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좋은 원단, 고급 원단이라는게 뭐에요?

.... 조회수 : 4,502
작성일 : 2016-09-05 16:32:03
나일론, 폴리에스텔 같은 화학 섬유는 싸고 나쁜거고
면, 린넨 같은건 자연소재라 몸에 좋은거고
고어텍스 같은 기능성 섬유는 비싸고 좋은거고.. 
이 정도로만 알고 있는 상태에요.
제대로 알고 있는건지도 모르겠고요.

비싼 옷이라고 해서 섬유혼용률 보면 싼 옷과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더 헷갈려요.
나일론 스판텍스 면. 이런거 많자나요.
그런데 같은 성분의 원단이라도 좋고 나쁜게 있는건가요?
가령, 같은 나일론이라도 비싼게 있는건지요.

아니면 고급 옷엔 아예 따로 쓰거나,혹은 쓰지 않거나 하는게 있는지요.


IP : 101.229.xxx.17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9.5 4:36 PM (61.75.xxx.94) - 삭제된댓글

    화학섬유는 잘 모르겠고
    면, 마, 견, 모 같은 천연섬유도 원료와 가공방법, 염색에 따라 아주 많은 등급이 있습니다.

  • 2. 쇼핑매니아
    '16.9.5 4:37 PM (1.255.xxx.102)

    제 기준에는 저한테 과실이 없으면 처음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거가 좋은 원단같아요.
    인터넷쇼핑 잘 안하고 거의 직접 만져보고 사는데
    아무리 캐시미어 100이라고 비싸게샀어도 한두번 입어 필링나고 하면 좋은 거라는 생각안들고
    속아서 샀단 생각들거든요.

  • 3. ///
    '16.9.5 4:37 PM (61.75.xxx.94) - 삭제된댓글

    화학섬유는 잘 모르겠고
    면, 마, 견, 모 같은 천연섬유도 원료와 가공방법, 염색에 따라 여러 등급이 있습니다.

  • 4. 쇼핑매니아
    '16.9.5 4:37 PM (1.255.xxx.102)

    더불어 요즘은 면100이라고 다 좋지도 않고 나일론 섞였다고 나쁘지도 않은 것 같아요.
    속여서 파는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 5. ...
    '16.9.5 4:38 PM (120.136.xxx.192)

    같은면이라고 다같지않아요.

    예를들어 수건 면 백프로죠.
    근데 어떤건 더 많이 꼰실, 더다듬어진실,
    더가는실 더굵은실
    면도 농사짓는건데 품질좋은것 나쁜것도 있겠고요.
    직조할때도 실을 더많이 넣고, 덜쓰고해서
    같은 사이즈라도 무게도다르고 품질도 달라요.

    이런차이가 모든 옷감에 적용되죠.
    그래서 면백프로라도 옷감이 천차만별입니다

  • 6. 같은
    '16.9.5 4:42 PM (119.194.xxx.100)

    같은 울이라고해도 비싼 옷들은 형태, 색감이 더 유지가
    되더라구요.

  • 7. ...
    '16.9.5 4:44 PM (101.229.xxx.179)

    가령 면 백프로 옷이 있다치면요.
    하나는 천 원, 하나는 백 만 원이면요.
    그 면의 질 차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입어봐야 아는걸까요?

  • 8. ㅎㅎㅎ
    '16.9.5 4:46 PM (221.148.xxx.8)

    면 백프로 티셔츠 비싼건 이거 면 맞아? 할 정도로 차르르하게 실크 같은 원단도 있어요
    디자이너의 특이한 고집으로 일부러 거친면을 쓴게 아니라면.

  • 9. ...
    '16.9.5 4:48 PM (101.229.xxx.179)

    그 좋은 원단이라는걸 알아보는 방법이 궁금해요.
    디자이너나 전문가들은 딱 보면 좋은 원단인지 아닌지 알 수 있나요?

  • 10. 꼭 그렇지 않아요
    '16.9.5 4:55 PM (218.52.xxx.86)

    섬유가공법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만별 달라집니다.
    눈으로 봐도 고급은 고급 티가 나요.
    싸구려는 싸구려 티 나구요.

  • 11. 아닌데
    '16.9.5 5:01 PM (61.82.xxx.136)

    면 100% 울 100%라고 좋은 건 아니에요.

    합성이라 해도 어떤 원단을 어떻게 섞었냐도 중요해요.
    이건 뭐라 말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많이 접해보고 만져봐야 알아요.

  • 12.
    '16.9.5 5:11 PM (117.111.xxx.9)

    때깔이라고하던가요
    보기만해도 땟깔이 틀려요
    염색도 많이 큰차이가 나구요
    그리고 좋은건 면티라도 실크섞어서 짠것도 많아요

  • 13.
    '16.9.5 5:14 PM (117.111.xxx.9)

    그리고 백프로 캐시미어라도 다 다르더라구요
    싼캐시미어는 확실히 달라요

  • 14. bubble
    '16.9.5 5:14 PM (223.62.xxx.68) - 삭제된댓글

    백화점 브랜드옷은 십년 전에 산것도 원단 상태나 옷형태가 거의 잘 유지돼요. 인터넷이나 동대문에서 산 보세옷은 한철 입으면 옷이 주굴주글해진다 해야되나 옷이 천쪼가리가 되구요. 원단이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해요. 관련업계 일하시는 분이 알려주심 좋겠네요.

