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카의 진학 고민. 대학 선택 도와주세요

고민 조회수 : 3,517
작성일 : 2016-12-23 09:56:52
정시 지원 가능 학교를
부산대 공대
경북대 공대
한양대 에리카캠 공대
명지대 공대
이렇게 받아왔어요.
남자아이고 집은 대군데 머리 아프게 고민중이라네요.
그래도 인서울해야한다는 차원에서 명지대가 나을지.
한양대 에리카캠은 한양대 이미지가 워낙 좋아 호감은 가는데 캠퍼스라 어떨지?
집이 대구라도 부대와 경대공대를 놓고 봤을땐 부대 공대를 가겠다 하는데
명지대와 한양에리카 부대를 놓고 엄청나게 고민하네요. 인서울해야 할까요?
어디가 제일 나을까요?
선배빨은 명지대보다는 부대가 나을것 같고
저는 부대공대로 갔다가 서울쪽 대학원 진학하라 얘기해줬는데
인서울에 미련이 있어보여요.
어떻게 조언해줄까요
IP : 117.111.xxx.183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공대는
    '16.12.23 10:03 AM (211.114.xxx.82)

    스카이 한성서가 아니라면.....지거국이 취업면에선 차라리 나을거 같습니다.

  • 2. ..
    '16.12.23 10:04 AM (190.156.xxx.65)

    집이 대구이므로 고민할것도 없이 경북대입니다

  • 3. 집이
    '16.12.23 10:06 AM (218.50.xxx.151) - 삭제된댓글

    대구인데...명문대도 아닌 명지대를, 국립대를 버리고 택한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한양대 캠퍼스는 더 말이 안되는 선택이고요. 서울이 뭐 별천지도 아니고 왜 그러는지...이해 불가에요.
    취업시에도 국립대 출신들은 혜택이 있고 등록금도 저렴하잖아요.

  • 4.
    '16.12.23 10:06 AM (119.14.xxx.20)

    일단 명지대는 제외하시고, 집이 대구면 경북대가 제일 낫지 않나요?
    서울이라면 에리카 겠지만요.

    그런데, 과는요?
    부산대, 경북대 공대는 스펙트럼이 엄청 넓어요.

    과에 따라 얼추 서강대 공대 하위권부터 심지어 국숭세단하고 살짝 겹치는 과도 있어요.

  • 5. ???
    '16.12.23 10:06 AM (218.156.xxx.163)

    이게 고민거리가 되나요?
    집이 대구면 당연히 경북대공대.
    선배를 생각해도 당연히 경북대.

  • 6. 에구
    '16.12.23 10:09 AM (223.62.xxx.102)

    한양 에리카를 인서울로 보나요?
    그쪽에 거주하는데
    아무도 그렇게 생각안해요
    요즘 입결이 상향되었다하나
    에리카를 인서울로 여기나요?

  • 7.
    '16.12.23 10:09 AM (119.64.xxx.147)

    명지대요 ??명지대가 무슨 인서울... 참 어이가 없네요 요즘은 대학교가 많이 바뀐건지 저도 2000년대 대학 다닌 사람인데 대학글들 이해를 못하겠네요

  • 8. 당근
    '16.12.23 10:10 AM (182.222.xxx.32) - 삭제된댓글

    부대나 경대 가셔야 취업에 유리해요.
    대기업에 부산대 출신들 많아요.
    명지대는 공대는 서울 아니구요.
    용인 외진곳에 있어요.

  • 9. 고민
    '16.12.23 10:11 AM (119.64.xxx.147)

    고민은 부산대나 경북대 둘중에 하면 될듯요
    부산대가 좀더 낫지 않나요 ?

  • 10. ...
    '16.12.23 10:12 AM (218.156.xxx.163)

    한양대 에리카도 서울에서 먼 안산에 있어요.
    그리고 명지대는 아마 하향으로 나온거 같은데
    갈 수만 있음 경북대로 가야죠.
    작년에 입시 치른 엄마입니다.

  • 11.
    '16.12.23 10:18 AM (119.14.xxx.20)

    에리카는 가장 성공한 분교라고 하죠.
    연고대 분교보다도 더 낫다 그래요.

    실지로 입결도 높고요.
    에리카 공대 쪽은 숭실대, 국민대 공대보다 살짝 위입니다.

    그래서 연고대 분교는 의대나 보건 쪽 제외하고는 분교 다닌단 얘기 잘 안 하기도 하지만...
    한양대 분교 학생들은 한양대 빼고 그냥 에리카라고 얘기하는 경우 많다 해요.

