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금치 데친후 찬물에 헹구는게 맞나? 안맞나?

시금치 조회수 : 6,590
작성일 : 2017-02-27 06:53:36
시금치 삶은후 찬물에 헹구면 수용성 뭔가 빠져나갈듯싶기도
하고, 양념안하고 보관하면서 조금씩 꺼내먹으려할때
쉽게 상하는 원인이 될듯도 싶고요.
데친후 그대로 꼭짜서 넓게펼쳐 신속히 식힌후 보관하면
더오래 보관할수 있는데, 약간의 떫은맛이 나더라구요.
어느방법이 옳은지?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IP : 61.74.xxx.19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2.27 6:58 AM (114.206.xxx.150)

    찬물에 헹궈야 결석의 원인이 되는 수산염도 줄어들고 파릇한 색도 유지돼요.

  • 2. 시금치
    '17.2.27 6:59 AM (121.176.xxx.33)

    당연히 휑구는 데..
    시금치를 저는 씻지 않고
    데쳐서 씻거든요
    데친물이 깨끗 하지 않으니 (흙이나 이물질)
    저는 얼른 데쳐서 휑궈요

  • 3. ..
    '17.2.27 7:02 AM (124.53.xxx.131) - 삭제된댓글

    다듬어 깨끗이 씻고 데친 후 흐르는 물에 재빨리 휑구고..
    시금치는 그때그때 한끼먹을 정도만 이 그나마 나은거 같아요.

  • 4. ...
    '17.2.27 7:54 AM (58.226.xxx.169)

    바로 찬물에 씻지 않으면 오버쿡 되잖아요.
    요리책에도 보통 데친 야채들은 바로 찬물에 헹구라고 해요.

  • 5. 수용성 뭔가가
    '17.2.27 8:01 AM (175.192.xxx.109) - 삭제된댓글

    빠져나가게해야 몸에 좋은거임.ㅡ댓글에 써있네요

  • 6. 안 씻어요
    '17.2.27 8:08 AM (121.188.xxx.59)

    우리 남편이 시금치 나물을 아주 좋아해서 시금치 정말 자주해요.
    겨울에 섬초는 정말 좋아해서 거의 매일.
    그렇지만 시금치를 데치는 과정으로 수산염은 제거됩니다.
    따라서 찬물에 씻을 필요없어요.
    그냥 데친 물을 버리면 되는겁니다.

    저는 시금치 데치기 전에 4번 이상 잘 씻어요.
    시금치는 잘 씻지 않으면 모래 씹히는 불상사가 일어나죠.
    시금치 데친 다음에는 찬물에 헹구지 않고 물을 쥐어짜지도 않아요.
    그냥 체에 받혀서 물 빠지게 뒀다가 양념합니다.

  • 7. ㅇㅇ
    '17.2.27 8:16 AM (49.142.xxx.181)

    우리 중고등학교 가사시간에 배웠죠.
    녹색 채소는 소금물에 데친후 찬물에 재빨리 씻어야 색과 향, 영양소가 보존된다고요.

  • 8. ㅡㅡ
    '17.2.27 8:19 AM (111.118.xxx.165)

    기초적인 질문에 황당답변이 나오는군요..

  • 9. ladypee
    '17.2.27 8:51 AM (59.19.xxx.81)

    기초적인 질문에 황당답변이 나오는군요..222222

  • 10. 까디
    '17.2.27 10:07 AM (191.187.xxx.67)

    저는 그동안 시금치는 데친후 찬물에 안헹구고 짜서 양념했는데요.
    뭐가 맞는건지 누구 확실히 알려주세요.

  • 11. ㅇㅇ
    '17.2.27 11:59 AM (49.142.xxx.181)

    뭐가 맞긴요. 소금물에 데쳐서 찬물에 헹구는게 정답이에요. 참.. 가사시간에 이런거 안배우신
    세대들도 많은가봐요.
    이거 가사시험에 매번 나오던 중요문젠데;;;

  • 12. 안 헹궈요
    '17.2.27 1:42 PM (112.186.xxx.156) - 삭제된댓글

    저 시금치 데친 다음에 찬물에 헹구지 않아요.
    이유는 순전히 미적인 이유로..
    찬물에 헹구고 나면 시금치가 덜 예쁘더라구요.

    시금치를 데칠 때도 저는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끄고 시금치를 데칩니다.
    시금치는 금방 데쳐지니까 끓는 물에 오래 두면 안되어요.
    데치고나서 바로 건져서 뭉친 상태로 두지 않고 잘 식도록 하고 가만 냅둬요.
    그렇게 물빠지게 둔 다음에 다 식고 물 빠지면 무쳐요.

