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는 김밥을 싸서 썰면 바로 터져요

잘안되요 조회수 : 4,416
작성일 : 2016-09-27 10:51:57
오늘 아들현장학습이라

김밥을 쌌는데요

밥은 만족스러운데

김밥을 썰면다 터져요
아무래도 김밥김이랑재료가
끝에 맞물려 그런것같아요

저는 김밥김 가로가 긴부분으로 놓고 싸는데요

세로를 길게하고 돌돌말아야하나요?

김밥집가서 싸는거보면 안터지고 쉽게 잘싸던데

저는 왜그렇죠?

아궁 속상해요

젓가락으로는 절대 못찝어 먹는다는

손으로 싸서 먹어야되요ㅜㅜ




근데 새로산 밥솥에 밥을해서 그런지

뭣때문인지 몰라도

김밥이 입에서 막 사르르 씹기도전에

녹아없어져요

제가 쌌지만 오늘의 김밥은 너무너무 맛있네요

아마도 고기때문인건지

하여튼 집김밥은 정말 맛있어요.
IP : 39.7.xxx.199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27 10:52 AM (210.217.xxx.81)

    밥을 조금 질게? 해보세요
    그리고 김밥속재료에 공기없이 탄탄하게 말아줘야해요

  • 2. ㅁㅁ
    '16.9.27 10:55 AM (175.193.xxx.104) - 삭제된댓글

    김발로 뭉쳐줘도 그런가요?
    밥을 잘펴고 재료앞부분으로 놓고
    영 내실력 늘지않네싶거든 김끝에 풀을 바르기도합니다

    그다음 말아서 바로 안썰고 좀두면 김이 쪼그라들며
    알아서 깁밥이 좀 단단해져서 안터지기도하구요

  • 3. ..
    '16.9.27 10:56 AM (180.230.xxx.90) - 삭제된댓글

    칼이 잘 들어야해요.
    썰기 전에 칼 좀 갈으세요.
    그리고 김밥 말고 바로 써는것보다 조금 있다가 썰면 김하고 밥이 밀착되면서 팽팽해져서 더 잘 썰어져요.

  • 4. 김밥
    '16.9.27 10:56 AM (1.230.xxx.115) - 삭제된댓글

    김밥 자를때 칼끝에 물을 살짝 묻혀서 썰어보세요.

  • 5. ..
    '16.9.27 10:56 AM (210.217.xxx.81)

    그리고 두줄씩 붙여써 썰어보세요 잘 안터져요

  • 6. 김밥
    '16.9.27 10:57 AM (125.177.xxx.200)

    세로로 해야 더 말려서 잘 안터지고 김밥 썰기전 꼭 칼 갈아요.
    칼이 잘 들어야 김밥이 잘 썰리거든요

  • 7. ㅁㅁ
    '16.9.27 10:57 AM (175.193.xxx.104) - 삭제된댓글

    칼에 참기름살짝바르기도하고요

  • 8. 원글
    '16.9.27 10:59 AM (175.223.xxx.238)

    제말은요

    제가 김밥을싸면 재료가 정중간이 아니라

    한쪽으로 쏠려서

    김밥김한쪽이랑 밥없이 재료가 붙어서

    썰면 떨어져버려요

    밥이 따불되도록 밥을 끝까지 넣어볼까요?

  • 9. 밥을
    '16.9.27 10:59 AM (39.117.xxx.56)

    김의 3분의 2정도만 깔고 밥 가운데 재료를 놓고 밥 끝과 끝을 접어 붙인다 생각하고 마세요.
    밥 끝과 끝을 붙여서 꾹꾹 눌른 담에 남은 김을 말아주고 바로 썰지 말고 굳을 시간을 좀 준다 생각하고 10분쯤 후에 잘 드는 칼로 자르세요.

  • 10. ..
    '16.9.27 11:00 AM (210.217.xxx.81)

    밥을 거의 3분에 2는 깔아줘야해요 그래야 그 속에서 재료가 밥에 붙죠..

    얇고 넓게 펴 보세요..그럼 재료가 가운데로 오게 나와요 김밥이..
    아 먹고싶다

  • 11. 흠흠
    '16.9.27 11:01 AM (125.179.xxx.41)

    제가 고봉민김밥 이런데서 싸는거 찬찬히 살펴봤는데요
    김을 가로든 세로든 상관없구요
    김펼치고 밥을 얇게 펼쳐서 끝에 조금만 남겨두고
    밥을 다 깔아요
    그리고 재료를 넣고 말더라구요
    그러니 밥이 한번 둥글려지고 약간 더 남아 김에
    척붙으니 터지지않고 안정적으로 썰어지더라구요
    그날이후론 저도 밥을 얇게 꼼꼼히 펼치고
    재료넣네요 한번해보세요
    밥이 두꺼우면 팍팍하니 위생장갑끼고
    잘펼쳐보세요

  • 12. ㅇㅇ
    '16.9.27 11:02 AM (60.50.xxx.228)

    김밥재료를 한쪽으로 몰아넣고 그 쪽부터 말아서 감으세요. 그래야 속이 김밥 중심에 오죠.
    속이 한쪽으로 밀리면 자를때 쉽게 터져요.

