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게으른 사람이 성공한 케이스는 거의 없겠죠?

조회수 : 2,670
작성일 : 2016-07-22 08:19:14
성공의 가장 근본이 되는 요소는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여기서 성공이라 함은
본인이 원하는 꿈을 이룬 사람을 뜻합니다
피아니스트 조성진 처럼요..
IP : 110.70.xxx.14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7.22 8:28 AM (211.36.xxx.79)

    목표의식이요
    부지런하다고 성공한다기보다는
    (부지런한 사람은 성실한 사람으로 살아가겠죠)
    한 점에 모든 에너지가 응축되는 사람이
    성공하더라구요 근데 그런사람이 드물긴 해요

  • 2. 존심
    '16.7.22 8:40 AM (110.47.xxx.57)

    게을러야 성공합니다.
    어떻게 하면 적게 일하고 돈은 많이 벌 수 있을까?
    부자는 돈만 많으면 진정한 부자가 아닙니다.
    벌꿀처럼 일해서 부자가 되는 것은
    시간을 잃어 버리는 것이지요.
    정말 부자는
    돈도 많고 시간도 넉넉해야
    그래서 게을러야 돈을 많이 벌 수 있습니다.
    물론 게으르다는 것에
    두뇌의 능력은 포함되지 않겠지만...

  • 3. ..
    '16.7.22 9:48 AM (39.7.xxx.144)

    모든 사람들에게 게으른 분야가 다 있지 않겠나 싶은데
    재능 관련한 분야에서까지 게으르면 답이 없죠
    꿈도 있고 재능도 있는 분야인데 노력 안하는 케이스가 문제예요.
    원인이 완벽주의에 있든 패배의식에 있든
    남들 의식이나 비교 안하고
    고유의 정직한 기쁨을 찾는 게 첫번째 과제가 아닐까요.
    본인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즐겁게 살아야 꿈도 이루고 게으름이 타파될 거예요

  • 4. ..
    '16.7.22 10:12 AM (14.38.xxx.247)

    저 한게으름하는데..
    재미있는데 성취감까지 느끼는 일을 찾으니 부지런쟁이 되던데요

    목표의식이 분명하거나 책임감이 강하면 성공할 확률은 높고
    거기에 평소에 관심있던 분야거나 성취감까지느낀다면 언젠가는 성공하겠죠

  • 5. 아이러니
    '16.7.22 11:42 AM (115.91.xxx.150)

    히틀러는 성실함의 표본이었고
    처칠은 게으르고 우울증에 하루종일 잠옷바람 이었다던데요..

  • 6. 글쎄요
    '16.7.22 12:08 PM (59.6.xxx.151)

    모든 분야에 게으르긴 어려워요
    약속 날마다 늦는 동네 아줌마도 드리마 시간은 칼 맞추듯이
    사람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엔 부지런하죠
    개인적으로 조성진 조금 아는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천재 아닙니다
    재능 뛰어나고 노력하고 많은 걸 포기?했죠
    포기가 아니라 더 좋아하는 거 하느라 다른 일은 그냥 지나갔다가 더 맞겠지만요

    마음 가는데 돈 간다
    연애에서 그러듯이 마음 가는데 시간 쓰고
    그게 자기 재능과 맞으면 성공하는 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8200 짠돌이 남편땜에 힘드네요 6 둘이맘 2016/09/21 3,218
598199 아파트1층사는데 집밑 틈에 고양이가 새끼를 4마리낳았어요 11 보검이 2016/09/21 2,597
598198 추석이후로 82에 상주하는 정원이들이 빠졌나봐요 9 신기하다 2016/09/21 924
598197 자연의 재앙 앞에선 한없이 작은 존재인데... 6 카르페디엠 2016/09/21 872
598196 9월 20일자 jtbc 손석희앵커브리핑 & 비하인드뉴스.. 2 개돼지도 .. 2016/09/21 580
598195 지진과 책 2 고민중..... 2016/09/21 379
598194 사교육은 언제부터 시켜야되나요?(다섯살) 29 ㅇㅇ 2016/09/21 3,247
598193 금반지 사려는데 종로가 더 싼가요?? 2 오렌지 2016/09/21 2,404
598192 싱크대.. 한샘유로8000 vs 사제(독일경첩) 24 2016/09/21 7,495
598191 마리옹 꼬띠아르...누군가 했더니 37 ... 2016/09/21 14,739
598190 어릴 때 헤어진 부모를 다시 만난 케이스 7 결손가정 2016/09/21 2,512
598189 로얄층 개념이 바뀌겠어요 9 지진땜에 2016/09/21 4,733
598188 1층사는분들 지진 다들 느끼셨어요??? 11 2016/09/21 3,023
598187 병으로 지각하면 개근상 못 받나요? 14 개근상 2016/09/21 8,931
598186 2016년 9월 21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2 세우실 2016/09/21 403
598185 한일 반핵단체 "원전가동 중단하고 단층 전면 재조사해야.. 4 후쿠시마의 .. 2016/09/21 563
598184 아들 의대 보내신 분들,,,의대 공부, 의사 생활 - 적성에 안.. 16 공부 2016/09/21 8,030
598183 ‘원전 불안’ 커가는데…한수원 “탈핵론은 포퓰리즘” 1 기가찬다 2016/09/21 426
598182 공기업 30곳에 여성임원 '제로' 왜 그러지요.. 2016/09/21 441
598181 화장실 창문 7 아침 2016/09/21 1,603
598180 전기 장판 사용 하시는 분들 5 가을 2016/09/21 2,108
598179 이게맞는걸까요? 교육조언좀... 2 como 2016/09/21 742
598178 새벽 3시 36분에 2.9 지진 있었습니다 10 경주지진 2016/09/21 4,474
598177 질문 2 블로그 2016/09/21 320
598176 파리에서 쇼핑 조언 부탁드립니다 7 ,,, 2016/09/21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