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예비 초3 수학이요~~

수학~ 조회수 : 1,317
작성일 : 2017-01-03 15:51:16
초등3학년 올라가는 아이에요~
연산이 중요하다고 해서 집에서 연산문제집 기적의 수학으로 매일 한장씩 풀렸고요, 사고력에 도움될까하고 팩토 원리랑 탐구를 시켰어요.. 팩토도 처음에는 매일 시켰는데 지금은 매일 잘 안되는 상태이고요
학교 수학을 좀 가볍게 봐서 단원평가 할때만 며칠 만점왕으로 빡세게 같이 풀어서 단원평가는 잘 보는데 예고없는 쪽지시험이나 수학익힘 풀때 구멍이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지금 공부방법이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어요..
연산은 꾸준히 하면서 학교수학도 같이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그렇게 하면 팩토까지 하긴 벅찰꺼 같거든요
여기서 궁금한건,, 검색해 보니 연산으로 구몬이나 기탄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연산으로는기적보다 기탄이 나은지,, 과감하게 팩토 정리하고 학교 수학을 하는게 나을지 아님 월수금 화목 이런식으로 학교 수학과 팩토를 병행시키는게 나은지 입니다
수학관련으로 3가지를 하려니 제가너무 욕심을 부리는거 같아서요
IP : 223.62.xxx.5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3 4:19 PM (14.39.xxx.147) - 삭제된댓글

    저도 궁금하네요
    제 딸도 3학년인데 구몬하다가 너무 밀려서 3개월만에 그만두었어요
    재미없어하기도 하구요
    이런 아이에게 계속 학습지를 시키는 게 무리인 것 같아서 전 소마셈을 매일 하게하고
    평소에는 만점왕을 하는데 사고력 수학은 뭘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네요
    매일 두개만 하게 해도 영어랑 독서 같은 것 하고 학원다녀오면 아이가 힘든데 다들 어떻게 공부 시키세요?

  • 2. 예비초4맘
    '17.1.3 4:35 PM (61.98.xxx.90)

    욕심아니에요.
    3가지 할 수 있어요.
    그런데 연산은 한번 할 때 10분 정도로 짧게요.
    물론 매일매일은 못해요.
    교과수학이랑 팩토도 다 필요하다 생각해요.

  • 3. 수학~
    '17.1.3 4:48 PM (218.232.xxx.157)

    그럼 연산문제집은 주로 어떤거 풀리세요??
    여기 게시판에서는 기탄이나 구몬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전 기적을 풀고 있어서 궁금하네요..

  • 4. 예비초3
    '17.1.3 5:34 PM (211.176.xxx.202) - 삭제된댓글

    남자아이고요
    기적의계산법 5권까지 엊그제 마쳤어요.

    방학동안에 할 것
    1. 개념서로 3-1 수학 선행(생소한 부분이 평면도형, 분수개념쪽이라 분수쪽에 중점을 둬서)
    2. 상위권수학 도형부분 B2, C2 게임하듯이 풀기
    3. 연산은 기적의계산법 6권 하루 한쪽~한장씩) 두자리수*세자리수 또는 세자리수/두자리수 등 진짜 계산하기 싫은 부분이라 아주 짧게 서너달 잡고 가려고 해요.

    학기중
    1. 교과문제집 하나 풀기 : 백점맞는 수학 혹은 우공비로 하려고 합니다.

    아이가 수학도 좋아하고 잘하는데,
    저학년때는 영어에 집중하려고요.
    따로 학원 안다니고 저랑 집에서 ORT 읽고 문제지 풀고 리틀팍스 보고 그래요.
    (거의 닥치는대로.. 내키는 대로..)

    연산문제지는 1권부터 풀던게 기적의 계산법이라 콜렉션 차원에서(쫙 풀어놓고 책꽂이에 꽂힌거 보고 흐뭇해하는 스탈이라, 애가) 계속 기적 시리즈로 갈거예요.

  • 5. 왕년에 수학과외
    '17.1.3 6:49 PM (210.95.xxx.171)

    지금은 그만뒀지만 몇년전까지 초등생 수학과외했었습니다.

    익힘문제에서 구멍이 보인다면 교과위주의 교재를 좀더 심화학습하는게 좋습니다.
    기본이 되는 교재 (개념원리, 쎈수학 등등), 심화교재 (문제해결의 길잡이, 최상위수학 등등)에
    공부시간을 좀더 할애할 필요가 있어보여요.

    팩토도 참 좋은 교재이긴 하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엔
    위에 언급한 교재들을 공부하고 여력이 있다면 병행하는게 현명한 듯 합니다.
    창의력 교재는 팩토 외에도 수준에 따라 아주 쉬운 교재에서 어려운 교재까지 다양해요.
    팩토가 어려워서 진도가 잘 나가지 않는다면 창의력해법 같은 쉬운 교재로 바꿔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쉬운 교재에 대한 선입견이 있어서인지 어머니들이 우습게 보는 경향이 있는데,
    역량엥 맞는 교재를 꾸준히 하는 것만큼 확실한 공부법은 없습니다.

    연산은 아이가 현재 진도가 어느 정도인지 먼저 파악한 뒤에 부족한 부분부터 출발하면 되구요.
    어머니께서 잘 챙겨주실 수 있다면 구몬 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서점에 가서 연산용 교재들을 쭉 보시고 내 아이랑 가장 잘 맞을 것 같은 교재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연산을 잘 하는 것이 곧 수학을 잘 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초등 2학년까지예요.
    3학년부터는 연산은 부교재라 생각하고 진도에 맞춰서 꾸준히 연습하되
    구멍나는 부분이 있으면 과감히 그 부분에 해당하는 교재로 반드시 구멍을 메우고 가세요.
    (아이가 6학년이라 하더라도 4학년때 하고 넘어갔어야 할 연산 파트가 구멍이 있다면
    4학년 교재로 복습하는게 효과적입니다. 대신 이런 경우 4학년 교재는 쉽게 금방 숙지하니까
    시간낭비라는 느낌은 없을 겁니다.)

