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니님 김치양념 배추 몇포기 기준인가요?

첫김장 조회수 : 1,342
작성일 : 2016-12-03 10:37:03
첫김장으로 한살림에 배추 3포기 예약해뒀는데요.
1. 노니님 김치양념으로 하면 적당할까요?  많은지 작은지 전혀 감이 안오는데 혹시 해보신 분 계세요?

2. 소금은 3포기면 절이는 소금의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대충 아세요? 

3. 만약에 1포기만 담으면 나머지 2포기는 씻어도 냉동실에 두면 될까요? 어떻게 처리해야될지 모르겠어요. 

한 개라도 도움주시면 오늘 저의 은인이십니다.  감사합니다. 


IP : 1.237.xxx.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2.3 10:49 AM (125.178.xxx.219)

    절임배추10키로양념
    배추4~5포기 정도

  • 2. 고고
    '16.12.3 11:55 AM (121.140.xxx.140) - 삭제된댓글

    1. 배추 1포기 기준 : 물 1리터에 소금 1컵
    3포기면 물 3리터에 굵은 소금 3컵을 준비합니다.

    물에 소금 1.5컵을 녹여서 배추를 갈라서 적십니다.
    납은 1.5컵은 배추 머리 부분쪽으로 켜켜이 뿌려서 2-3시간 절여줍니다.

    2. 잘 씻은 후 물기를 빼줍니다.
    3. 준비한 양념을 넣는데, 넣기 나름이지요.(3포기 기준)
    무는 1/2~1개, 쪽파, 생강 1쪽, 마늘 12톨 정도, 새우젓 1/2컵, 액젓 상황봐서 1/2컵.
    김치풀, (사과 1/2 갈아서, 양파 1/2 갈아서...취향껏), 설탕 1술 또는 매실청 1술.
    고춧가루는 보통 배추 1포기에 집의 큰 국자로 1국자 분량입니다.
    맛보면서 가감하세요.
    배추 속에 넣어 담그세요.
    갓을 넣어도 괜찮고, 미나리가 있으면 조금 넣어도 좋고...안 넣어도 큰 상관 없습니다.

    4. 추천하고 싶은 것은 1포기 정도는 양념을 넣고 그냥 막 버무리고,
    2포기는 김치를 담아서 먹으면 좋을 듯 합니다.
    막 담은 김치는 밖에서 2일 정도 숙성하고 냉장고에...
    김치는 3-4일 후에 김치 국물이 익은 맛이 나면 냉장고에...
    5. 혹시라도 김치를 담근 1-2일 후에 김치 국물을 먹어봤더니 딱 간이 맞으면 성공이고,
    싱거워도 나름 맛있는데...
    짜다면...무를 적당히 토막내서 김치통 가상자리로 살살 밀어서 아래로 가게 하면
    간이 맞습니다.

  • 3. ㅡ.ㅡ
    '16.12.3 11:57 AM (115.140.xxx.74)

    그냥 3포기 다하세요.
    굳이 두포기를 냉동실에 넣는이유가?
    얼어서 못먹어요.
    저는 30포기를 잘못쓴줄알았어요ㅡ.ㅡ

    정히 자시없으시면 막김치 담그세요.

  • 4. 고고
    '16.12.3 11:59 AM (121.140.xxx.140) - 삭제된댓글

    1포기만 담고 남은 배추 배추의 문제는요...
    부지런히 배추국 끓여 드시든지,
    그냥 생 배추를 냉동실에 넣으면 안되고요, 살짝 삶아서 넣으신다면 배추국으로 활용 가능해요.
    요즘 나오는 배추는 신문지에 싸서 냉장고에 넣으면 1달 가까이 보존 가능성 있습니다.

    1포기만 김치를 담고 싶다면,
    막 썰어서 절인 후에 양념 넣고 버무리세요.
    김장보다는 양념을 가볍게 해도 됩니다.
    고추가루 1국자, 마늘 1-2수저, 양파랑 사과 갈아 넣고, 쪽파 없으면 대파 넣고.
    새우젓 조금, 액젓은 맛보면서 가감...
    다시물 있으면 좋겠지만 맹물에 찹쌀 1수저 넣어서 죽 끓여 식혀 넣고요.
    미나리 조금 넣으면 좋고요...없으면 말고요.

  • 5. bluetain
    '16.12.3 12:01 PM (121.140.xxx.140) - 삭제된댓글

    1포기만 담고 남은 배추의 문제는요...
    부지런히 배추국 끓여 드시든지,
    그냥 생 배추를 냉동실에 넣으면 안되고요, 살짝 삶아서 넣으신다면 배추국으로 활용 가능해요.
    요즘 나오는 배추는 신문지에 싸서 냉장고에 넣으면 1달 가까이 보존 가능성 있습니다.