  • 13. 흠흠
    '16.9.27 11:03 AM (125.179.xxx.41)

    그리고 한가지팁이라면
    말고나서 바로썰면 김이며 재료들이
    덜붙어서 잘풀어져요
    썰때 막 삐져나오구요
    김밥말아놓고 약 십분정도는 놔뒀다가 썰으세요
    그럼 지들끼리 착붙어 한덩어리되서 터지지않고
    쓱 쓱 잘 썰립니다

  • 14. ㅇㅇㅇ
    '16.9.27 11:06 AM (14.75.xxx.83) - 삭제된댓글

    한쪽으로 몰리면 밥이 두꺼워입니다
    밥알이 거의한겹으로 붙어있다시피
    할정도로 깔아보세요
    세로는재료아끼느라 김갑집에서 그렇게 하던거고요
    보통 김밥모양의승폐는 밥 량이예요
    밥을지금의 반만 하시고
    칼은 물을묻히면 바로먹을건몰라도 야회나가는건 하지마세요
    차라리 옆에 가스불작게틀어놓고 달궈서 썰어보세요

  • 15. 피클
    '16.9.27 11:10 AM (61.100.xxx.250)

    밥을 얇고 넓게 속재료를 완전히 감싸게말구요
    10분정도 방치해서 밥이랑 김이랑 잘 붙고 김이 팽팽해지면
    세라믹칼이나 톱니칼 이용해 써세요

  • 16. 전..
    '16.9.27 11:10 AM (106.250.xxx.178)

    제가 밥을 조금 넣고 김밥 만드는 스타일인데요.
    그러다보니 밥이 고루 펴지지 않아서
    김밥속을 다 감싸지 못해요.
    밥이 한쪽으로 몰려있죠.

    그래도 김밥이 잘 풀리지 않아요.
    일단 단단하게 말고
    잘 드는 칼을 사용하고요.
    칼로 썰 때 김밥 속이 몰린쪽이 아니라
    밥이 몰린 쪽으로 칼을 먼저 대거든요.
    그러면 썰다가 풀리는 일은 없더라구요.

  • 17.
    '16.9.27 11:12 AM (1.232.xxx.194)

    칼에 참기름 발라 썰거나
    빵자르는칼 사서 썰어보세요..안터져요

  • 18. 저두그랬어요
    '16.9.27 11:18 AM (183.97.xxx.177) - 삭제된댓글

    님은 밥을 많이 하든 작게 하든 김밥 말때 시작하자마자 끝을 만나서 한번에 동그란 모양을 내려고 해서 그런거예요. 롤케일 말듯이 하면 김이 밥 중간에 들어가긴 하지만 재료는 정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요.
    밥을 김의 2/3까지 올리구요. 재료를 앞에서 1cm 에 놓으세요. 바로 코앞이죠. 그리고는 롤케익모양 아시죠? 그거처럼 앞에서부터 작은 원을 만들면서 두르르륵 말아주세요. 그럼 재료가 결국 가운데 있게 되요.

  • 19. ...
    '16.9.27 11:19 AM (221.165.xxx.58)

    김밥 말면 저는 칼부터 갑니다. 칼이 무디면 김밥 백이면 백 모두 터져요
    잘드는 칼로 썰어야 하구요
    김밥을 다 말은 다음 김 맞물려있는부분이 아랬쪽을 보도록해서 쟁반에 넣어요 그럼 김과 김이 철썩 붙어서 안떨어져요

  • 20. 원글
    '16.9.27 11:24 AM (39.7.xxx.199)

    님들 모두모두 고맙습니다.

    오늘 저녁에 김밥재료 남은걸로 새로
    싸볼건데요.
    여기댓글들 잘 읽고 제대로 김밥 잘 말아볼께요
    얼른 싸서 이젠 좀 성공해보고싶네요.

  • 21. ..
    '16.9.27 11:29 AM (175.113.xxx.18) - 삭제된댓글

    저도 맨날 터지는데...식은후 (잠시후) 썰면 안터지더라구요.

  • 22. 김이
    '16.9.27 11:37 AM (202.30.xxx.226)

    조금 지들끼리 붙을 시간을 줘야 합니다.

    그리고 재료들은 제 경우에는 그냥 한 가운데 차곡차곡 눕히고요.

    밥알을 김 가장자리까지 가기 보다는(밥에 참기름이 얼마나 가미됐냐에 따라...기름기때문에 오히려 김이 안 붙을 수도) 김발로 돌돌 말아 싼 다음 김과 김끼리 붙어 있는 부분을 아래쪽으로 가게 해서 조금 두셔야 해요.

