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밥~단무지가 없어서 오이로 대체하려는데 오이를 어떻게하죠?

ㅇㅇ 조회수 : 1,754
작성일 : 2016-09-12 07:48:49
여기 해외인데 김밥싸려는데 무가 없어서요
오이로 대체하고 싶은데
오이를 어떻게 맛을 내야할지 도움 좀 부탁드려요~
IP : 190.25.xxx.5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12 7:50 AM (121.141.xxx.230)

    단촛물이라고 식초 설탕물에 하룻밤전에 담가놓으세요

  • 2. dma
    '16.9.12 7:54 AM (122.34.xxx.30) - 삭제된댓글

    김밥에 넣을 사이즈로 세로로 길게 썰어서
    식초, 설탕, 소금으로 간한 단촛물에 절여서 쓰세요.
    한 이, 삼십 분 정도만 절여도 충분합니다.

  • 3. dma
    '16.9.12 7:55 AM (122.34.xxx.30) - 삭제된댓글

    근데 강남 어떤 김밥집에서는 오이를 채썰어서 절이지 않고 생으로 쓰기도 하더라고요.
    그것도 담백 시원하니 맛있었어요. 나머지 들어가는 재료의 맛에 따라 좌우되는 거겠지만.

  • 4. 저도 해외
    '16.9.12 7:56 AM (223.24.xxx.188) - 삭제된댓글

    단촛물에 2-30분 절인 후 물기를 짜서
    센불에 기름 살짝 두룬팬으로 살짝 볶아줍니다.
    이렇게 볶아주면 물기가 안나와 김밥 싸고 난 후 질척거리지 않고
    아삭거려서 맛있어요.

  • 5. 저도 해외
    '16.9.12 7:58 AM (223.24.xxx.188)

    단촛물에 2-30뷴 절인 후 물기를 짜서
    기름 살짝 두른 팬에 센불로 살짝 볶아줍니다.

    이렇게 볶아주면 물기가 안 나와 김밥 싸고 난 후 질척거리지 않고
    아삭거려서 맛있어요~

  • 6. ㅡㅡ
    '16.9.12 7:58 AM (220.118.xxx.44) - 삭제된댓글

    오이 채썰어서 그냥 꼭 짜서 넣어도 생큼하고 맛있어요.

  • 7. ㅇㅇ
    '16.9.12 8:01 AM (190.25.xxx.51)

    아하 어렵지않군요! 다행이에요^^
    고맙습니다~!!

  • 8. .....
    '16.9.12 8:10 AM (175.114.xxx.217)

    그냥 피클사서 단무지 크기로 썰어서 넣으세요.

  • 9. 해외에서
    '16.9.12 8:12 AM (211.44.xxx.4)

    만약 김밥을 별로 안접해보신분들에게 대접할거라면
    김초밥을 강추해요 드시는 분들이 놀랄걸요
    아마 김밥이 이런거구나 하고 폭풍관심을 유발케 할거에요
    김밥모양 그대로 밥만 좀다르게 하시면 되요 레시피나 자세한건 검색요망요

  • 10. ㅡㅡ
    '16.9.12 8:21 AM (182.221.xxx.13)

    전 단무지 안쓰고 늘 오이 사용해요

  • 11.
    '16.9.12 8:29 AM (119.14.xxx.20)

    김밥엔 단무지가 핵심이더라고요.
    단무지 빼면 우리식 김밥맛이 잘 안 살아요.ㅜㅜ

    식구들끼리 드실거면 김치 있다면 김치 씻어 꼭 짜 넣어도 괜찮아요.
    아니면, 양배추 초절임이나요.

  • 12. ㅇㅇ
    '16.9.12 8:36 AM (61.82.xxx.156)

    오이씨를 빼고 소금에 살짝 절여놨다가 물기제거하고 팬에 한번 빠르게 볶아준 후 넣으세요.
    소금에 절일때 설탕도 조금 넣으면 단맛도 가미되겠죠
    오이씨는 물기가 많고 물컹거리기 때문에 반드시 빼줘야 해요
    오이 돌려깎기 해서 채써는 방법도 있고
    길이대로 잘라서 씨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6057 4대강 사업의 재앙... 우리는 뭐 믿고 이럴까요 4 분통 2016/09/13 1,571
596056 지진으로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 반응은 없나요? 19 개 고냥 2016/09/13 5,039
596055 이번지진으로고층건물 무섭네요 13 2016/09/13 5,108
596054 이번 지진으로 놀란분들 주변인과 이야기 많이 나누세요 7 도움 2016/09/13 3,308
596053 지진경험 네 번 중 올해만 세 번 ㅠㅠ 1 무섭 2016/09/13 1,086
596052 좋았던 기억들 마저도 나쁘게 생각되는 이유는 뭘까요? 5 :D 2016/09/13 967
596051 경기도권에 흔들리는곳 계세여?? 8 .. 2016/09/13 2,677
596050 구르미)홍내관 찾아다닐때 손에 묻은 먹을 보고 3 동그라미 2016/09/13 2,789
596049 어쩜 이 정부는 이렇게나 무능할까요?? 28 닥대가리 2016/09/13 4,492
596048 대구 수성구 웅웅 소리 지금 뭔가요 비행기소리인가요 12 ... 2016/09/13 4,931
596047 대구분들 들어가셨어요? 2 ㅇㅇ 2016/09/13 1,347
596046 서울인데 지금도 여진 느껴지지 않나요? 8 2016/09/13 2,084
596045 고등 학생 단백뇨 8 고등학생 단.. 2016/09/13 3,091
596044 이틀뒤 부산 시댁가야해요 무섭네요 ㅠㅠ 4 무섭네요 2016/09/13 1,906
596043 이완용의 후손 15 새삼 2016/09/13 3,537
596042 차 안에서 자면 비교적 안전한거 맞나요? 2 무셔요 2016/09/13 2,602
596041 경주입니다. 지진때문에 처음으로 죽음의 공포를 느꼈어요. 35 ㅠㅠ 2016/09/13 22,582
596040 이 상황에서 남부해안도로 따라여행하는건 좀 아니죠? 2 꼬맹이 2016/09/13 567
596039 고야드 생루이백 gm vs pm 2 고민 2016/09/13 5,447
596038 방금 두차례 여진 좀 심하네요 2 갈등 2016/09/13 2,330
596037 지진 전에 두통왔던 분은 안계세요? 4 ㄷㄷ 2016/09/13 1,918
596036 그럼 아파트는 몇층이 좋을까요?(지진등 자연재해, 평소 도둑등).. 16 .. 2016/09/13 5,866
596035 위 아래 지진이라 다행인거 맞죠 10 .. 2016/09/13 2,903
596034 부산역은 지금. 1 쿠키 2016/09/13 2,129
596033 아 어쩌죠. 속이 다시 울렁거리고 토할거같아요 7 5678 2016/09/13 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