    나중에 학원을 보내시더라도 5학년 과정만큼은 제대로 하는지 꼭 꼼꼼히 체크하시고
    (중1 과정과 연계가 많이 되구요. 이 시기에 흐름을 놓치면 이후에 수학을 어렵다고
    자신없어 하는 애들이 많거든요)

    수학을 정말 잘 하는 방법은 문제집을 모르는 문제 없을 때까지 푸는 거예요. ^^
    그렇다고 날마다 틀린 문제 반복해서 들이밀면 애들 뒤로 나자빠지니까
    한권을 풀고나면 오답문제만 오려서 따로 오답노트를 한권 만들어서 복사해서 풀리세요.
    그런식으로 3주정도씩 텀을 두고 오답을 풀리고 정리하다보면 풀지 못하는 문제가 없어집니다.
    단, 위에 언급한 교재 중에서 심화교재 문제들은 너무 기를 쓰고 매달리지는 마세요.
    몇몇 문제들은 아주 어렵습니다. 풀이 방법만 다르지 수능에서도 유사한 형식의 문제가
    가끔씩 보이니까요. 심화문제집은 한번만 오답 풀리고, 한 해 지나고 나서 풀리면 효과적입니다.

    쓰다보니 옛날 생각 나네요 ㅎㅎㅎㅎ
    아이들 너무 좋아해서, 수업 끝나면 같이 간식 만들어서 먹이고 했었는데
    그때가 그리워요. 가르쳤던 아이들 지금은 다들 특목고에서 일반고에서 잘 하고 있다는
    소식에 흐뭇했는데, 다시 생각나네요 ^^

  • 6. 오호
    '17.1.3 7:45 PM (1.241.xxx.222)

    수학과외님 덕분에 저도 초딩 수학 도움이 됐어요~
    저희 애도 3학년 올라가는데 요즘 매일 연산, 구구단 3장씩 풀리고 (일일수학에서 출력), 2학년때 어려워했던 부분 한 단원씩 문제풀려고 계획(^^;;)했어요ㆍ

  • 7. 수학
    '17.1.3 8:58 PM (218.232.xxx.157)

    수학과외님~~너무 감사해요~!!
    덕분에 정리가 되었습니다~^^

  • 8. ..
    '17.1.3 9:28 PM (112.152.xxx.96)

    오..수학과외님..도움될것같아요..울꼬맹이 그리 함 시켜야 할것같아요

  • 9. .....
    '17.1.3 10:42 PM (1.244.xxx.154)

    수학과외님 감사합니다~^^

  • 10. 저도
    '17.5.11 10:49 PM (123.109.xxx.67)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9022 시댁에는 잘하면 안되나봐요 33 ... 2017/01/10 15,266
639021 이래서 촛불이 횃불된다 했군요... 1 ..... 2017/01/10 1,652
639020 [펌]알렉로스의 미래산업보고서 읽으신분? 우리직장이 다 없어질까.. 2 2017/01/10 807
639019 경찰간부 후보생으로 시작할 경우 50살쯤 되면 어떤 지위에 잇을.. 2 ㅇㅇ 2017/01/10 754
639018 돌아가신 아버지꿈 2 2017/01/10 1,198
639017 특검, 朴대통령 뇌물죄로 '직행'…최순실과 '공생관계' 주목 점점조여온다.. 2017/01/10 584
639016 남과여(공유,전도연) 재미있게 보신분 계세요? 7 남과여 2017/01/10 3,375
639015 노승일지킴이) 어제 새벽 이분 글 끌어올리고 싶어요 10 영차영차 2017/01/10 1,945
639014 서울 사시는 분들. 지금 밖에 많이 춥나요? 2 추워 2017/01/10 1,389
639013 오늘 엄마가 너무 보고싶네요.. 8 ... 2017/01/10 1,667
639012 천일만에 한다는 소리가 서류와 싸웠대. 9 .... 2017/01/10 1,794
639011 헤어 롤 브러쉬 질문드려요~~~ 복받으세요~.. 2017/01/10 360
639010 해외 여해을 3 82cook.. 2017/01/10 679
639009 워킹할때 스마트폰.. 손에 들지 않고 음악들으며 소지하려면? 6 운동 2017/01/10 1,202
639008 손주 백일선물로 이 정도 다들 하시는지요? 24 .... 2017/01/10 12,321
639007 아 정말 짜증나요 방사능 어떻게해요? 5 참나 2017/01/10 1,489
639006 소심한 성격 고치신 분 있나요? 7 ㅇㅇ 2017/01/10 2,314
639005 대추씨는 영양분이 없나요? 4 ㅁㅁ 2017/01/10 1,259
639004 20키로 7 찹쌀 2017/01/10 1,194
639003 박그네와 김영재의 휴식요일이 같았네요 1 moony2.. 2017/01/10 1,302
639002 어제 위증죄 논란 영상을 봤는데요. 3 두혀니 2017/01/10 926
639001 전국구 - 스나이퍼박원순, 걸리면 다 보낸다 6 이재명지지 2017/01/10 1,161
639000 설 기차표 예매시 SRT라는게 뭔가요 ?? 21 ... 2017/01/10 4,006
638999 청와대 ㅡ세월호 7시간 30년봉인시도 48 2017/01/10 1,336
638998 펑합니다. 14 고민 2017/01/10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