  • 23. 주먹밥 만들듯이
    '16.9.27 11:43 AM (110.70.xxx.41)

    밥을 동그랗게 만들어서 오른손에 쥐고 ,
    좌에서 우로 펼친다음 위 아래를 펼쳐요.
    골고루 똑같은 두께로 빠짐없이 펼쳐요.
    김끝에 2-3cm 폭으로 남기고 밥풀을 군데 군데 발라요.
    다 말고나서도 김발에 말린채로 한번씩 더 눌러줘요.
    썰때마다 칼날에 묻은 찌꺼기를 닦아줘요.

  • 24. 김선생
    '16.9.27 12:11 PM (211.36.xxx.38)

    김밥 싸는게 아직도 힘들어요.
    꼬리 모양 김밥은 어찌 싸는지.ㅜ

  • 25. ..
    '16.9.27 12:46 PM (211.224.xxx.29)

    김밥 전문집서 마는것보고 따라하면 다 터져요.거기처럼 밥 많이 넣으면 안되고 재료도 너무 많이 넣으면 안되고 한번도 턱 말아도 안되고. 저는 속재료..밥과,재료를 너무 많이 넣으니 끝에 밥과 밥이 만나야 끈끈하니 뭉쳐지는데 끝에 재료랑 김이 만나니 제대로 말아지지 않고 터지더라고요. 님도 그런것 같으네요

  • 26. 빵칼최고
    '16.9.27 3:38 PM (114.207.xxx.236)

    김밥용 김을 잘 고르셔야하고 빵칼로 썰면 깔끔하게 잘 썰려요.

  • 27. 모로가도
    '16.9.27 8:23 PM (39.118.xxx.173)

    젖은재료일수록 내몸쪽으로위치하고 달걀같은건 가운데쯤 위치시키세요. 말고나면 젖은재료는 정중앙에 달걀은 재료들을 호위하듯 감싸고있는 폼이 나서 더 이쁘? 안정적? 입니다.


    근데 저도 궁금한건 단단히말려해도 잘안되는데 알려주실 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2609 목동 신목중 대단하네요 39 영재고 2016/10/02 16,871
602608 코리아세일기간에 가전 어디서 사야할까요? 1 ㅇㅇ 2016/10/02 782
602607 비둘기 데리고 왔어요 11 땡글이 2016/10/02 1,689
602606 남자에게 어필하려면 여성성이 필수인가요? 8 .. 2016/10/02 4,488
602605 박근헤가 전쟁 난다고 하는게 헛말이 아니군요 11 ... 2016/10/02 3,587
602604 지금 헤나염색중인데 풀가루색이 변하질 않아요ㅠㅠ 4 .. 2016/10/02 1,190
602603 집나왔어요,,, 3 ,,,,, 2016/10/02 1,247
602602 (웃음주의)이정현 단식 전, 후 15 ㅇㅇ 2016/10/02 6,047
602601 강변역 현대2단지 아파트 어떤가요? 1 .... 2016/10/02 1,364
602600 시판 김치 추천해주세요 7 홍이 2016/10/02 2,689
602599 이정현 VS 이재명 누가 더 나쁜가? 3 이중잣대 2016/10/02 916
602598 여수1박2일 여행 코스 질문이요 1 여행 2016/10/02 2,248
602597 담배 못 끊는 남자친구 진짜 짜증나요 18 2016/10/02 7,675
602596 호주로 편지를 보내려고 합니다.주소쓰기 도움부탁드려요^^ 7 타임버드 2016/10/02 420
602595 혹시 이 책 제목을 아시는분 계실까요? 아주 오래전 책이예요 7 ㅇㅇ 2016/10/02 865
602594 시간의 비밀은 집중에 있나봅니다 2 ㅗㅗ 2016/10/02 1,271
602593 박근혜님..이제 이실직고 하시고 광명찾으세요.ㅠ 6 dd 2016/10/02 1,505
602592 6개월된 조카선물....뭐가 좋아요?? 2 파리여행에서.. 2016/10/02 585
602591 30대 중반, 미간 정가운데 주름 시술 신세계네요 3 .. 2016/10/02 4,626
602590 아메리카노 기프티콘 있는데 추가요금내고 다른거 마실수 있나요? 2 ... 2016/10/02 1,121
602589 오늘은 부침개 핑계 4 k 2016/10/02 1,433
602588 과천정부청사 근처 숙소좀 알려주세요!!! 2 79스텔라 2016/10/02 1,076
602587 반전셋집 씽크대 상판 바꿀래요.. 인조대리석? 스텐? 원목? 14 4433 2016/10/02 4,971
602586 파주 어제 오늘 날씨 궁금해요 4 날씨가 궁금.. 2016/10/02 879
602585 칼날 같은 여동생 120 언니 2016/10/02 22,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