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뭔가를 하려면 필요한 것들이 뭔가요?

조회수 : 798
작성일 : 2017-01-23 13:33:51
뭔가 자라면서 살면서 보고 배운 것도 참 없고 의논할 상대도 없었고 항상 알고자 하며 찾았었지만 도무지 왜 이리 아는 것도 없고.. 그런 것 같아요.
그냥 총체적인 질문이에요.
어떤 일이든.. 생각이나 구상은 많고 아주 용케는 어느 정도 계획도 해 보는데 그 정도까지가 끝이에요. 언제나..
그럼, 그 다음 발을 떼고 시작하거나 나가기까지 필요한 것들은 무엇들이 있을까요?
가장 먼저는 본인의 의지와 계획의 구체성이겠죠? 안 그러면 뜬구름으로 끝나거나 용두사미 될 수 밖에 없겠죠?
그리고 또 필수불가결한 건.. 자본, 사람.. 맞나요? 사실 두번째 세번째까지 미리 생각하다 보니 첫단계에서 지레 꺾이곤 하게 되는 거 같지만요. 여하튼..
또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요? 뭐든 있는대로 다 좀 나열해 봐 주실 수 있을까요? 아무거든 구체적인 것이든 추상적인 것이든 다요..
아울러 주의할 것들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가능하면 답글 달겠지만 그래도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25.142.xxx.212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ㅈㄷㄱ
    '17.1.23 1:34 PM (175.209.xxx.110)

    절실한 의지와 동기부여죠. 계획까지만 하고 끝이라면.. 그 일을 해야 할 절실한 이유가 없었던 거죠.

  • 2. ..
    '17.1.23 1:35 PM (210.217.xxx.81)

    액션! 실행하는거죠 너무 고민 계획 가능성 따지다보면..

  • 3. 돈이요.
    '17.1.23 1:38 PM (175.223.xxx.182)

    제목만으로 돈이라고 생각했는데 내용을 읽어도 여전히 돈이네요.
    다 날려도 상관없는 돈으로 아무거나 시작해보세요.
    그러다보면 좋아하는 것도 보이고 방법도 보입니다.
    부자집 자식들이 괜히 대를 이어 부자로 사는게 압니다.

  • 4.
    '17.1.23 1:41 PM (175.252.xxx.4)

    미흡한 시작은 모험인데 항상 리스크가 따르니까요.. 그걸 감당할만큼의 바탕은 있어야 가능하겠죠..
    네, 위에 쓴대로.. 의지와 계획(동기부여), 다음엔 결국 밑천, 돈이더군요.. 자본,인력.

  • 5. 읽어보니
    '17.1.23 1:42 PM (112.105.xxx.244) - 삭제된댓글

    원글님께 제일 필요한건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종잣돈이네요.
    당분간 종잣돈 모은다 생각하시고 저축에만 집중하시고요.
    저축하시면서 어떤일을 할 지 천천히 생각해 보세요.

  • 6.
    '17.1.23 1:49 PM (175.252.xxx.4) - 삭제된댓글

    하아.. 결국 돈이 되는 건가요;?
    그러나 이 글을 쓴 이유는, 어쨌든 방법면에서..
    돈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또 '전부'는 아니니까요..
    100을 갖고 시작하는 사람도 1을 가진 사람보다 물론 유리하긴 하겠지만 그 사람도 100을 잃을 우려가 있는 건 마찬가지일 거잖아요.

  • 7.
    '17.1.23 1:51 PM (175.252.xxx.4) - 삭제된댓글

    하아.. 결국 돈이 되는 건가요;?
    그러나 이 글을 쓴 이유는, 어쨌든 방법면에서..
    돈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또 '전부'는 아니니까요..
    100을 갖고 시작하는 사람도 10을 가진 사람보다 물론 유리하긴 하겠지만 그 사람도 100을 잃을 우려가 있는 건 마찬가지일 거잖아요.
    100이 있어도 요령부득인 사람도 있고 10이 있어도 해나가는 사람이 있고.. 그렇기도 하잖아요.

