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제가 쑨 묵은 찰찰찰 탱글하지가 않을까요? ㅠ

나무꾼 조회수 : 2,033
작성일 : 2016-08-19 17:39:08

먼저 도토리 가루가 문제는 아니구요.. 여러곳에서 국산 100프로 가루로 해봐도 맨날 똑같아요..ㅠ

 

사먹는 묵도 그렇고 엄마가 쑤어준 묵도 그렇고,

묵이 식으면 찰찰찰,,,탱글탱글 하잖아요....

 

근데 저는 아무리 설명서대로 요렇게조렇게 해봐도 매번

묵이 흐물거려요..ㅠ   식감이 영 이상...

 

이번에는 홈쇼핑에서 파는 묵가루로 해봤는데요 설명서 고대로 했음에도 똑같아요..ㅠ

 

엄마는 약불로 오래 저으라고 해서 그렇게 했고,

또 마지막에는 뜸을 들여야 한다고 해서 안젓고 몇 분 놔뒀더니 묵 누룽지가 생기네요..

 

제가 한 방법은 가루1, 물6,  소금 조금, 식용유 1숟가락 넣고 휘휘 젓어서

불에 올리고 계속 저음..

끓으면서 묵이 엉기면  불 줄이고 한 10분정도 계속 저음..

2~3분 그대로 뜸들이다가  

그릇에 옮겨 붓고 실온에서 식힘..  

 

그 결과 흐물거리는 묵 탄생....ㅠㅠ

 

대체 뭘 잘못한 걸까요?  ㅜ   찰찰찰 탱글한 도토리묵 먹고파요..

IP : 58.226.xxx.1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8.19 5:42 PM (211.36.xxx.127)

    물이 좀 많은데요

  • 2. ㅇㅇ
    '16.8.19 5:42 PM (211.36.xxx.127)

    전 식용유 안 넣어요
    한 방향으로 젓는 거는 확인하셨죠?

  • 3. monn
    '16.8.19 5:45 PM (1.236.xxx.151)

    설명서대로 하면 절대 탱글탱글 묵 안나옵니다.10분으로는 부족하구요.처음 센불로해서 폭닥폭닥?끓어오르기 시작하면 불 낮춰서 30분이상ㅊ계속 저어줘야해요.오래 끓밀수록 탱글탱글해져서 굳고나서 던지면 튕겨오릅니다

  • 4. silverdonkey
    '16.8.19 5:59 PM (118.200.xxx.174) - 삭제된댓글

    가루 : 물=1:5 가 잘돼요 6은 묽어요
    불도 중강 불에서 계속 끓을때 까지저어주다 퐉퐉 끓음 중약 불로 줄이고 10-15분정도 계속 저어줘야 쫄깃쫄깃 하더라구요.

  • 5. silverdonkey
    '16.8.19 6:05 PM (118.200.xxx.174) - 삭제된댓글

    양이 많으면 오래 저어줘야 해요
    저는 딱 한끼 먹을 만큼해서 15분정도

  • 6. 나무꾼
    '16.8.19 6:44 PM (58.226.xxx.12)

    윽.. 30분이나 더 저으면서 끓여야한다니... 이 더위에 괜히 묵은 만들어먹겠다고 사서는..사서 고생이네요..ㅎ 암튼 날 좀 선선해지면 오래오래 끓여서 다시 재도전 해보겠습니다...~

  • 7. ...
    '16.8.19 7:05 PM (211.104.xxx.172)

    물 5배로 넣고 냉장고에 전날 놔두어요. 쌀 불리듯이요.
    그다음 식용유 조금. 소금 조금 넣어 센불에서 끓이다가 엉기면
    약불에서 총 30분이상 저어줘요. (도토리가루1컵기준)
    중간에 반컵 정도 물 붓고 다시계속 저어줘요
    (국수 끓일때 속 잘익으라고 찬물 부어주는 것처럼요)
    그리고 뚜껑닫고 뜸 들이고 물로 헹군 그릇에 담아 굳히는데
    어느정도 뜨거운 기가 사라지면 랩으로 윗면을 덮어 공기와 닿지 않게하면 껍질이 생기지 않아요
    첨엔 가루 반컵이나 1/3 컵으로 해보세요. 30분까지 안끓여도양이 작으면 금방 수분이 날라가 잘 만들어져요.
    잘되면 점차 양을 늘리시고요.
    많은 양을 하면 한시간 넘게 끓이기도해요.

  • 8. 수분이
    '16.8.19 7:13 PM (49.169.xxx.196)

    많아서 그래요~

  • 9. ...
    '16.8.19 8:08 PM (122.32.xxx.40)

    5배/5.5배/6배 다 괜찮아요.
    단단하고 부드러움의 차이지 탱글거려요.
    기름 소금은 기호인데사실 필요없고요.
    10분쯤 저으면 굳어져요.
    근데 계속 저으면 다시 물러지고 30분쯤 되면 다시 굳는데 주걱을 세우면 어느정도 고정되면 불 끄고 틀에 옮기면 되요~

  • 10. 묵 쑤는 방법
    '16.8.19 8:11 PM (120.136.xxx.239)

    저장 합니다

  • 11. ..
    '16.8.19 9:32 PM (39.119.xxx.30)

    좀 되다 싶게 물붓고.. 끓이다가
    묵 쑤는 중간중간 되직해지면
    옆에 뜨거운 물을 준비했다가 그걸로 부어주세요.
    정말 오래 쑤어야 합니다.
    맑은 유리알 같은 느낌이 들때까지
    묵 누룽지 조금 생기는게.맞아요.