  • 15. 섬유전문가
    '16.9.5 5:15 PM (222.109.xxx.139)

    면은 실의 굴기가 가늘수록 고급이에요. 20수,30수,40수,50수 이런식으로 얇아질수록 촤르르하고 광택나고 비싸요.
    그리고 합성섬유라고해서 꼭 저가는 아니에요. 레이온같은 소재,그리고 나일론이나 폴리도 가공방법과 염색에 따라, 기능성이면 기술력에따라 굉장히 비싸지기도하고 고급소재에도 많이사용되고
    꼭 면같은 천연섬유라좋고 합성섬유라 나쁘고가 아니라
    그 소재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것들이 있고 그 품질의 가격에 따라서 같은 나일론이라도 품질은 천차만별인거죠.

  • 16.
    '16.9.5 5:50 PM (222.236.xxx.85)

    소재에대해 전혀무지한 일반인인데
    그냥ᆢ눈으로만봐도ᆢ달라요 고급스럽고 비싸보여요
    백화점이랑 보세옷이랑 차이 많이나요
    특히 봄 가을 겨울옷들이 차이가 정말많이나요
    니트나 모직종류요
    백화점브랜드도 브랜드별로 차이나구요
    고가브랜드일수록 더 좋더군요 예를들어 마인 타임 미샤 구호같은 브랜드요
    근데 마쥬 산드로 같은해외브랜드들은 소재가 그저그래요

  • 17. ....
    '16.9.5 6:20 PM (101.229.xxx.179)

    와우...
    면은 실이 가늘수록 고급이다......----> 이거 진짜 알고 싶었던 거에요.
    정말 감사합니다.

  • 18. EE
    '16.9.5 7:35 PM (175.198.xxx.242) - 삭제된댓글

    저는 일본 밀파원단 좋아해요.
    폴리인데 좀 더 밀도가 높고 몸에 착 감겨요.
    검정색이 아주 새까맣구요.
    이 원단으로 만든 정장 좋아하는데..
    이제 방사능 때문에..ㅠㅠ

  • 19. ㅇㅇ
    '16.9.5 9:17 PM (211.201.xxx.214) - 삭제된댓글

    원단 차이가 크더라구요.
    홈쇼핑에서 산 바지들... 좀 지나면 보풀이 나와요.ㅠ.ㅠ
    백 든 왼쪽은 심하고...
    비싸게 산 바지는 그런 게 없어요.
    그래서 처음 살 때 괜찮아도 저렴한 홈쇼핑 바지는 안삽니다.
    한철만 입으면 버려야하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4040 대치동 영어학원 7 영어학원 2016/09/07 2,528
594039 남녀 열한살 차이나면 12 oo 2016/09/07 2,793
594038 일반고 수시 1 대입 2016/09/07 1,639
594037 유방암 검사 점 몇개씩 보이는거.. 2 ㅇㅇ 2016/09/07 1,465
594036 6살 남자아이 생일선물 1 초대 2016/09/07 834
594035 이런경우 부모에게 말해야 할까요? 6 ㅇㅇ 2016/09/07 1,161
594034 저희집 문제해결 도아주세요.2 7 문제해결 2016/09/07 2,099
594033 답답한... 3 작은며늘 2016/09/07 499
594032 구르미 그린 달빛 VS 보보경심 려 41 투표합시다 2016/09/07 4,486
594031 성능좋은 공기 청정기 추천좀 해주세요~ 1 맑은공기 2016/09/07 759
594030 연애중인데 성격이 하나둘 안맞는게 보이면... 4 으앙으엥으엉.. 2016/09/07 1,525
594029 "올해 담뱃세 6조이상 더 걷혀. 살인적 서민증세&qu.. 3 샬랄라 2016/09/07 557
594028 취미로 영어만화책 보는분 얘기 나눠요 8 취미 2016/09/07 1,093
594027 논술전형 경험담 6 희망 2016/09/07 3,136
594026 방광염...증상 5 뒤돌아서면... 2016/09/07 1,545
594025 차태현은 금손이네요 금손 39 2016/09/07 27,181
594024 심심하신분들 제가 본 영화 몇개 추천드려요. 26 영화에 빠지.. 2016/09/07 3,173
594023 바이네르 컴포트화 괜찮나요? 5 구두 2016/09/07 1,243
594022 면세점 마지막(?) 쇼핑~뭐 사오라고 할까요? 5 안녕기러기야.. 2016/09/07 2,224
594021 돌쟁이 아가 선물 뭐가 좋을까요 9 ... 2016/09/07 663
594020 청담어학원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동네학원보다 나을까요? 10 중학생 2016/09/07 3,738
594019 구두, 부츠, 운동화는 종량제 봉투에 버리는거 맞지요? 6 쓰레기 2016/09/07 4,657
594018 1인 가구 드디어 1위 진입 2 돈스 2016/09/07 1,316
594017 고등 수학 과학 여쭤볼께요 5 dldkd 2016/09/07 1,317
594016 40대 쌍수 재수술 ..ㄱㅎㅇ 보니까 갈등 생기네요 13 als 2016/09/07 1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