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무원이 낳은가 대기업이 낫은가 전문직이 나은가

조회수 : 4,509
작성일 : 2016-10-11 00:16:17
어느것이 나은가요

공무원이 낫은가?

대기업이 낳은가

전문직이 나은가.

IP : 175.223.xxx.66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0.11 12:19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빌딩주인이 젤낫죠.

  • 2. ㅎㅎㅎㅎㅎ
    '16.10.11 12:20 AM (178.191.xxx.184)

    원글님 센스 ㅎㅎㅎ.

  • 3. ......
    '16.10.11 12:26 AM (39.121.xxx.144)

    금수저요~ ㅋㅋ

  • 4. 그때
    '16.10.11 12:26 AM (175.223.xxx.66)

    맞춤법은 중요하지않고 본질을 보라는

    남자 공무원이 올렸던


    공무원이 낳은가 -> 낫은가 대기업이 좋은가

    생각만 해도 너무 웃겨서 검색해봤는데

    지워졌네요...쩝....

    한글날이라 더 웃겼었는데

  • 5. 주옥같던
    '16.10.11 12:27 AM (175.223.xxx.66)

    댓글도 기억나요.

    그 자료가 틀렸다는 어떤분께

    님의
    인성을 가슴에 손을 얹고 성찰하시오.

    ㅋㅋㅋㅋㅋ

    그 글 보고싶은데 지워졌네요. 기억하시는 분들 계신지..

  • 6. ㅋㅋㅋ
    '16.10.11 12:29 AM (175.209.xxx.57)

    그거 일부러 그런거 아니구요??? 웃길려고?

  • 7. ..
    '16.10.11 12:31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공무원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 8. ..
    '16.10.11 12:31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대기업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 9. ..
    '16.10.11 12:35 AM (116.124.xxx.160) - 삭제된댓글

    골라잡아 아무거나 할 수 있는 거면, 저 질문이 의미가 있죠.
    보통은 아무거라도 좋으니까 하나 시켜줬으면 좋겠고.
    해당사항 있는 사람은
    전문직 될 수 있는 사람이 대기업 가는 사람 없고
    대기업 갈 수 있는 사람이 공무원 시험 공부 하는 사람 없고
    공무원 될 수 있는 사람이 전문직, 대기업 골라 갈 수 없고.
    대기업 관두고 공무원 되었다고 해서,
    공무원이 대기업 보다 낫다고 할 수는 없어요.
    그저 고용불안의 문제일 뿐.
    그것도 문제라면 큰 문제인데, 우리사회 포지션은 자식이나 친척이 대기업이면 대단하다고 생각해도
    공무원은 대단하다고 자랑하지 않습니다.
    전문직이 있으면 가문의 자랑이요, 대기업이 있으면 집안의 자랑이요, 공무원이 있으면 꿀리지 않는 정도지요.
    개인의 명예와 영달의 추구냐, 안정의 추구냐의 문제인데.. 그게 어느 게 낫다고 말할 수가 없다능.
    그래도 낫다고 하면 여자들은 공무원이 낫다고 하죠.
    비오는 날에는 장화가 구두보다 나은 수준.

  • 10. 도대체
    '16.10.11 12:36 AM (218.157.xxx.182)

    이거 얼마나 많은 사이트에 도배되는지? 박봉 공무원 부심?

  • 11. 원래는 저 정도의 사람들이
    '16.10.11 12:43 AM (116.126.xxx.157) - 삭제된댓글

    가는 게 맞는 직업이죠. 행시 등 고급 공무원이 아닌 한...
    근데 불황의 여파로 공무원 직업이 너무 뻥튀기 돼서 너도 나도 지원하는 지금이 비정상이죠.^^

  • 12. ㅋㅋ
    '16.10.11 12:44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공무원들 자부심 쩌네요.
    저 아는 공무원도 카톡에 어의가 없네..이렇게 적어놓고..
    가늘고 길뿐
    짧고 굵은 대기업도 나쁘진 않아요.