  • 12. 119님
    '16.12.23 10:20 AM (218.50.xxx.151) - 삭제된댓글

    아무리 그래도 경북대나 부산대와 어찌 비교가 됩니까?

  • 13. ㅇㅇ
    '16.12.23 10:20 AM (180.230.xxx.54) - 삭제된댓글

    그냥 '공대'가 아니라 과가 있을거 아니에요. 기계나 화공이나...
    그냥 전화기로 보네세요

    명지대는 경북대 부산대에 비해서 하향이고.
    한양 에리카는 어차피 인서울 아닌데 굳이 왜....
    그냥 집에서 경북대 보내세요. 그게 취직하기에도 더 좋을텐데.

    아직 어려서 집에서 멀리가서 자유롭고 싶어서.. 부산이라도 가려고 하는거 같은데..
    그 마음은 이해되지만 경대가 제일 나을텐데

  • 14. 딸기맛우유
    '16.12.23 10:25 AM (122.37.xxx.116)

    집도 대구고 하니 경북대 아님 부산대요. 부산대가 젤 낫죠 사실.. 한대 에리카,명지대는 가지마세요. 인서울로 안쳐줘요 에리카는. 한대 서울캠 공대 나와도 취업 자동으로 척척 되는거 아닌데 하물며 에리카는 더 어렵습니다. 차라리 지거국 나오는게 대기업 취업에 유리해요

  • 15. ...
    '16.12.23 10:25 AM (115.145.xxx.226)

    취업을 생각한다면, 공대 중에서도 과가 중요할 것 같구요.
    괜찮은 과라면 경북대가 제일 좋은 선택이네요. 학비도 적게 들고 집에서 통학 가능하고.

    그렇게 아낀 돈으로 어학연수나 해외여행 등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게
    훨씬 좋을 것 같습니다.

  • 16. 쭈르맘
    '16.12.23 10:27 AM (125.141.xxx.87)

    집이 정답.
    경북대입니다

  • 17. 나중에 취업원서 내보면
    '16.12.23 10:28 AM (118.38.xxx.231) - 삭제된댓글

    서류 접수에서 경북대나 부산대 이름값이 얼마나 높은지 알게될것입니다
    대기업 서류접수는 수십만장이 들어오기 때문에 하청을 줍니다
    그러면 각학교 할당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어요
    저같으면 뒤도안보고 무조건 부산대기계 입니다
    경북대전자도 좋지만 취업중에 최고는 기계과 입니다
    이건 아무리 세월이가도 제조업국가인 우리나라에서는 안바뀝니다

  • 18. ....
    '16.12.23 10:42 AM (220.86.xxx.240)

    부산대나 경북대 가야죠..아무리 인서울이라해도 부대나 경대공대면 무시 못해요.과도 중요한데 무슨과인지 궁금하네요.그런데 저위에 음님 서강대 공대와 부산대,경북대 비교는 아닌듯해요.아무리 서강대가 문과가 강하고 이과가 낮다고해도 공대는 전화기컴공 4개학과밖에 없습니다.다 취업 잘되는 과구요.하위과라고 부를과가 없어요.

  • 19. 몇 년 전에
    '16.12.23 11:01 AM (211.243.xxx.142)

    울 조카가 했던 고민과 같은 고민이라 댓글 달아봅니다. 전 부산대로 가라고 했어요. 사람들이 인서울 인서울 하는데 그게 뭣 때문이겠냐고. 수도권 인구가 워낙 많아 집 가까운 학교 찾다보니 인서울 유명하지 않은 대학도 입결 높은 거라고요. 인서울 남들이 다 아는 유명대학이 아닌 경우엔 그냥 지방 국립대로 가는 게 낫다고 조언했어요. 그 조카애 올해 4학년으로 졸업 예정인데 가을 학기부터 한전 출근해요. 조카애가 워낙 성실해 장학금 놓친 적 없고 취업 준비 위해 따로 전기기사 자격증도 따고 노력도 많이 했지만 지역할당제 덕이 크거든요. 저라면 경북대로 보내겠지만 아이가 부모와 떨어지고 싶어한다면 부산대로 보냅니다.