    1포기만 김치를 담고 싶다면,
    막 썰어서 절인 후에 씻어 물기 빼고, 양념 넣고 버무리세요.
    김장보다는 양념을 가볍게 해도 됩니다.
    고추가루 1국자, 마늘 1-2수저, 양파랑 사과 갈아 넣고, 쪽파 없으면 대파 넣고.
    새우젓 조금, 액젓은 맛보면서 가감...
    다시물 있으면 좋겠지만 맹물에 찹쌀 1수저 넣어서 죽 끓여 식혀 넣고요.
    미나리 조금 넣으면 좋고요...없으면 말고요.

  • 6. 고고
    '16.12.3 12:15 PM (121.140.xxx.140) - 삭제된댓글

    1포기만 담고 남은 배추의 문제는요...
    부지런히 배추국 끓여 드시든지,
    그냥 생 배추를 냉동실에 넣으면 안되고요, 살짝 삶아서 넣으신다면 배추국으로 활용 가능해요.
    요즘 나오는 배추는 신문지에 싸서 냉장고에 넣으면 1달 가까이 보존 가능성 있습니다.

    1포기만 김치를 담고 싶다면,
    막 썰어서 절인 후에 씻어 물기 빼고, 양념 넣고 버무리세요.
    김장보다는 양념을 가볍게 해도 됩니다.
    고추가루 1국자, 마늘 1-2수저, 양파랑 사과 갈아 넣고, 쪽파 없으면 대파 넣고.
    새우젓 조금, 액젓은 맛보면서 가감...
    다시물 있으면 좋겠지만 맹물에 찹쌀 1수저 넣어서 죽 끓여 식혀 넣고요.
    미나리 조금 넣으면 좋고요...없으면 말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4643 손가락 장지진다의 뜻이래요~~~~~ 12 지져라 2016/12/03 4,756
624642 박근혜 3차담화 외계어 동시통역본 2 중독녀 2016/12/03 819
624641 저는 더 민주도 국민의당도. 다 맘엔 안들어요. 그럼에도 32 .. 2016/12/03 1,246
624640 보쌈먹을때 나오는 김치에는 설탕이 많이 들어가나요? 4 보쌈 2016/12/03 1,205
624639 딸아이랑 같이 나가려는데 어느역서 내려야하나요 3 ^^ 2016/12/03 638
624638 청와대 약물 용도 2016/12/03 473
624637 민주당은 탄핵이 통과하기를 원할까요? 민주당은 탄핵불발을 원하.. 22 dd 2016/12/03 1,041
624636 제가 댓글 쓰고도 궁금한데: 댓글알바 월급 환수건 6 ........ 2016/12/03 473
624635 하야햇) 김냉을 새로 샀는데요 3 궁금 2016/12/03 874
624634 나는 노빠이자 친문이다. 22 뽕쟁이그녀 2016/12/03 1,258
624633 알바들이 댓글놀이 하고 싶어하는곳은 2 맹ㅇㅇ 2016/12/03 248
624632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직접전화했어요. 3 conny1.. 2016/12/03 918
624631 노니님 김치양념 배추 몇포기 기준인가요? 2 첫김장 2016/12/03 1,342
624630 다를줄 알았는 2 유슴민 2016/12/03 365
624629 친문의 과잉충성 "세상 모두 부패해도 文은 부패안해…나.. 19 ㅇㅇ 2016/12/03 1,442
624628 한국 성장률, 4분기 연속 0%대 4 경제도개판 2016/12/03 426
624627 청계광장 박원순 노회찬 오후 4시 시국 버스킹 ^^ 2016/12/03 535
624626 갑자기 하혈을 해요 4 교통사고 후.. 2016/12/03 1,679
624625 중범죄자는 탄핵당해야하며 중범죄자 옹호자도 물러나야합니다. 3 ... 2016/12/03 265
624624 그알 피디 트윗"박근혜 대통령의 5촌 조카 사망 사건 .. 3 ㄷㄷㄷ 2016/12/03 2,051
624623 전복죽에 내장은 색깔때문에 넣나요? 12 흰전복죽 2016/12/03 3,299
624622 박근핵닷컴 꼭 탄핵청원 참여하세요! 14 박근핵닷컴 2016/12/03 797
624621 돋보기를 일상에 쓰면 눈이 나빠질까요? 3 40대 2016/12/03 1,389
624620 롱패딩 추천해주세요 5 고등여아 2016/12/03 1,993
624619 라면 맛있게 해먹는 법 있나요? 5 ..... 2016/12/03 1,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