  • 12.
    '16.8.19 9:52 PM (49.169.xxx.8)

    시집가자마자 제일 처음 배운 것이 묵쑤는 것이었어요 ....17년째 묵을 쑤고 있어요
    며느리들이 해 온 묵을 매번 품평하는 시부모님들이시죠 ... 한식대첩 심사위원 저리가라 ~~~

    맛은 가루에 따라 조금씩 다르구요
    빛깔은 국산이 맑고 곱구요

    물의 양은 브랜드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 설명서 대로 하시면 좋구요

    저희 시어머니는 묵은 오래 쑤어야 한다고 주걱이
    잘 돌아가지 않을 때까지 하라고 가르치셔서
    양 많은 날은 1시간 넘게 저어 본 적도 있어요

    그런데 꼭 그래야 탄력이 있는 것은 아니더라구요

    요즘은 한식대첩 출연한 장인이 묵 쑤는 것 따라해요

    먼저 가루와 물의 비율 맞춰 냄비에 넣고 불려요
    30분이상 불린 주걱으로 한번 저어서 불 위에 올려요 그냥 올리면 가루가 가라앉아 뭉칩니다

    그리고 서서히 젓다가 폭폭 끓으면
    들기름과 소금을 넣고 힘차게 15-20분 젓고
    불 끄고 뜸 들여요

    그리고 그릇에 담아 상온에서 굳히기

    시부모님은 탱글탱글에 집착하셔서 너무 스트레스 받았는데
    저나 아이들은 직접 쑤어 먹는 묵 맛 그 자체를 좋아해서 즐겁게 하다보니

    요즘은 탱글탱글 잘 나오네요 .... 성공하세욧

  • 13. ....
    '16.8.20 3:22 PM (219.240.xxx.75)

    탱글탱글한 묵 참고합니다.

  • 14. ^^
    '23.3.25 10:36 AM (222.121.xxx.232)

    도토리묵 쑤는법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622 초고속블렌더로 포도통채로 갈아 보셨어요? 3 포도씨 2016/08/25 1,553
589621 옆집은 전기제품을 안쓰나 ㅠ 7 ... 2016/08/25 2,530
589620 카드뉴스-동아일보 오보 반탁운동 촉발..미국 배후설 1 오보의역사 2016/08/25 496
589619 여기서 소개됐던 밀대 좀 알려주세요^^; 5 청소 2016/08/25 1,554
589618 운동하고 무릎 위에 근육이 아픈데요 4 .. 2016/08/25 1,920
589617 18만원이면 많이 나온거 아니죠 9 전기세 2016/08/25 2,140
589616 현재의 실업율은 10년 후면 해결될 일이다? 10 실업의 종말.. 2016/08/25 1,677
589615 등굣길 있던일 (후기에요) 18 초1엄마 2016/08/25 3,555
589614 오래된 가방도 팔리나요 4 .. 2016/08/25 1,572
589613 걷기운동 한달째.... 38 걷자 걷자 2016/08/25 16,249
589612 면접 보러가는데 궁금해서요 3 궁금이 2016/08/25 1,076
589611 5세 아이에게 주로 한그릇음식을 해주는데 죄책감 안가져도 될까요.. 25 요리 2016/08/25 5,076
589610 매직파마 집에서 해보신 분들 있으세요? 8 궁금 2016/08/25 1,364
589609 공효진 역할 한참 모자란 캐릭터에요? 9 질투의 화신.. 2016/08/25 3,073
589608 시댁 전화 문제에요 ;; 18 ... 2016/08/25 3,744
589607 스텐을 식초넣고 끓인 물로 세척하는 이유 4 겨겨 2016/08/25 3,734
589606 속보)세월호 유가족 민주당사 점거농성 돌입 14 침어낙안 2016/08/25 1,617
589605 사귀던 남자랑 이메일이랑 카톡으로 매우 심하게 싸웠는데 직접 만.. 12 화해 2016/08/25 2,863
589604 sbs스페셜 다이어트의 종말 33 ... 2016/08/25 20,950
589603 전업 며느리가 시댁에 전화 안드리면 더 섭섭해 하실까요? 3 며느리 2016/08/25 2,056
589602 ‘사드’ 무용지물 증명한 북한 잠수함 탄도 미사일 발사 2 무용지물사드.. 2016/08/25 634
589601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문화관이 이화삼성문화관이랑 같은거지요? 3 나야나 2016/08/25 784
589600 갤럭시노트7 사신 분 있나요? 8 총총이 2016/08/25 1,605
589599 다음 아고라 토론방은 볼게 못되나요? 2 다음 2016/08/25 784
589598 아이 성장클리닉 데려가 보신분요. 1 뱅뱅뱅 2016/08/25 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