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진도 7.5에도 끄덕없는 목조주택

안전제일 조회수 : 3,676
작성일 : 2016-09-13 10:17:22

http://tvpot.daum.net/v/sIV93xkOqc4$


 경량목구조의 목조주택의 내진성 


1. 경량목구조주택의 구조는 수많은 공학용판넬들과 수많은 나무기둥,스터드들과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때문에 지진으로 발생된 힘이 한쪽 방향으로만 가해지지 않고 서로 분산이 되어 피해가 최소화 됩니다.


그저 몇몇의 큰 구조재의 이음이 아닌, 작지만 아주 많는 수의 구조적 이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결합부에 하중이 과다될 경우 근접해 있는 다른 결합부들에서 힘을 분산시켜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벌집구조와 같습니다.


2. 목재는 단위질량당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목조주택들은 다른 건축양식들 보다 가볍습니다.
가벼움이야말로 지진으로 부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장큰 이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3. 못질이 된 목구조의 연결부들은 지진이 발생했을시 유연성이 있어 외부로부터의 힘을 흡수하며 각구조재로 분산 시켜 줍니다.강하면 부러진다라는 말이 생각 납니다.   


4. OSB와 같은 공학용판넬들은 스터드(세로로 세워지는 작은 기둥들)와 무수히 많이 세워진 구조물을 따라 같이 움직이는데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큽니다.


목조주택은 화재에 안전한가요?

A 흔히 목재를 가연성 재료(불에 타는 재료)라 말합니다. 이는 목재가 열을 가하면 탈 수 있다는 뜻의 말로서 이러한 재료의 성질이 목조주택이 화재에 안전하지 않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곤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의 화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고 실내의 많은 가연성 재료, 예를 들면 커튼, 벽지, 가구류 등의 연소로 인해 인간의 생명에 치명적인 유독한 기체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더 진행되면 건물의 구조적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A 이는 단지 목조주택만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목조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축물은 이러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람이 대피하거나 불을 진화하거나 또는 건물이 화재에 의해 붕괴도지 않도록 일정한 시간동안 견딜 수 있게 설계하도록 법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내화시간이라 하며, 건물의 용도나 규모 그리고 부위에 따라 1시간, 2시간, 3시간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목재를 구조부재로 사용하는 목조주택의 경우에도 불연재료인 석고보드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러한 내화시간을 충분히 만족하도록 설계되고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다른 구조의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화재에 대해 안전하도록 지어지게 됩니다.

A 또한 목재는 철이나 콘크리트에 비해 열을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한옥 등에 사용되는 큰 목재의 경우에는 불에 직접 접하더라도 표면에서부터 일정한 속도(1시간에 약 4cm)로 타 들어가게 되고 탄화된 부분은 탄화층을 형성하여 열을 더 이상 목재내부로 전달하지 않아 연소를 지연시키는 등 화재에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재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IP : 221.143.xxx.26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13 10:24 AM (121.138.xxx.95)

    목조는 아무리 튼튼해봤자
    지진나고 화재나면 장작불처럼 활활 잘 타올라 꺼려한대요

  • 2. 현실성 제로
    '16.9.13 10:36 AM (121.131.xxx.118) - 삭제된댓글

    대한민국 특히 수도권은 인구밀도가 얼마나 높은데, 목조주택으로 집을 지어요.
    현실성 제로입니다

  • 3. 존심
    '16.9.13 10:48 AM (14.37.xxx.183)

    위에 설명했는데...
    잘 읽어 보세요.
    나무가 불에 타기는 하지만 불이 붙는 시간이 매우 깁니다.
    통나무의 경우 더욱 그렇지요.
    현대 주택들은 벽지라던가 커텐 등이 더 큰 문제를 일으키지요.

  • 4. 제가
    '16.9.13 10:51 AM (61.72.xxx.128)

    살던곳 한옥을 완전 통나무로 지은 음식점이었는데
    불나서 완전 전소되었던걸요?
    흔적도 없어 무서웠어요.

  • 5.
    '16.9.13 11:40 AM (112.166.xxx.113)

    우리집이 목조주택인데...
    활활탈거같진 않아요..

  • 6. 존심
    '16.9.13 12:35 PM (14.37.xxx.183)

    화재가 났을때
    생존과 가장 직결 되는 것은
    발화시간이 얼마나 짧으냐입니다.
    목조주택 그것도 통나무는 불이 붙는 시간이 매우 깁니다.
    즉 대처할 시간이 충분히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같은 형식의 인테리어는
    거의 발화성물질로 뒤덮여 있는 형국입니다.
    불이 나면 순식간에 번지게 되고 유독가스 발생으로 이어지는 겁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5920 대형회계법인 상무전무는 연봉이 얼마나 1 되나요? 2016/09/13 1,851
595919 어제 지진..진앙지부근 cctv 영상.. 10 ㅇㅇ 2016/09/13 4,994
595918 명절때 사촌형이 사촌 동생들에게 용돈 주나요? 19 .... 2016/09/13 8,163
595917 앉을때 일어날때 무릎이 아파면 연골이 닳은건가요? 3 걷기운동 2016/09/13 2,114
595916 한택식물원같은데 진드기 엄청많나요? 1 궁금해요 2016/09/13 581
595915 지진, 재해 메뉴얼 6 2016/09/13 842
595914 이지티켓 연결이 되시나요? 3 호남선 2016/09/13 315
595913 혼술에서 김동영 귀엽지않나요. 4 2016/09/13 990
595912 추석 맞이 전투 준비 3 이얍 2016/09/13 1,135
595911 전이 쉽나요? 튀김이 쉽나요? 25 추석싫어 2016/09/13 4,874
595910 인터넷전화 070이 아닌 것도 있지요? 3 어렵당 2016/09/13 709
595909 경제 어렵다는말 다 거짓말 같아요.. 32 통나무집 2016/09/13 13,545
595908 여자나이 서른에 3 얼마 2016/09/13 2,224
595907 미수습자 가족 추석 인사입니다 8 유지니맘 2016/09/13 886
595906 지진이야기 왜 그만해야하나요? 31 .. 2016/09/13 4,005
595905 '문제적 남자' 왜 이장원 씨만 꽃잎 날려주나요? 6 스타일리쉬~.. 2016/09/13 2,414
595904 내년에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우표’ 나온다 17 기가차 2016/09/13 1,245
595903 냉장고 엘지 vs 삼성 추천해주세요 8 어쿠스틱 2016/09/13 2,551
595902 옷 사러 고속버스 터미널역~~ 18 여쭤봐요 2016/09/13 3,875
595901 향수 전문가님들~~ 도와주세요^^ 5 ㅇㅇ 2016/09/13 1,396
595900 방금도 여진 느꼈어요 대구 26 ..... 2016/09/13 6,019
595899 서울에서 배재대 많이 오는데 14 ㅡㅡ 2016/09/13 6,857
595898 이정부는 무능한걸까요.무능한척하는걸까요? 10 대체 2016/09/13 725
595897 대구 수성구 약간의 지진 저만 느꼈나요 3시 48분쯤요.. 2 ... 2016/09/13 1,077
595896 오늘 오후 3시 06분 청와대 트위터 4 아우증말 2016/09/13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