 거죠.
    4대강 사업하면 수질 개선되고 물류유통 활발해진다며
    20조를 해처먹은 쥐박이의 4대강 사업.

    학제를 개편해서 아이들 학교 2년 빨리 보내면
    아이들 사교육 문제, 창의성 교육 다 해결된다는며
    22조를 투입하겠다는 안철수의 학제 개편.

    참 비슷한 점이 많네요.

  • 5. ;;;;;;;
    '17.4.26 7:41 AM (222.98.xxx.77) - 삭제된댓글

    애들 초등학교때 부터 직업교육반 안가려고 사교육이 더 극성을 부릴 듯..
    거기다 15개월 씩 끊어서 학년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면
    저 애들은 12년동안 경쟁이 1.5배

    실보다 득이 많다고 하는데 실에 해당하는 아이들 인생은 전혀 고려하지 않음
    애들자체를 그냥 숫자로만 헤아림.

    저 정책 자체에는 사람이 빠진 효율만 존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80854 개표조작의 대안이 필요합니다 4 xxx 2017/04/27 272
680853 보건 의료인 2600명 안철수 지지ㄷㄷㄷㄷㄷㄷ 24 ㅇㅇ 2017/04/27 2,262
680852 심상정에 대해 쌔~한 느낌 가지게 되었던 클리앙 글 8 클리앙 2017/04/27 1,346
680851 영어 관계대명사 관련해서 알고싶어요^^ 2 그림자밟기 2017/04/27 633
680850 요즘 실손보험 갈아타는게 좋다는데 6 절약 2017/04/27 1,923
680849 문재인, 통합화력격멸훈련 참관 "북한 도발 시 강력 응.. 1 군과 함께 .. 2017/04/27 225
680848 '성적 능력 떨어진다'는 말에 60대가 전처 살해·암매장 2017/04/27 1,309
680847 이미 대세는 기울었네요. 26 ggg 2017/04/27 2,444
680846 이재명 안희정 안철수, 이제는 심상정? 마, 고마 해 9 qwer 2017/04/27 712
680845 이제 심상정이 대안인가? 8 무무 2017/04/27 502
680844 안지지자분들 8 .. 2017/04/27 305
680843 조지루시 코끼리밥솥 오프라인 매장 아시는 분ㅠㅠ 3 기즈모 2017/04/27 984
680842 은행직원 카톡프로필을 봤는데;; 7 .. 2017/04/27 3,435
680841 왜 안철수 지지하나요? 15 Why 2017/04/27 702
680840 홍준표 문재인 지지율 변동 5 yyoung.. 2017/04/27 929
680839 애들 고3 되면 좀 변하나요? 3 자식 2017/04/27 1,155
680838 심상정 "제왕적 대통령제 수명 다해..내각제로 가야&q.. 18 개표감시 2017/04/27 969
680837 안철수 공보물 영리한 전략인듯 41 기타등등 2017/04/27 2,151
680836 시장에서 종이컵 4컵정도 쌀 어디가면 살 수 있나요? 3 123 2017/04/27 888
680835 조국 "문재인, 안보를 지키고 평화를 만들어낼 사람&q.. 6 ........ 2017/04/27 464
680834 이보세요! 문재인은 분노가 아닌 슬픔이었다 11 이니짱 2017/04/27 1,016
680833 홍준표 서문시장 야시장 6 ㅇㅇㅇ 2017/04/27 831
680832 안희정, 사람을 질리게 하고 질리게 한다 5 누가? 2017/04/27 1,040
680831 이번 연휴에 가실곳이 없으신 분 추천해 드릴께요~ 17 해질녁싫다 2017/04/27 2,994
680830 더블 스코어라고 안심하면 안되겠어요 5 ㅇㅇ 2017/04/27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