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모집 없애고 수능으로 전부 평가했으면 하네요.

인생 조회수 : 3,874
작성일 : 2016-09-07 14:18:05
저는 10여년전에 대학 갔는데

시골 인문계 고등학교 시골이라 우수하지 않은 학교
저희 반 1등은 가정형편도 생각 수능보고 정시로 지방국립대 갔어요.

근데 저희 반 2등,3등,5등 이정도 애들 전부 수시로 서울권대학가고
4등이던 애는 재수해서 서울로 가고

수능성적은 1등이 당연 월등히 높았네요. 2등하고 총점 20여점? 차이.
하지만 학벌로 보면 성적 낮았던 애들이 더 공부 잘했던 것처럼
인정 받아요.
저하고는 상관없지만 아직도 애들 만나면 가끔 그 얘기 하네요.ㅎ
IP : 14.41.xxx.51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발
    '16.9.7 2:20 PM (223.62.xxx.25) - 삭제된댓글

    강남엄마의 소망입니다.
    더민주에서 이것만 공약하면 몰표줄톈데. 쩝

  • 2. ㅇㅇ
    '16.9.7 2:21 PM (49.142.xxx.181) - 삭제된댓글

    다 문제가 있어요. 수능때는 또 수능으로 줄세워보내는것에 대해 얼마나 비판이 많았나요.
    지나놓고 보니 다 잊은거죠.
    성적만 잘받으면 되니 사교육이 더 팽배하고 사교육 비용은 더 비싸고..
    그때 그런 폐단을 줄이자고 이런 입시제도가 된건데 이 입시제도도 해놓고 보니 문제가 많은거예요.
    완벽한 제도는 없어요. 아마 수능으로 줄세워 보내는걸로 다시 바꾸면 또 거기에 따른 문제가 생겨
    다시 뭔가 개혁을 해야 할걸요.

  • 3. ....
    '16.9.7 2:22 PM (183.103.xxx.243)

    수시가 더 사교육이 많아요.

  • 4. ㅇㅇ
    '16.9.7 2:22 PM (49.142.xxx.181)

    다 문제가 있어요. 예전에 수능으로 줄세워보내는것에 대해 얼마나 비판이 많았나요.
    지나놓고 보니 다 잊은거죠.
    성적만 잘받으면 되니 사교육이 더 팽배하고 사교육 비용은 더 비싸고..
    그때 그런 폐단을 줄이자고 이런 입시제도가 된건데 이 입시제도도 해놓고 보니 문제가 많은거예요.
    완벽한 제도는 없어요. 아마 수능으로 줄세워 보내는걸로 다시 바꾸면 또 거기에 따른 문제가 생겨
    다시 뭔가 개혁을 해야 할걸요.

  • 5. 우리나라는
    '16.9.7 2:22 PM (14.41.xxx.51)

    아무리 좋은 제도를 마련해도 편법이 생기고 문제가 생길거 같네요.

  • 6. 존심
    '16.9.7 2:23 PM (14.37.xxx.183)

    전형료장사때문에
    그렇게 되기는 힘들 듯...
    6개까지...
    작년에 제가 울딸에게 그랬습니다.
    뭐 6개까지 쓰냐
    여러군데 되도 고민이다그랬습니다...

  • 7. ..
    '16.9.7 2:25 PM (121.141.xxx.230)

    수시도 수시지만 특목고와 자사고를 없애는게 낫지않을까요? 최소한 초등때만이라도 애들 편하게~~~

  • 8. ,
    '16.9.7 2:27 P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12년 공부한걸 하루에 평가한다는게
    너무 가혹하다..
    해서 생긴게 수시입니다.
    그날 컨디션 안좋아 실수하면
    모든게 날아갑니다.

    모든제도엔 다 문제가 있겠죠.
    그걸 잘 보완해야지 ,
    문제있음, 다 없애버려! 하는건
    해경해체 ㅇㅇ해체 등등 하는 누구랑 똑같아요.

  • 9. 동의
    '16.9.7 2:28 PM (1.234.xxx.187)

    수능이 획일화에 일조하긴 하지만 제일 공평해요

    수능몰빵. 사법시험 외무고시 이런 거 싹 다 부활해야 되는듯 해요 ;;; 수시는 말 그대로 부정입시를 위한 장~ 이미 사람 다 정해놓고 공채 열어서 과정 투명한 척 하는 기업들처럼요. 수시는 대상이 우리아이들이라는 게 차이점...

  • 10. 공감합니다.
    '16.9.7 2:29 PM (116.39.xxx.32)

    수능이 제일 공정해요.

  • 11.
    '16.9.7 2:41 PM (116.125.xxx.180)

    이 지경으로 부패하고 타락했는데
    어디까지 참아야해요?

    문제가 있으니 보완하라고?
    이게 보완이 될일이예요?
    교장까지 나서는데...

