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재점화한 수시·학종 논란…대선 이후 변화 불가피

조회수 : 617
작성일 : 2017-04-02 12:20:35
스펙·내신·수능 '멀티플레이' 부담" VS "학교현장·교육정책 변화로 개선 가능"

대학 수시모집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 효과를 놓고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대통령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과 교육 현장에서는 연일 찬반 양론이 부딪히는 모습이다.

특히 대선 이후 교육정책의 구조적·내용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10여년간 대학 입시의 큰 방향이었던 수시·학종 확대 기조도 어떤식으로든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 수시·학종, 교육계 '뜨거운 감자'로 재부상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근 정치권은 물론 교육 현장에서도 연일 수시모집과 학종을 두고 찬반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해 내놓은 자료를 보면 2018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약 35만2천명 가운데 수시모집 인원은 25만9천700명가량으로 73.7%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치른 2017학년도 대입에서 수시모집 비중이 69.6%가량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그 비율이 더 높아졌다.

수시모집은 대부분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진행되는데 2018학년도의 경우 학생부교과전형으로 14만900명가량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8만3천200명가량을 각각 뽑는다.

특차모집이 폐지된 2002학년도부터 입시 지형도를 바꾸기 시작한 수시모집과 학종은 10여년 만에 대입의 가장 큰 줄기가 됐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前) 대표는 수시모집 축소를 교육분야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의 정시모집이 학종으로 대표되는 수시모집보다 공정성 논란이 적고 사교육 부담도 덜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안희정·이재명 후보도 공정성 측면에서 수시가 적지 않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축소 필요성을 언급했다.

◇ 학생 '멀티플레이' 부담 덜고 공정성 강화할 방법은…

10여 년간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은 학종이 사교육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재능을 가진 아이들을 가려내는 데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학생들은 학종을 준비하면서 여전히 수능과 내신성적에도 신경을 써야 해 '멀티플레이어'가 되기를 강요받는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이런 문제점은 결국 교과 과외는 물론 면접학원·자기소개서 첨삭 학원·다양한 비교과 활동 과외 등 고가의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비판으로도 연결된다.

교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펙' 쌓기 활동 역시 부모의 뒷바라지와 사교육을 바탕으로 하면 훨씬 수월하므로 결국 학종은 부유층 학생이 수능에 매진하지 않고도 손쉽게 대학에 갈 수 있는 '금수저 전형'이라는 것이다.

공정성 논란도 '현재진행형'이다.

수능으로 수험생을 줄 세워 뽑던 시절에는 입시제도의 획일성에 비판이 있었지만 전국의 수험생이 같은 문제를 풀고 같은 잣대로 채점한 성적통지표를 받았기 때문에 적어도 공정성 면에서는 학종보다 앞서 있었다는 주장이 여전하다.

고등학교 2학년 딸을 둔 이선영(49)씨는 먼저 아들·딸의 입시를 치러본 친구들의 조언을 듣고 아이가 다양한 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보다 교사가 학생부에 아이의 세부능력을 얼마나 자세히 적어주느냐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이 씨는 "각 학교가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평가방법, 교사 가치관이나 관점 등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학종은 아이들이 절대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없는 입시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대선 이후 교육정책 변화에 따라 학종의 특성과 위상에도 변화가 따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IP : 223.38.xxx.14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러니까요
    '17.4.2 3:47 PM (124.54.xxx.150)

    내가 얼마나 그 대회를 즐겼는가보다는 그 대회 성적이나 담임교사 한사람의 평가만이 그 아이의 인생을 좌지우지하게 되었으니까요. 다 아시겠지만 내 윗 상사에게만 평가를 받아야해서ㅜ상사의 부당함에는 대응하지 못하게 되잖아요 그 상사에게 잘보이기 위해 기를 써야하고.. 실제 실력보다 아부잘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사회의 축소판이 되어버린거죠. 그런 사회가 진짜로 발전할수있다고 생각하나요?

  • 2. ㅌㅌ
    '17.4.2 3:52 PM (14.35.xxx.111)

    학교에서 과제하는데 부모님이 두분다 의사인 아이와 팀짤려고 애들은 줄섰데요....ㅜㅜ
    다른동아리장 엄마가 네이버 이사라 화사에서 애들 웹개발할수 있게 도와준답니다
    능력없는 부모가 미안할 뿐이죠
    아이가 요즘 하는말이 인맥 학맥 외모가 중요하다는걸 뼈저리게 느끼고 있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71018 82쿡 대응삼팀원.. 오늘 좀 일찍 퇴근하겠습니다. 39 ... 2017/04/07 1,476
671017 문재인과 세월호 추모곡 '그리움 만진다' 13 먼저 꽃이 .. 2017/04/07 537
671016 주거형 오피스텔 살기 어때요? 12 ~~ 2017/04/07 3,699
671015 미세먼지 때문에 비염이 심해졌어요 3 .. 2017/04/07 638
671014 반찬가게서 반찬 사먹는 2 사람인데요 2017/04/07 1,480
671013 문후보 향한 네거티브 3월만 240회 18 이렇게 많이.. 2017/04/07 596
671012 제가 아는 동네엄마는 아직도 아가씨 느낌이 나요 32 안느 2017/04/07 18,771
671011 자동차보험 갱신중입니다 ㅋ 1 .... 2017/04/07 669
671010 안철수 지지하는 분들 댓글 달아보아요(문재인지지자는 패스) 16 궁금 2017/04/07 575
671009 국무총리 손학규..정동영 통일.외교부장관? 6 누구맘대로?.. 2017/04/07 397
671008 홍준표 발끈 "안철수 찍으면 박지원이 상왕 된다&quo.. 9 샬랄라 2017/04/07 717
671007 이불을 빨아도 미세먼지때문에 널수가없네요 1 d 2017/04/07 588
671006 경북 어르신들 설득했어요 8 ttt 2017/04/07 819
671005 부동산 중개수수료 30만원정도 인데 부가세주고 현금영수증 하는게.. 1 ,,, 2017/04/07 572
671004 정말 문재인에게 아들문제 노통 사돈 문제뿐인가보네요 27 검증시작 2017/04/07 1,254
671003 중1남아 친구한테 협박을 받는다는데요.. 4 가슴두근 2017/04/07 927
671002 자~다들 하나되어 정권교체 합시다. 2 적폐청산정권.. 2017/04/07 290
671001 김미경과 안철수 다시보기 19 Hh 2017/04/07 1,675
671000 반찬 사 드시는분, 1만원 할인쿠폰 받아서 구매하세요 1 공유 2017/04/07 549
670999 문재인 아들 논란 이제 끝났네요. 31 이팝나무 2017/04/07 3,657
670998 단발머리나 숏커트일때 미용실 가는 주기 어떻게 되세요.. 7 .... 2017/04/07 10,593
670997 문빠들 안철수 상승세니 게시판 도배질 50 문도배 2017/04/07 626
670996 안희정 지지자입니다. 26 음.. 2017/04/07 1,333
670995 세월호 4번탱크 평형수는 누가 뺀것일까요? 7 미스테리밝혀.. 2017/04/07 569
670994 이 봄날 슬프고 아픈 동영상이네요.ㅜㅜ 1 새봄꽃 2017/04/07 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