  • 20. ...
    '16.12.23 11:03 AM (183.98.xxx.95)

    경북대 공대가 가장 좋아요
    어린마음에 서울 오고 싶겠지만
    정말 서울시내에 있는 공대들이 아닙니다

  • 21. ...
    '16.12.23 11:34 AM (211.49.xxx.190)

    명지대 공대는 용인에 있는거 아닌가요?
    문과만 서울에 있는거 같은데.
    명지대든 한양대 에리카든 서울 생활은 할 수 없는건데요.
    저라면 집에서 통학할 수 있는 곳에 보내겠어요

  • 22.
    '16.12.23 11:37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218님, 제가 댓글을 두 개 달았어요.
    경북대 가는 게 제일 나을 듯 하다고요.

    하지만, 더 위 댓글에 부산대/경북대 스펙트럼 굉장히 넓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건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입결만 보면, 부산대/경북대 공대와 에리카 공대가 비교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과에 따라 에리카가 더 높은 과도 있고, 집이 수도권인데 전화기 아니라면 굳이 먼 지거국 갈 필요는 없단 얘기예요.

    반면 저도 집 근처에 전통있는 지거국 놔두고 굳이 서울로 진학하려는 것 절대 반대하는 사람인데요.
    그냥 입결이 그렇단 얘기예요.

    그리고 220님, 서강대 하위과라 안 했고, 하위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부산대/경북대 공대 상위권과 서강대 공대 하위권이 겹치기도 한다고요.
    요즘도 거기서부터 국숭세단까지 명문 지거국은 이렇게 입결 스펙트럼이 넓은 게 현실이라고요.

    요즘 입시가 변수가 많아 다소 그런 경향은 어디나 있지 않냐고 또 공격하실 분 계시겠죠?
    그러나, 저건 수시대박 케이스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배치표상 대충 늘 그랬어요.

    에효... 힘드네요. ㅜㅜ

  • 23.
    '16.12.23 11:48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218님, 제가 댓글을 두 개 달았어요.
    앞서 경북대 가는 게 제일 나을 듯 하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먼저 댓글에 부산대/경북대 스펙트럼 굉장히 넓다고도 말씀드렸는데, 그건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입결만 보면, 부산대/경북대 공대와 에리카 공대가 비교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화기 같은 상위권은 부산대/경북대가 더 높은 지점(?)에서 시작하지만...
    과에 따라 에리카가 더 높은 과가 있기도 하고, 전화기 아니라면 집이 수도권인데 굳이 먼 지거국까지 갈 필요는 없단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입결이 그래요.

    평소 저도 집 근처에 전통있는 지거국 놔두고 굳이 서울로 진학하려는 것 절대 반대하는 사람이라...
    중언부언이지만, 더 먼저 댓글로 경북대가 최우선이라 말씀드렸으나, 그냥 입결이 그렇단 얘기예요.
    에리카 고민을 어이없어 하는 분들이 계셔서 입결을 위주로 설명드린 것 뿐입니다.

    그리고 220님, 서강대 하위과라 안 했고, 하위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부산대/경북대 공대 상위권과 서강대 공대 하위권이 겹치기도 한다고요.
    거기서부터 국숭세단까지...명문 지거국이라도 이렇게 입결 스펙트럼이 넓은 게 현실이라고요.

    요즘 입시가 변수가 많아 다소 그런 경향은 어디나 있지 않냐고 또 공격하실 분 계시겠죠?
    그러나, 저건 수시대박 케이스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배치표상 대충 늘 그렇습니다.

    에효... 힘드네요. ㅜㅜ

  • 24. 콩콩
    '16.12.23 11:51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218님, 제가 댓글을 두 개 달았어요.
    앞서 경북대 가는 게 제일 나을 듯 하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먼저 댓글에 부산대/경북대 스펙트럼 굉장히 넓다고도 말씀드렸는데, 그건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입결만 보면, 부산대/경북대 공대와 에리카 공대가 비교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화기 같은 상위권은 부산대/경북대가 더 높은 지점(?)에서 시작하지만...
    과에 따라 에리카가 더 높은 과가 있기도 하고, 전화기 아니라면 집이 수도권인데 굳이 먼 지거국까지 갈 필요는 없단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입결이 그래요.

    평소 저도 집 근처에 전통있는 지거국 놔두고 굳이 서울로 진학하려는 것 절대 반대하는 사람이라...
    중언부언이지만, 더 먼저 댓글로 경북대가 최우선이라 말씀드렸으나, 그냥 입결이 그렇단 얘기예요.

    에리카 고민을 어이없어 하는 분들이 계셔서 입결을 위주로 설명드린 것 뿐입니다.
    더군다너 원글님께서 과도 말씀 안 하시고 공대라고만 하셨으니, 더욱 범위를 넓게 잡을 수 밖에 없는 거죠.

