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지진 발생시 탁자 밑으로 숨으면 안됩니다.

지진 조회수 : 5,141
작성일 : 2016-09-13 05:45:18
○ 앵커
지금 방송을 보고 계신 분들한테 저희들은 충실히 비상상황에 어떻게 대피하는지 전해드리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 전문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기 때문에 SNS나 이런 걸 통해서 잘못된 정보들이 오갈 수 있거든요. 다시 한 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알려져 있는 것처럼 일본에서의 지진처럼 밑으로 숨는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능사가 아니라고요?

● 기자
우선은 우리나라와 일본 상황은 다릅니다. 일본은 워낙 지진이 많기 때문에 대다수의 정말 고층빌딩, 시멘트로 지어진, 콘크리트로 지어진 빌딩은 내진설계가 완벽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내진설계가 안 돼 있는 건물들은 대부분 목조주택이 많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단단한 탁자 밑에 흔들림이, 진동이 감지되면 숨는 게 맞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목조주택이 무너진다고 하더라도 그 아래쪽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상황이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내진설계가 완벽하게 돼 있지도 않고 대다수의 주택이 목조가 아닌 콘크리트 주택입니다.

따라서 탁자 밑으로 숨는다고 하면 정말로 강한 지진, 규모 5.8 이상의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이 무너진다고 하면 생명을 잃을 위험성이 더 큽니다.

따라서 진동이 감지되고 뭔가 이번에도 기상청에서 지진 경보 시스템을 작동을 했는데 정말 진도가 센 지진이 오기 전에 뭔가 이런 정보가 들어왔을 경우에는 빨리 집밖으로 대피하는 게 우선입니다.

○ 앵커
그리고 엘리베이터라든지 전자기기를 통한 이동수단은 절대로 타시면 안 됩니다. 그것들을 꼭 지키셔야 하고 머리를 보호하고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넓은 대지가 있는 곳으로 나가시는 게 좋고요. 주변에 구조물이 떨어져서 혹시라도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하시고 주변에 있는 건물들 없는 곳으로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유언비어들을 듣지 마시고 각 전문가들의 말을 듣고 신속하게 외부로 이동하시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 꼭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지어진 건물들은 내진설계가 돼 있지만 규모 7 정도까지 버티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 기자
7까지는 어렵고요. 우리나라는 규모 6에서 최근에 아주 큰 건물 같은 경우에는 규모 6.5, 그리고 원전 같은 게 규모 7까지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그렇게 설계가 되고 있습니다.

IP : 71.84.xxx.6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무조건
    '16.9.13 5:45 AM (71.84.xxx.62)

    빨리 밖으로..

  • 2. 지진후
    '16.9.13 5:48 AM (75.166.xxx.198)

    파이프가 뒤틀리면서 가스가 새기시작하고 불켜둔 스토브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폭발에 엄청난 재난이 발생해요.
    건물이 무너지지않더라도 강도가 좀 더 센 지진이었다면 화재가 아마 젤 먼저 발새하는 큰 사고가 아닐까싶어요.

  • 3. 탁자밑은
    '16.9.13 5:58 AM (122.61.xxx.228)

    목조주택이 많은 일본이나 아주 예전 메뉴얼같아요.

    그냥 얼른 밖으로 대피하는게 답일거같네요, 귀중품 챙긴다고 그럴여유없이 무조건 밖으로....

  • 4. ufo
    '16.9.13 7:22 AM (203.244.xxx.34)

    가스벨브는 꼭 잠그시고...고베 지진때 가스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로 사상자가 많았다고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5694 진도가 세지만...다행히 상대적으로 피해는 적네요.. 4 ㅇㅇ 2016/09/13 1,413
595693 박근혜.. "한반도 전쟁 날수도..." 77 전쟁가능성언.. 2016/09/13 21,039
595692 우리나라 건물들 내진설계는 언제부터인가요 8 트라우마 2016/09/13 3,927
595691 오늘 마트가서 비상용품들 사야될까봐요 8 자취생 2016/09/13 2,271
595690 지진날때 밖으로 나가라는게.. 11 ㅇㅇ 2016/09/13 4,524
595689 우리나라 지진 발생시 탁자 밑으로 숨으면 안됩니다. 4 지진 2016/09/13 5,141
595688 너무 무섭지만 다시 일상으로 ㅠㅠ 4 ㅠㅠ 2016/09/13 1,048
595687 전 부칠때 밀가루, 부침가루 어느 게 맛있나요? 2 ... 2016/09/13 2,550
595686 우리 나라는 이럴까요. 1 2016/09/13 516
595685 혹시 잠 안오시면 영화 괴물 다시 보세요. 4 어제EBS 2016/09/13 1,285
595684 지진날때 대피요령 문의드려요 6 마리짱 2016/09/13 1,323
595683 이 와중에 꿈 얘기 좀 그렇지만 3 .. 2016/09/13 1,745
595682 [성명서] 지진공포에 빠진 대한민국, 원전 안전성 전면 점검하라.. 세계최대원전.. 2016/09/13 951
595681 이번 기회에 원전 공부해요. 2 원전 2016/09/13 640
595680 저는 아픈데도 식욕이 없어도 많이 먹네요 4 저는 2016/09/13 1,134
595679 후쿠시마같은 재난이 일어나면... 12 .... 2016/09/13 4,313
595678 역대 최강 지진 발생지는 정확하게 어디 1 활성단층 .. 2016/09/13 1,079
595677 나혼자 산다 이국주 슬리피. 윤정수 김숙 뒤를 이을 거 같은데요.. 9 얼론 얼론 2016/09/13 4,336
595676 안쓰는 가방 버려야할까요? ? 3 고민중 2016/09/13 2,730
595675 지진은 남의 일? 7 요상하구나 2016/09/13 1,566
595674 4대강 사업의 재앙... 우리는 뭐 믿고 이럴까요 4 분통 2016/09/13 1,610
595673 지진으로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 반응은 없나요? 19 개 고냥 2016/09/13 5,075
595672 이번지진으로고층건물 무섭네요 13 2016/09/13 5,141
595671 이번 지진으로 놀란분들 주변인과 이야기 많이 나누세요 7 도움 2016/09/13 3,349
595670 지진경험 네 번 중 올해만 세 번 ㅠㅠ 1 무섭 2016/09/13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