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학자 조영태(44)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 말이다. 삼성 사장단, 현대기아자동차 글로벌리더과정 등 기업 고위 임원 세미나의 단골 연사다. 최근 ‘정해진 미래’란 책을 냈다. 저출산으로 미래 인구 변화에 따른 경제와 직업, 일자리 변화 생태계를 전망한 책이다. 앞으로 일자리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물었다.
"공무원·교수·변호사 이제 사양직업"
인구학자 조영태(44)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 말이다. 삼성 사장단, 현대기아자동차 글로벌리더과정 등 기업 고위 임원 세미나의 단골 연사다. 최근 ‘정해진 미래’란 책을 냈다. 저출산으로 미래 인구 변화에 따른 경제와 직업, 일자리 변화 생태계를 전망한 책이다. 앞으로 일자리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물었다.
1. ..............................
'16.10.16 8:00 PM (165.132.xxx.241) - 삭제된댓글사양이라도 좋으니
그거나마.....2. 저말대로
'16.10.16 8:01 PM (222.239.xxx.38) - 삭제된댓글된다면..앞으로 먹고 살길이 없죠..
3. 앙수녀
'16.10.16 8:02 PM (110.70.xxx.111)금수저가 최고죠
4. 저직업군이
'16.10.16 8:02 PM (222.239.xxx.38)사양이면,나머지는 사망이죠..
5. ..
'16.10.16 8:02 PM (223.62.xxx.134) - 삭제된댓글“4개로 봅니다. 우선 해외 취업을 늘리는 겁니다. 그냥 무작정 박봉을 감수하고 아무 데나 가는 게 아니라, 숙식이 보장되고 돈도 충분히 모을 수 있는 그런 일자리를 찾는 겁니다. 요즘 삼성을 보면 해외 공장을 늘리고 있습니다. 구미 공장은 중장년 비중이 높아 인건비가 높기 때문입니다. 국내 대기업에 가기 위해서라도 해외에 가야할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둘째는 이민입니다. 미국은 이민을 통해 OECD 국가 중 인구구조가 가장 젊습니다. 우리나라도 외부의 젊은 피 수혈이 필요합니다. 세번째는 출산율 제고입니다. 마지막은 대학 문제입니다. 덮어놓고 대학에 가면 직업 선택의 폭이 작아집니다. 다들 좋은 과만 가려다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이죠. 이미 대졸자 비중이 너무 높습니다. 스웨덴은 평균 25~26세에 대학갑니다. 먼저 취업했다가 대학에 가는 겁니다. 이런 변화가 필요합니다. 저는 두 딸 입시학원보내는 걸 중단했습니다. 꼭 18살에 대학 보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6. 우옹..
'16.10.16 8:05 PM (59.22.xxx.40)윗님
제 조카 하나가 딱 그렇게 고민하다가 졸업후 일해보다가 25살에 대학갔어요.
만족하고 잘다녀요. 물론 경제적으로 전혀 어려움 없어서 가능도 했지만요.7. 요즘
'16.10.16 8:08 PM (110.70.xxx.111)굴지 대형로펌 변호사가
요가강사가 되더군요
커리어가 화려해 찾는고객있겠지만
자기네 비서만 못한 연봉을 잘
참고 견딜지8. 음
'16.10.16 8:12 PM (58.234.xxx.89) - 삭제된댓글우리나라 젊은이들은 외국으로 나가고 외국 젊은이를 한국으로 들여오자?
출산율이 왜 낮아지는지는 쏙 빼고 말하고 있군요.9. ..
'16.10.16 8:13 PM (223.62.xxx.134) - 삭제된댓글윗님, 정말 시야가 좁으시네요 ㅎㅎ
10. ..
'16.10.16 8:24 PM (210.178.xxx.230)저출산여파로 실업률이 떨어지는데 단순히 저출산=실업가능성 축소 환상에 빠지면 안되는것이 경기침체로 비정규직만 늘어난다라는점.
그리고 결국 저출산의 빈자리를 이민으로 쉽게 채우려는 가능성때문에 특히 걱정이 되네요11. 김일성
'16.10.16 8:37 PM (110.9.xxx.55) - 삭제된댓글최고의 직업은
건.물.주12. ..
'16.10.16 8:56 PM (116.39.xxx.133)저 직업군이 사양이면 나머지는 뒤져야죠 ㅋㅋ
13. ㅎㅎ
'16.10.16 8:59 PM (118.222.xxx.29) - 삭제된댓글저분은 저 예측이 틀려도 앞날에 전혀 문제가 없다에 500원 겁니다
서울대 교수야 안되면 딸 외국 보내기도 쉽고..14. 그만큼
'16.10.16 9:07 PM (125.185.xxx.178)산업전반에 과부하가 나타난다는거죠.
정책적으로 보완이 필요한데 그것까지는 말할 수 없겠지요.15. ^^^
'16.10.16 9:43 PM (118.43.xxx.123)한의사는 왜 뻇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