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근혜 대통령, '긴급명령' 고려할 수도 있다

... 조회수 : 2,785
작성일 : 2016-06-28 22:47:06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21588&dable=30....
[이국영 교수 인터뷰①] 협치를 위한 개헌이 필요해... 단, 새로운 프레임


지금 여야 양측이 주장하는 개헌론에 던지는 따끔한 일침.
제게는 참 유익했습니다.
여기엔 일부만 발췌해 올립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링크된 기사의 전문을 한번 읽어보세요.



- 정치권에서 개헌 논의가 활발하다.  
"정치권의 개헌 논의는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87년 체제 이후 늘 개헌은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를 기본으로 하는 정부형태 유형론에 머물렀다. 
'협의정치(이하 협치)'를 위해서는 새로운 유형론을 중심으로 프레임이 바뀌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개헌을 하여 중임 대통령제, 분권형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중 어떤 정부형태로 변해도 
선거제도가 완전한 비례대표제로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으면 국회는 여전히 식물·동물·미생물 국회로 악순환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헌법에는 선거제도를 완전한 비례대표제로 확정하는 규정을 도입해야 한다. 
EU 국가 중에서 선거제도를 헌법에 규정하고 있는 국가는 오스트리아·덴마크 등 13개국에 달한다."

- 민주화가 공고화한 현시점에서 과연 긴급명령이 발동될 수 있나? 
"긴급명령권이라고 해서 유신시대의 긴급조치를 연상할 필요는 없다. 
남아메리가 일부 국가에서는 여소야대이고, 
특히 의회가 대통령에게 적대적인 경우 긴급명령이 발동되는 경우가 아주 드물지는 않다. 
한국에서도 이미 작년 연말 여권의 강경파는 경제위기의 심각성을 이유로 긴급재정명령을 거론한 바가 있지만, 
청와대는 당시 상황을 재정명령의 발동요건인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라고 판단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 경제상황이 회복될 가능성도 낮고, 
오히려 구조조정문제로 더 악화될 조짐이 있어 다시 긴급명령권 발동이 거론될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예측하기 어려운 한반도 정세는 이른바 '대박통일'의 낌새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빌미로 긴급명령의 통치가 고려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런 예측은 기우에 불과하지만, 
만약 긴급명령 전략이 선택되면 한국의 대통령은 푸틴과 같은 슈퍼대통령이 될 것이다."



IP : 220.120.xxx.16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28 10:47 PM (220.120.xxx.167)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21588&dable=30....

  • 2. . . .
    '16.6.28 10:52 PM (125.185.xxx.178) - 삭제된댓글

    기어이 아버지처럼 되는구나.

  • 3. 미친ㄴ
    '16.6.28 10:53 PM (180.69.xxx.218)

    닭이 훼를 치고 나라를 뒤집으려 하는군요

  • 4. 넌 닭일 뿐이야
    '16.6.28 10:56 PM (122.46.xxx.101)

    설치다가 목아지 댕강에 치킨으로 전락

  • 5. 탄핵
    '16.6.28 10:57 PM (125.185.xxx.178)

    안해주니 설쳐대네요.
    나라 다 망ㅊㅣ는 ㄴ이

  • 6. ...
    '16.6.29 3:03 AM (220.120.xxx.167) - 삭제된댓글

    긴급재정명령은 상당히 가능성 높은 얘기입니다.
    여권에서도 경제전문가라는 놈이 양적완화를 주장하고 있으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1379 초보시어머니입니다.(3개월차) 14 초보시어머니.. 2016/06/29 3,479
571378 첨본 길냥이 조식 주기 5 .. 2016/06/29 893
571377 방문학습지랑 교과서 수준이 많이 차이 나나요?? 이상하네 2016/06/29 512
571376 오해영 2 ㅋㅋㅋ 2016/06/29 1,095
571375 뉴욕과 런던 중...초등생이 간다면 14 nowher.. 2016/06/29 2,235
571374 오늘 삼풍백화점 무너진 날이네요 26 아아 2016/06/29 3,036
571373 아...김래원. ㅠ 76 oo 2016/06/29 32,669
571372 동화 피노키오와 자작나무 1 피노키오 2016/06/29 482
571371 비정상회담 타일러 돌려내 19 타일러야옴 2016/06/29 5,532
571370 물이랑 전기 민영화되면 2016/06/29 420
571369 아는 할머니가 제 꿈에 나타났는데요~ 1 또렷 2016/06/29 915
571368 조언부탁)수학보다 영어공부...시키는 것이 맞는 것인지.. 15 중 1딸아이.. 2016/06/29 3,008
571367 이민가방이랑 캐리어 중에 뭘로 들고 가는게 나을까요? 7 큐큐 2016/06/29 1,174
571366 신랑이 아버님은 싫어하면서 어머님만 챙겨요. 13 이리 2016/06/29 2,874
571365 오이지 담궜는데요. 질문있어요!! 3 2016/06/29 989
571364 강아지가 아파요.. 생존율10%라고 하는데요.. 5 .. 2016/06/29 1,516
571363 펄벅 소설 대지에 나오는 메뚜기떼 진짜인가요 7 덤안 2016/06/29 2,154
571362 세무사무소 어때요???????? 6 ㅇㅇ 2016/06/29 4,537
571361 승용차에 5명 태워도 되나요? 12 ㅇㅎ 2016/06/29 1,980
571360 혹시, 무료 주식사이트... 3 a율이맘a 2016/06/29 1,034
571359 요즘 마이너스 통장 이율이 어떤가요 5 .... 2016/06/29 1,460
571358 인간극장 안타깝네요 25 ... 2016/06/29 20,024
571357 개냥이 흔한가요? 16 2016/06/29 1,971
571356 대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사은품이 뭐가 있을까요? 9 봄천사 2016/06/29 958
571355 하지 쯤에 나오는 감자는 거의 맛있지 않나요? 4 ... 2016/06/29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