  • 12. 고3맘
    '16.9.7 2:44 PM (211.213.xxx.41)

    그러게요
    학생부 안되는 어중간한 2등급 후반
    6논술 밖엔 없네요
    논술 레슨비 헐 휩니다

  • 13. 존심
    '16.9.7 2:55 PM (14.37.xxx.183)

    사실 입시도 문제이지만
    대학진학률이 85%인 나라가 전세계에 어디에 있나요?
    전국민이 대학을 나오면
    전세계 1등 국가가 될까요?

  • 14. 제가...
    '16.9.7 2:59 PM (59.7.xxx.209)

    수시 이전에 수능(학력고사)만 있던 세대를 살았는데요,
    수능 단 한번으로 모든 게 결정되니까 그날 시험 제대로 못 보면 자살하는 학생들이 많았어요.
    수능날 저녁, 다음날 자살 뉴스 꽤나 나왔고, 그때 수능날 아침에 수능과 관련없는 사람들도 조마조마했어요.
    오늘 또 자살하는 수험생들 나올까봐..
    우리나라처럼 대학에 목을 매는 사회에선 수능 한번으로 모든 게 결정되면
    학생들이 받는 부담이 어마무지한 거에요. 부모부터 대학이 아이의 존재 가치인양 굴잖아요.

    그래서 그 대안으로 나온 게 수시에요.
    수시에 문제가 있으면 고치던가,
    아니면 국가적으로 돈 좀 더 들여서라도 수능을 두번 세번 볼 수 있게 하면 좋겠죠. (수시 없이)
    예를 들어서 첫번째 수능에서 자기 성적이 별로라면, 3일 뒤 두번째 수능(전혀 다른 문제, 더 높은 난이도)을
    볼 수 있지만 두번째 수능의 성적은 90%만 적용한다거나 (100점 맞으면 90점이라고 하는 거죠) 세번째 수능은 80%만 적용한다거나 이렇게요.


    암튼, 단 하루 수능에 몰빵하기 때문에 많은 아이들이 자살했답니다. 그걸 잊지 말아주세요.

  • 15. 그래도 대학은 나와야지
    '16.9.7 3:01 PM (14.36.xxx.8)

    하는 생각이 지배적인 이상 아무리 좋은 제도를 갖다놔도 불법 저지르는것들은 당연이 있을거임.

    근본적인 생각들이 비정상이기 때문에 보완?따위는 먹힐리없음

  • 16. 정시로만 뽑는
    '16.9.7 3:03 PM (223.62.xxx.209)

    의대입시 결과보고 그런 말씀 하세요.
    참 답답 하십니다.
    입시에 대해서 알지도 못하면서 애한테 공부하라고 하는 엄마들 보면 답답...

  • 17.
    '16.9.7 3:05 PM (116.125.xxx.180)

    수능 몰빵이라 자살한다구요?

    요샌 수시 수능 등급 못 맞춰서 자살해요

    요샌 자살없는거처럼 말하시네요

  • 18.
    '16.9.7 3:08 PM (116.125.xxx.180)

    왜 수능을 2번봐요?
    사법시험 회계사 시험 행정고시 전문의시험 간호사고시
    임용고사 다 한번씩봐요 -.-

    진짜 이상한 논리

  • 19.
    '16.9.7 3:08 PM (116.125.xxx.180)

    특목자사고폐지후
    전국 고교 평준화시키고
    수능 100프로 지지해요 -.-

  • 20.
    '16.9.7 3:12 PM (119.14.xxx.20)

    지금은 수능 결과 비관해 극단적 선택하는 경우 없나요?
    마찬가지예요.

    수시 원서비 내는 돈보다 수능 여러번 보는 돈이 훨씬 덜 들듯 해요.

    수시를 아예 없애자는 게 아니라 너무 비중이 커진 게 문제라는 거죠.

  • 21.
    '16.9.7 3:14 PM (116.125.xxx.180)

    요샌 중등부터 자살해요

    특목 못간다고 -.-

  • 22. 에휴-
    '16.9.7 3:22 PM (106.248.xxx.82)

    저도 진심으로 바랍니다.