  • 8. ..
    '17.1.23 2:13 PM (210.217.xxx.117) - 삭제된댓글

    누가 가르쳐주지 않으면, 실패가 선생이에요.
    그런데, 부모한테 물려 받아, 어려서 부터 곁눈질이나 도와가면서 배운 것 아니라면
    아무리 지인이 많아도 막상 시작하면 또 실패가 기다려요.
    실패를 어느 정도 하냐면요. 밥 먹듯이요. 실패를 통해 배운다고 할까요.
    사람 때문에 깨 먹고, 일을 잘 못 해 깨지고, 운이 없이 깨지고, 경험이 없어 깨지고..
    그럼에도 마구 도전해서 실패를 얼마나 많이 했느냐가 이제 더 이상 할 실패도 없겠다 싶을 때가
    성공할 때입니다.
    주변에 사람이 없으면 나는 보고 배울 만한 사람이 없어서..
    처음에는 멘토처럼 끌어주는 사람이 있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좀 더 깨지면 되는 거지요.
    이것은 사업은 물론, 그 무엇이라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거죠.

  • 9. ...
    '17.1.23 2:39 PM (1.228.xxx.200)

    긍정적인 자세요.
    항상 리스크가 있고 실패도 겪을수 밖에 없는데
    실패를 겪고 난뒤에 일어서느냐 마느냐가 관건이죠.
    주변에 실패를 많이 겪고 일어난분들 보면 굉장히 긍정적이고
    다른 사람같으면 자살하고 싶은 순간에도 웃음을 잃지 않고 적극적으로 임해요.
    어딘가에서 읽었는데 가벼운 조증과 같은 정신병이 있어야 뭔가를 성공하기 쉽다고 하더라구요.

  • 10.
    '17.1.25 1:42 PM (175.252.xxx.152)

    답글이 늦었네요;.
    듣고 싶었던 말씀들을 써 주신 것 같아요. 답정너는 아니지만.. 다 정해진 것보다 좀 다른 부분의 말씀들..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4223 코스코에서 산 물건을 다른 코스코에서 반품및 교환이 가능한가요?.. 1 코스코 2017/01/23 988
644222 과도(주방에서 쓰는 작은 칼, 식칼) 궁금합니다..^^; 8 서영 2017/01/23 1,790
644221 심은하씨도 성형했나요? 18 환영 2017/01/23 11,210
644220 태후 랑 도깨비.. 뭐가 좋으셨나요? 28 베베 2017/01/23 3,587
644219 버리기 아까운 옷인데 안입으면 버려야겠죠 ? 3 청소전문 2017/01/23 3,150
644218 하루만 참으면 될줄 알았는데 낼도 춥나봐요~ 1 .. 2017/01/23 1,375
644217 급질문요. 2 명절이 2017/01/23 267
644216 김기춘.조윤선 잘 못 한게 블랙리스트작성 밖에 없나요? 3 궁금 2017/01/23 990
644215 이시국에) 82이슈템 써본 후기 33 즐거운혼밥녀.. 2017/01/23 5,558
644214 노트북 추천해주세요~~~~ ㅠㅠ 저 컴공인데도... 7 ... 2017/01/23 1,391
644213 애들보면서 돈버는게 쉬운게 아닌데... ㅠㅠ 21 정녕 2017/01/23 5,041
644212 이사 처음가요, 업체추천좀 부탁드려요.!!!! 5 ,, 2017/01/23 643
644211 머리안빠진대서 비누로 머리감았더니.. ㅠ 19 ㅇㅈㄱㅇ 2017/01/23 9,109
644210 고등학교 동창이 블로그를 하는데.... 9 의대 보낸 2017/01/23 3,577
644209 유진룡 특검 출석...하네요 6 ..... 2017/01/23 1,338
644208 능력 없고 마음에 안드는 직원. 어떻게 하시나요? 6 라임 2017/01/23 3,516
644207 70대 남성 골프웨어 추천부탁드립니다 2 .. 2017/01/23 2,633
644206 냐경원, 조윤선이 동료의원들 앞에서 펑펑 울었다고 하는데... 10 .. 2017/01/23 5,628
644205 문재인생방송중ㅡ간담회 2 해피오후♡ 2017/01/23 648
644204 영화판을 보니 세상이 너무 무섭네요 26 serty 2017/01/23 7,125
644203 도깨비 몇회가 재밋었어요? 5 888 2017/01/23 1,776
644202 악바리 근성도 타고 나는 건가요? 3 근성 2017/01/23 1,383
644201 문재인, 페북에 이재명 출마선언을 소개하네요. 9 참맛 2017/01/23 1,266
644200 이번단 관리비 얼마 나왔나요? 21 관리비 2017/01/23 3,650
644199 꿈 해몽 좀 해주세요~ 2 뭘까요? 2017/01/23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