    찬물에 바로 헹구는 건 너무 뜨거운 물에 해서 그런거 아닌가요?
    시금치를 식히는 방법이 찬물에 헹구는 것만 있는건 아니죠.
    식히는 방법이 자신의 방법만 옳고 다른건 다 틀렸다고 하는건 무슨 오만인가 싶네요.

  • 13. 찬물로 헹구지 않아요.
    '17.2.27 1:44 PM (112.186.xxx.156)

    저 시금치 데친 다음에 찬물에 헹구지 않아요.
    이유는 순전히 미적인 이유로..
    찬물에 헹구고 나면 시금치가 덜 예쁘더라구요.

    시금치를 데칠 때도 저는 물이 팔팔 끓으면 불을 끄고 시금치를 데칩니다.
    시금치는 금방 데쳐지니까 끓는 물에 오래 두면 안되어요.
    데치고나서 바로 건져서 뭉친 상태로 두지 않고 잘 식도록 하고 가만 냅둬요.
    그렇게 물빠지게 둔 다음에 다 식고 물 빠지면 무쳐요.

    찬물에 바로 헹구는 건 너무 뜨거운 물에 해서 그런거 아닌가요?
    시금치를 식히는 방법이 찬물에 헹구는 것만 있는건 아니죠.
    깍두기도 소금에 절이지 않고 담는 방법도 있듯이
    자신의 방법만 옳고 다른건 다 틀렸다고 하는건 무슨 오만인가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6230 이시국에 죄송하지만....하얀거탑 다시볼수있는 ㅎㅎ 2017/02/27 228
656229 가슴 좀 작아보이는 브라 있나요? 5 -- 2017/02/27 1,681
656228 오늘자 뉴스공장 들으셨나요 12 어이없어라 2017/02/27 1,915
656227 성당에 다니고 싶은데 13 .. 2017/02/27 1,658
656226 자녀가 계속 부모 원망하는경우 23 특검연장 2017/02/27 12,520
656225 린나이나 쿠첸 인덕션 써보신 분 계신가요? 1 스나이퍼1 2017/02/27 2,384
656224 유기농 기저귀 추천 부탁드려요~! 1 123 2017/02/27 372
656223 호텔에 가면 나는 깨끗한 냄새...ㅎ 4 궁금 2017/02/27 3,663
656222 우상호 국회의원실 전번 아시는 분? 3 더민주야 죽.. 2017/02/27 436
656221 국민의당, '특검연장 불승인'에 黃권한대행 탄핵 추진하기로 32 탄핵 2017/02/27 1,163
656220 알려주세요)땀이 안나는 체질인가봐요 - 족욕이나 반신욕 말고 2 즐거운혼밥녀.. 2017/02/27 1,508
656219 문재인 민주당이 황교안 총리직 유지 주장했죠 탄핵도 처음엔 반대.. 41 ㅇㅇ 2017/02/27 1,336
656218 야권 대선주자들 "황교안도 공범 자인한 것" 2 샬랄라 2017/02/27 484
656217 실제 vs 실재, 실재성 vs.실제성 4 구분 2017/02/27 5,610
656216 성당은 처음에 어떻게 다니나요? 11 성당 2017/02/27 3,381
656215 아침에 일찍 일어나면 계속 헤롱헤롱 집중을 못해요 1 hh 2017/02/27 511
656214 명예퇴직 신청 2 근속 19년.. 2017/02/27 1,512
656213 고딩 아들 - 자꾸 장에 가스 차고 트림, 방귀 나오는 거 내과.. 6 건강 2017/02/27 2,529
656212 80프로 대출받아 200억 새 당사로 이사하는 민주당 39 민주당 2017/02/27 2,079
656211 엄마가 방송통신고등학교 다니시려고 하는데 과정 어렵나요? 3 ..... 2017/02/27 833
656210 현 검찰총장이 누구인지 아시는 분 3 박근혜구속 2017/02/27 560
656209 가상계좌로 돈을 잘못보냈는데 찾을수 있나요 2 어떡해요 2017/02/27 2,846
656208 특검연장 못한다는 교활한 넘이 국정2차장 자살하게 9 문재인 민정.. 2017/02/27 1,222
656207 검찰을 믿으란다..고양이한테 생선을 맡기지. 2 웃겨 2017/02/27 400
656206 택배 오배송 사고 5 나는나 2017/02/27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