  • 23. 요즘에는
    '16.9.7 3:56 PM (121.88.xxx.211)

    요즘에는 기말고사 때도 자살합니다ㅠㅠ 저희 애 학교 선배도..
    수능 사교육 더 비싸다는 말씀은 참.. 요즘은 수능 플러스 내신 플러스 수시 위한 독서, 논술.. 사교육이 더 엄청나네요

  • 24. ...
    '16.9.7 4:02 PM (180.93.xxx.251)

    수능이야말로 학군좋은 특목자사고아이들이 더욱 잘볼수밖에없는 구조에요
    학생부전형이나 수시전형으로 수능으로는 절대안될 학교 가는애도 많아요 수능으로 줄세우면 공평할것같죠
    강남쪽아이들 특목자사고 아이들 한반재수생 숫자를 보세요 아마 수능으로 줄세우면 누가 더 좋아할까요?
    제가 생각할땐 교육도 기울어진 운동장이에요
    수능최저도 못맞추고 떨어 지기도하죠 옛날 학력 고사 성적순 뽑을땐 지금과는 많이 달라요

  • 25. ㅇㅇ
    '16.9.7 4:29 PM (152.99.xxx.38)

    윗님 그것도 편견이에요. 수능만큼 지방에서 공부 잘하는 애들한테 유리한것도 없어요. ebs 반영하고 그러면 오히려 공평하게 공부할 수 있어요. 수시로 지방애들이 유리하다고 하지만 그거는 몇명 전교 일등 그런애들 이야기에요. 속으시면 안되요.

  • 26. ㅇㅇ
    '16.9.7 4:30 PM (152.99.xxx.38)

    요즘같은 체제에서는 개천용 안나옵니다. 지방 몇몇 애들 본보기로 들러리 세워서 봐라 이렇게 수시가 공평하잖니 선전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너무 답답합니다.

  • 27. ㅇㅇ
    '16.9.7 4:32 PM (152.99.xxx.38) - 삭제된댓글

    미국도 sat 두번 볼수 있는걸로 알아요.

  • 28. 그니까
    '16.9.7 4:36 PM (211.243.xxx.109)

    성공할 수 있는 길을 여러방면으로 열어두고,
    직업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게 어려서부터 교육하고,
    세상의 부가 좀 더 공평해지도록 궁리해야죠.
    대학 못 가도 여러가지 시험(사법시험, 행시, 외시, 자격증 등등)으로 사회로 나아갈 수 있게요.

  • 29. 본고사로
    '16.9.7 5:53 PM (211.61.xxx.114)

    국영수 본고사로 갔으면 좋겠네요
    수능보면 뭐 객관식에다 온갖 잡다한 과목도 다들어가고 그래서 별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5057 4등급이면? 수원대랑 안양대중 18 대학 2016/09/10 6,337
595056 남편 가슴 유선이 부었데요 이거 왜그럴까요? ㅠ.ㅜ 2 ... 2016/09/10 1,134
595055 세월호 승객 304명을 구조하지 않기로 결정한 세력 4 의문 2016/09/10 2,247
595054 10여년 전 가습기 살균제 사용했었는데요 4 땡글이 2016/09/10 1,284
595053 이큅먼트 셔츠는 돈값하나요? 4 ㅇㅇ 2016/09/10 1,500
595052 부동산에서 집 보러 온다고 갑자기 연락 오네요 4 음.. 2016/09/10 1,926
595051 택시타고 가시란 말이... 40 ... 2016/09/10 11,092
595050 생유산균 가루 아이가 먹어도 되나요? 3 .. 2016/09/10 743
595049 식혜 밥알 몇개뜨면 적당한가요? 3 .. 2016/09/10 1,495
595048 꼬지전? 산적? 베스트 조합은 뭘까요? 15 꼬지산적 2016/09/10 2,136
595047 60대에 일년에 한달씩 외국에 산다면 어느 도시에서 살고 싶으세.. 46 궁금 2016/09/10 5,497
595046 급질 해열제에 대해 알려주실 의사 약사님 계시면 댓글좀주세요.. 4 원글 2016/09/10 890
595045 소고기 볶음용은 불고기감으로 하는건가요?? 6 ㅇㅇ 2016/09/10 1,045
595044 데쎄랄로 사진 좀 찍으시는분 질문이요~ 2 2016/09/10 377
595043 와이프가 쓰러져도 꿈적 안하던 인간이.. 7 저인간 2016/09/10 4,866
595042 유명한 클래식곡인데 좀 알려주세요 3 .. 2016/09/10 800
595041 위례 사시는 분 궁금해요~ 6 ㅇㅇ 2016/09/10 2,330
595040 초5 대형어학원? 동네학원? 17 가을 2016/09/10 3,308
595039 실리트 실리간? 냄비 쓰는분 좋던가요? 11 혹시 2016/09/10 2,876
595038 태권도 주 5일??? 12 나무 2016/09/10 2,162
595037 사립대 기부금 입학이 합법화 된다면... 19 만약 2016/09/10 1,628
595036 미성년자는 통장만들때 아빠와 이혼한 엄마동의서도 받아야 가능하군.. 4 아빠본색 2016/09/10 1,176
595035 등심으로 미역국 9 ... 2016/09/10 1,224
595034 쿠팡에 3개를 주문했는데, 도착은 2개밖에 안했어요 7 택배 2016/09/10 933
595033 혹시 평촌알뜰시장 사시는분 계실까요? 1 모스키노 2016/09/10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