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비석에 새겨넣는 가족의 범위와 순서

가족 조회수 : 11,469
작성일 : 2017-01-27 20:24:56

어르신이 돌아가셔서 비석을 세우려는데요,

거기에 새겨넣을 가족의 범위와 순서에  대해 가족의 생각이 달라서 어떻게 하는게 현명할지요.


비석에 새기는 가족의 범위와 순서에 대해서 여러가지 말들이 많아요.

1. 아들, 딸,

손,

며느리  이렇게 하는게 정석이었다네요.

 

2. 요새는 사위와 외손주도 넣어야 한다고  손 부분에 친손주와 외손주를 써야 하고

사위도 넣어야 한대요.


3. 아들, 딸.. 이 순서대로 하지 말고 태어난 순서대로 하라는 사람도 있고

 마찬가지로 친손주와 외손주도 위에 아들과 딸의 순서에 맞게 외손주건 친손주건 아들 딸의 순서대로 하라고 하구요.


4. 어떤 사람은 아들 딸.. 이 바로 후에 손이 오는게 아니고

며느리, 사위가 와야 하고 그 뒤에 손(외손 포함) 이 와야 한다고 하구요.


아이고..

하고 말이 많으니 어찌해야 좋을지요.

IP : 121.188.xxx.59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7.1.27 8:47 PM (121.128.xxx.51)

    요즘 4번으로 하던데요

  • 2. 기을동화
    '17.1.27 8:56 PM (121.55.xxx.177)

    저도 잘은 모르지만, 비석을 세우고 이름을 적는것은 유교식 풍습의 영향이 커서, 예전에 며느리 이름까지
    비석에 썼나 싶은데요...마찬가지로 사위 이름을 비석에 썼을까 싶어요. 남자형제가 셋 이상만 되면, 그냥
    아들3명 이름만 쓰면 되지않을까요? 딸이나 손자이름은 빼고요~ 혹은 아들이 적어서 허전하다 하면 딸
    이름을 넣으시거나 하시고, 그래도 허전하다면 애들이름 나이순으로 넣고~~ 며느리 사위는 원래 비석에
    안새기지 않나요? 그냥 개인생각이네요~

  • 3.
    '17.1.27 9:00 PM (203.226.xxx.240)

    집안의견대로 하세요
    저흰 3번으로 했어요 다들 그방식을 원했거든요
    자식들 나이순으로 그리고 사위 며느리 그다음에 손주(친손주에손주 상관없이 자식들 순서대로)들

  • 4. 그냥 내 식대로
    '17.1.27 9:22 PM (112.169.xxx.161) - 삭제된댓글

    각자 집안 분위기대로 하세요. 언제까지 중국에서 유래된 중국서도 다 잊혀진 허례허식에 맞춰 살건가요. 가풍대로 하세요.

  • 5. ..
    '17.1.27 9:39 PM (114.206.xxx.173)

    저희 시집이나 친정이나 둘 다 4번.
    50여년 전 친정할아버지 비석에도 그리 했어요.

  • 6. 가족
    '17.1.28 4:11 PM (112.186.xxx.156) - 삭제된댓글

    오..
    댓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젊어서 죽은 아들은 어떻게 하나요? 올려야 하는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5962 설연휴 지나고 문재인측 영입인사 발표한다는데............. 33 영입인사 2017/01/28 2,333
645961 개들은 생각을 할까요??? 20 개 아이큐 .. 2017/01/28 4,118
645960 마음을 다쳐도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 2 .. 2017/01/28 1,323
645959 요즘 암보험 작은 혹도 부담보 잡네요. 6 고지의무 2017/01/28 2,145
645958 성이 용 씨가 있나요? 7 사소함주의 2017/01/28 3,689
645957 따뜻한 친정엄마 있는 분들 이야기들려주세요.. 8 아마다음생에.. 2017/01/28 2,895
645956 여론조사 헛것이고 호남은 안철수에게 베팅해보자는 오승용 전남대 .. 11 오승용 2017/01/28 1,324
645955 쌀이 떨어졌습니다 죽전역 이마트 영업하나요 5 ㅠㅠ 2017/01/28 2,124
645954 냉동참치회 어디서 살수 있나요?? 2 .. 2017/01/28 853
645953 이영애처럼 머리 자르고 싶은데 6 ,,, 2017/01/28 4,289
645952 예전엔 명절만 되면 1 ㅇㅇ 2017/01/28 691
645951 아이 낮잠 재울때 깜깜하게 해주니 오래 자네요. 1 2017/01/28 878
645950 명절에 외식 하는분들 어디서 하시나요? 10 겨울 2017/01/28 3,220
645949 아이없는 11년차에요.아이없는 삶을 이제 받아들이는 듯해요 28 그냥 2017/01/28 18,341
645948 큰아버님댁에가서 일하느라 세배깜빡했는데 졸지에 xx됬어요 12 바보 2017/01/28 3,468
645947 카드 연회비 문의 3 아기사자 2017/01/28 1,120
645946 오늘 문열은 마트는 없겠죠? 13 2017/01/28 2,915
645945 혼자계신분들 점심은 뭘로 드시나요? 6 무지개 2017/01/28 2,094
645944 차례음식 기름 많이 들잖아요. 1 궁금 2017/01/28 1,533
645943 친정엄마한테 받은 유산을 동생이 뺏으려고 해요. 5 도와주세요 2017/01/28 4,937
645942 설되면 생각나는 어느 82분.. 2 2017/01/28 2,314
645941 84세 노모.. 오랜만에 오셨는데 계속 주무시네요 5 .. 2017/01/28 4,482
645940 지금 몇시간 동안 안가고있는 친척있나요? 1 ... 2017/01/28 1,631
645939 큰어머니께도 전화드려야할까요?.. 2 ..ㅁ.. 2017/01/28 1,026
645938 지금 시내 이런곳 차가 많이 막힐까요? 4 ,,, 2017/01/28 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