  • 13. ㅋㅋ
    '16.10.11 12:46 AM (211.36.xxx.65) - 삭제된댓글

    공무원들 자부심 쩌네요.
    저 아는 공무원도 카톡에 어의가 없네..이렇게 적어놓고..
    공무원이 가늘고 길뿐
    짧고 굵은 대기업도 나쁘진 않아요.
    전에 통계도 냈는데 비슷하다고 나왔어요.
    공무원 연금은 국민연금보다 수익이 더 안좋아서
    (기존 연금받는 사람들이 너무 고액인데다 오래살죠)
    앞으로 점점더 줄일거에요.

  • 14. 김일성
    '16.10.11 12:57 AM (110.9.xxx.55) - 삭제된댓글

    대기업 근처도 안가본 분들이 대기업 좋다고 하는말은 걸르세요

    입사한지 20년 거의 다된 지금 차장단 사람들은 죽지못해 다니는거고 (돈은 많이 받는데 늘 불안하고 스트레스 장난아니죠 ) 요즘 입사하는 애들은 지옥이예요
    근속연수 10년도 안되요

    기대수명 80살 이라는데

    그 나이때 관두면 할거 없어요

  • 15. ㅡㅡ
    '16.10.11 1:07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기업에 있다 나와서이고

    케바이케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어디든 하기나름입니다.

  • 16. ㅡㅡ
    '16.10.11 1:11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보여자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어디든 하기나름입니다.

  • 17. ㅡㅡ
    '16.10.11 1:13 AM (223.62.xxx.189) - 삭제된댓글

    윗님은 보여자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대기업도 혼자버는거와 맞벌이 차이는 엄청나요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 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준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뭐 할게 있나요? 고위직 아니고서는

    어디든 하기 나름입니다.

  • 18. ㅡㅡ
    '16.10.11 1:13 AM (223.62.xxx.189)

    윗님은 단순한 안정 생각하니 그런거고
    대기업 있다 나와서 창업했는데 공무원이였으면
    엄두도 못내겠지요? 그나마 대기업에 있다 나와서 가능한건데 케바이케. 대기업도 혼자버는거와 맞벌이 차이는 엄청나요

    노후나 안정추구만 볼게 아니라보내요.
    저희는 집안에 형제 친척들이 거의 공사 내지는 공무원인데
    노후준비며 사는건 제가 제일 안정적이고 잘 살아요.
    공무원은 퇴직하면 뭐 할게 있나요? 고위직 아니고서는

    어디든 하기 나름입니다.

  • 19. ...
    '16.10.11 1:15 AM (211.36.xxx.65)

    공무원의 장점은 근근히 먹고살 정도로 돈 나온다는거..
    공무원 연금 수익률이 국민연금보다 안좋아서
    그 연금도 몇십년후 얼마나 줄지 불투명해요.
    비슷한 또래 공무원보다 대기업 다니는 제가 자산이 두배에요.
    대기업 짤린다해도 오십까지 다니는 사람도 많구요.
    공무원 평균 재직률도 그리 길지 않아요.
    정년 꽉 채우는 비율 의외로 적더군요.
    20년 좀 넘어 퇴직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 20. gjf
    '16.10.11 2:30 AM (27.124.xxx.167)

    이게 질문인가요?
    당연 전문직이지요.
    예전 만큼 벌지 못한대도..
    공무원 아버지..
    대기업 대학동기
    다 제치고 전문직과 결혼했어요.

  • 21. ??
    '16.10.11 2:32 AM (93.56.xxx.156) - 삭제된댓글

    직업만 보면 전문직이 최고 아닌가요?