    그리고 220님, 서강대 하위과라 안 했고, 하위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부산대/경북대 공대 상위권과 서강대 공대 하위권이 겹치기도 한다고요.
    거기서부터 국숭세단까지...명문 지거국이라도 이렇게 입결 스펙트럼이 넓은 게 현실이라고요.

    요즘 입시가 변수가 많아 다소 그런 경향은 어디나 있지 않냐고 또 공격하실 분 계시겠죠?
    그러나, 저건 수시대박 케이스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배치표상 대충 늘 그렇습니다.

    에효... 힘드네요. ㅜㅜ

  • 25.
    '16.12.23 11:52 A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218님, 제가 댓글을 두 개 달았어요.
    앞서 경북대 가는 게 제일 나을 듯 하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먼저 댓글에 부산대/경북대 스펙트럼 굉장히 넓다고도 말씀드렸는데, 그건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입결만 보면, 부산대/경북대 공대와 에리카 공대가 비교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화기 같은 상위권은 부산대/경북대가 더 높은 지점(?)에서 시작하지만...
    과에 따라 에리카가 더 높은 과가 있기도 하고, 전화기 아니라면 집이 수도권인데 굳이 먼 지거국까지 갈 필요는 없단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입결이 그래요.

    평소 저도 집 근처에 전통있는 지거국 놔두고 굳이 서울로 진학하려는 것 절대 반대하는 사람이라...
    중언부언이지만, 더 먼저 댓글로 경북대가 최우선이라 말씀드렸으나, 그냥 입결이 그렇단 얘기예요.

    에리카 고민을 어이없어 하는 분들이 계셔서 입결을 위주로 설명드린 것 뿐입니다.
    더군다너 원글님께서 과도 말씀 안 하시고 공대라고만 하셨으니, 더욱 범위를 넓게 잡을 수 밖에 없는 거죠.

    그리고 220님, 서강대 하위과라 안 했고, 하위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부산대/경북대 공대 상위권과 서강대 공대 하위권이 겹치기도 한다고요.
    거기서부터 국숭세단까지...명문 지거국이라도 이렇게 입결 스펙트럼이 넓은 게 현실이라고요.

    요즘 입시가 변수가 많아 다소 그런 경향은 어디나 있지 않냐고 또 공격하실 분 계시겠죠?
    그러나, 저건 수시대박 케이스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배치표상 대충 늘 그렇습니다.

    에효... 힘드네요. ㅜㅜ

  • 26.
    '16.12.23 11:55 AM (119.14.xxx.20)

    218님, 제가 댓글을 두 개 달았어요.
    앞서 경북대 가는 게 제일 나을 듯 하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먼저 댓글에 부산대/경북대 스펙트럼 굉장히 넓다고도 말씀드렸는데, 그건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입결만 보면, 과에 따라 부산대/경북대 공대와 에리카 공대가 비교 못할 정도는 아닙니다.
    전화기 같은 상위권은 부산대/경북대가 더 높은 지점(?)에서 시작하지만...
    과에 따라 에리카가 더 높은 과가 있기도 하고, 전화기 아니라면 집이 수도권인데 굳이 먼 지거국까지 갈 필요는 없단 얘기할 수 있을 정도로 입결이 그래요.

    평소 저도 집 근처에 전통있는 지거국 놔두고 굳이 서울로 진학하려는 것 절대 반대하는 사람이라...
    중언부언이지만, 더 먼저 댓글로 경북대가 최우선이라 말씀드렸으나, 그냥 입결이 그렇단 얘기예요.

    에리카 고민을 어이없어 하는 분들이 계셔서 입결을 위주로 설명드린 것 뿐입니다.
    더군다나 원글님께서는 과도 말씀 안 하시고 그냥 공대라고만 하셨으니, 더욱 범위를 넓게 잡을 수 밖에 없는 거죠.

    그리고 220님, 서강대 하위과라 안 했고, 하위권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입결 위주로 말씀드린 겁니다.

    부산대/경북대 공대 상위권과 서강대 공대 하위권이 겹치기도 한다고요.
    거기서부터 국숭세단까지...명문 지거국이라도 이렇게 입결 스펙트럼이 넓은 게 현실이라고요.

    요즘 입시가 변수가 많아 다소 그런 경향은 어디나 있지 않냐고 또 공격하실 분 계시겠죠?
    그러나, 저건 수시대박 케이스를 말씀드리는 게 아니고, 배치표상 대충 늘 그렇습니다.

    에효... 힘드네요. ㅜㅜ

  • 27. ㅇㅇ
    '16.12.23 12:07 PM (110.70.xxx.46)

    집이 대구면 경북대 가라고 하세요 집에서 다니기 싫어서 다른 곳 얘기하는 것 같은데 정 고집을 부리면 부산대를 보내시던지요

  • 28. ㅇㅇ
    '16.12.23 12:08 PM (49.142.xxx.181)

    저중에 에리카랑 명지는 절대 아니고요.
    제일 좋은게 부산대하고 경북댄데 비슷해요.
    저같으면 무조건 경북대공대 보냅니다.

  • 29. 제 아무리
    '16.12.23 1:51 PM (218.50.xxx.151) - 삭제된댓글

    에리카가 분교 치곤 입결 높아도...
    본교생들이,그 선배들이 절대 자기 대학 동창이나 후배로 인정 하지 않을 거에요.
    자존심 때문에라도 에리카 반대하고요,앞으로 학생수가 더 줄면 가장 먼저 타격 받는게 지방 캠일 겁니다.

  • 30. @@
    '16.12.23 7:01 PM (39.7.xxx.224)

    아이 입장에서는 지방에 있으니 서울 수도권이 동경의
    도시고 대학은 반드시 서울근교로 오고 싶어할거에요
    그러나 일류대 아닌이상 의미 없고 본인도 학교 다니면서
    만족 못해요 ...서울대온 학생들도 들어가보면 고딩때 막연히 상상했던 대학이 아니라 실망스럽다고ᆢᆢ
    경북대공대가 집가깝고 최상의 선택 입니다
    취업율도 높구요~~

  • 31. 11층새댁
    '16.12.24 6:51 PM (39.113.xxx.20)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부산대 기계과....
    라고 옆에서 남편이 얘기해주네요.



    기계과 나오고 중공업 다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5835 온라인으로 산 18k 목걸이 너무 실망이에요. 5 ..... 2017/01/01 4,347
635834 애니어그램5번유형 남자어떤가요~? 4 떡국 2017/01/01 4,446
635833 헌재소장...최대한 빨리 진행하려 노력 1 .... 2017/01/01 647
635832 정봉주전의원은 나꼼수 때문에 감옥 간건가요? 4 개헌 반대 2017/01/01 1,448
635831 전지현은 처연한 역할이 더 잘 맞는거 같아요. 6 푸른바다 2017/01/01 2,238
635830 오늘 코스트코 양평점 하나요? 2 양평 2017/01/01 935
635829 정시 예측 질문 드립니다 3 입시질문 2017/01/01 1,065
635828 (심리관련)누가 짜증내면 그러지마라고 하나요? 아니면 다른 행동.. 4 11 2017/01/01 1,238
635827 미국 유학생 계좌 오픈할 은행 추천 부탁드려요. 7 ^^ 2017/01/01 2,345
635826 돼지김치찌게해서 돼지 냄새가 많이 나는데 5 어떻게 2017/01/01 1,938
635825 안양 평촌 가까운쪽으로 숙박시설 괜찮은곳 알려주세요~ 10 예약해 2017/01/01 1,181
635824 방학 기상시간은? 2 .. 2017/01/01 1,118
635823 장어드시면 화장실.. 2 2017/01/01 975
635822 절임배추로 김장 담그신분들 지금 맛있나요? 10 뭔가 억울 2017/01/01 3,457
635821 혼탁한 사주란? 4 .. 2017/01/01 2,391
635820 맑은 액젓, 어떤게 좋은가요? 8 ㅡㅡ 2017/01/01 1,787
635819 어제 월계수양복점에서 효원이랑 동진이랑 상봉할때 나오던 테너가수.. 1 행복 2017/01/01 979
635818 인기글에 재혼가정 글 보고 자식입장이던 친구 생각나서... 4 가갸겨 2017/01/01 3,239
635817 처음 혼자 주차연습 할껀데 옆에 차가 있는곳에서 하는게?? 18 ,,, 2017/01/01 3,010
635816 생강초절임을 만들었는데요 1 ㅇㅇ 2017/01/01 459
635815 송혜교 귀걸이 어디껄까요? 2 예소리 2017/01/01 2,392
635814 문재인 오늘 광주 시골마을 경로당에서 60 ^^ 2017/01/01 4,582
635813 매달 경신되는 20대 여성실업률 역대 최고 11 실업 2017/01/01 2,175
635812 최민희 전의원... 9 .... 2017/01/01 1,744
635811 반찬통 추천해주세오 7 반찬통 2017/01/01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