  • 22. 그 원글 삭제했어요?
    '16.10.11 2:42 AM (58.234.xxx.243)

    아 정말 그 글에 댓글들 때문에 배 잡고 얼마나 웃었던지 최근 들어 그렇게 웃었던 적이 없었어요 ㅋㅋㅋ
    생각하니 또 웃음이 터져서 저 또 빵 터졌어요
    이 글 제목보고 막 웃음 터져서 깔깔거리며 들어왔어요ㅋㅋ
    원글님도 센스있으시고 재밌는 분~^^
    아 웃겨요ㅋㅋㅋㅋ

  • 23. 어쨋든
    '16.10.11 7:44 AM (218.154.xxx.102)

    현재 공무원 시험은 고시가 됐고
    공무원은 멋진 고학력 인재로 넘쳐남.

  • 24. ..
    '16.10.11 9:37 AM (110.8.xxx.181) - 삭제된댓글

    행시패스라면 몰라도 공무원이 좋나요?
    경쟁율 높다해도 그냥저냥 먹고사는데 최우선점을 두는 그만그만한 사람들이 많아 경쟁하니 치열한것일뿐,
    솔직히 똑똑하고 잘나가는 사람들중에 공무원이 꿈인 사람은 없어요
    행시패스해서 고위공무원으로 나가겠다면 몰라도,,

  • 25. 당연히
    '16.10.12 2:13 AM (115.161.xxx.18)

    전문직이 비교도 안되게 더 나은건데
    공무원 부모님.. 공무원 시험 치라시니..
    30대네 몇년 더 고생하고 전문직되는게 낫지 진짜
    요새 기사에서 자꾸 공무원 띄워주니까 현실감각이 없나봐요.. 제 하소연 입니다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5241 이사 다니는거 활력이예요 26 ........ 2016/10/11 7,057
605240 파마 전에 샴푸 하는 게 좋을까요? 2 2016/10/11 7,258
605239 부산에 월급제 24시간 재가간병인 구할 수 있을가요? 2 rr 2016/10/11 1,177
605238 가사도우미 처음 쓰려고하는데 조언부탁드려요 7 둥둥둥 2016/10/11 884
605237 기획부동산 소개해준 땅. 사겠다고~ 계약하겠다 해요 22 ... 2016/10/11 3,774
605236 임플란트와 브릿지중 고민입니다 2 ..... 2016/10/11 1,243
605235 나이 43에 보육학과 면접봅니다 4 니콜 2016/10/11 1,443
605234 남자간호사 웹툰 보실분 2016/10/11 858
605233 지켜 줘야 한다는 강박.. 13 ... 2016/10/11 2,815
605232 나이먹을수록 겁도 많아지고 생각도 많아지네요 1 ㅅㅂㅈ 2016/10/11 825
605231 친구의 동생이 결혼하는데 왜 기분이 별로인거에요... 10 찬바람 2016/10/11 2,597
605230 디저트 카페로 유명한 곳이 어디 어디인가요? 2 디저트 2016/10/11 974
605229 점심시간 다가오는데 5 2016/10/11 676
605228 서울구경 2 촌눔 2016/10/11 489
605227 평창* 절임배추 주문해 보신 분 어떻던가요 2 ... 2016/10/11 1,019
605226 구르미 세자가 홍경래난을 해결할것 같네요 4 ㅇㅇㅇ 2016/10/11 2,020
605225 80년대 전남대 공대 어땠나요? 15 Dd 2016/10/11 3,476
605224 달의 연인은 그냥 소와 수 보는 재미로 봐요^^ 3 사랑해~ 2016/10/11 820
605223 나이드니 체형이 딱 여자 마동석으로 변해가네요 16 @@ 2016/10/11 4,416
605222 우리 세자저하 왜 그 칼을 거두라는건지 1 단비 2016/10/11 589
605221 갤노트7 때문에.. 아니 남편때문에 환장하겠는데.. 6 갤노트7 2016/10/11 1,899
605220 노트7 폭발 삼성의 국내대처와 해외대처 5 ... 2016/10/11 1,024
605219 검사로 인해 서로를 의심하고 있는 지인.. 5 끼기싫은데... 2016/10/11 1,725
605218 아픈 언니들과 해외여행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17 도움 좀.... 2016/10/11 2,620
605217 오른쪽 손목에 시계 차는 분 계세요 8 vv 2016/10/11 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