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예술이 현실비판하는 거 맞나요?

바람바람 조회수 : 769
작성일 : 2016-06-24 19:45:36

비밀독서단에 박범신 작가가 나온 걸 봤는데 작가는 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보고 그것을 표현해야 한다는

비슷한 얘기를 하던데 방송 나름 볼만했어요.

흔히 예술은 사회를 반영 내지는 사회비판을 해야 한다(?)는데 이게 모순인 것 같은게

연예계의 경우  드리 더티하다는데 뭔 사회비판을 하는 기능을 하는지..

영화가 사회비판적인 기능을 하나요?

감독의 횡포, 여배우들의 수모... 등등 잘 모르겟네요

 요즘 이슈가 되는 홍감독의 영화는 몇 편 안봤는데 남자들을 찌질하게 그리는 작품이 많던데

본인 얘기인건지..

IP : 121.161.xxx.4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실을
    '16.6.24 7:49 PM (183.100.xxx.240)

    반영하는것도 방법일수도 있고
    예술가가 다 현실 비판을 하는것도 아니고 그렇죠.
    같은 영화를 보고도 받아들이는 시각도 제각각 인데요.
    에술이 도덕책도 아니고
    가르치려 드는것도 거부감 들죠.

  • 2. ..
    '16.6.24 8:06 PM (118.216.xxx.15) - 삭제된댓글

    예술의 기능 중 사회의 부조리를 거울처럼 드러내는 기능,
    사회의 방향에 대해 비판하는 기능이 예술의 존재이유 중 가장 큰 기능일 것 같아요.
    영화는 현실과 타협하고 적응하기 바쁜 사람들과 사회의 모습이나 타락하기 쉬운 인간본성을
    보통 사람들과 다른 관점으로 보여줌으로써 반성과 사고의 전환이나 진보적 사고를 하게끔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드라마는 현실 적응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마음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면,
    영화는 현실 비판과 인간본성, 미래비전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영혼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고 생각해요.
    드라마를 통해서는 공감하고, 영화를 통해서는 영혼을 정화할 수 있다고 봐요.
    현실적응 및 타협형의 유형은 드라마를 선호하고,
    자기반성과 공동체 비전, 인간본성에 대한 고찰을 주기적으로 원하는 사람은 영화를 선호할 것 같아요.

    설명하기 어려운 정신의 문제를 직관이나 이야기 등의 예술방식으로써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예술에 대해 한마디로 정의해 봅니다.

  • 3. -----
    '16.6.24 8:15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홍상수 불륜 옹호하자는건 아니구요,
    결혼제도나 사회의 대부분 제도 자체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것이 많긴 하죠.

    사회비판이라는 것을 너무 나이브하게 보시는듯.

  • 4. -----
    '16.6.24 8:17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홍상수 불륜 옹호하자는건 아니구요,
    결혼제도나 사회의 대부분 제도 자체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것이 많긴 하죠.

    사회비판이라는 것을 너무 나이브하게 보시는듯.

    연예계는 예술이라기보다는 엔터테인먼트 - 오락이에요.
    오락은, 가령 포르노처럼, 말초적인 감각과 자극에 호소하는 장르이지 정신을 고양시키는 예술이랑 거리가 멀죠.
    물론 오락물에도 일부 영화, 일부 연기, 일부 음악 등이 예술과 오버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예술과는 거리가 멉니다.

  • 5. -----
    '16.6.24 8:18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홍상수 불륜 옹호하자는건 아니구요,
    결혼제도나 사회의 대부분 제도 자체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것이 많긴 하죠.

    사회비판이라는 것을 너무 나이브하게 보시는듯.

    연예계는 예술이라기보다는 엔터테인먼트 - 오락이에요.
    오락은, 가령 포르노처럼, 말초적인 감각과 자극에 호소하는 장르이지 정신을 고양시키는 예술이랑 거리가 멀죠.
    물론 오락물에도 일부 영화, 일부 연기, 일부 음악 등이 예술과 오버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예술과는 거리가 멉니다.


    현실비판이란건, 그냥 무슨 아이들 도덕책에 나오는대로 '착하게 살고, 보고, 사회에서 주입한 도덕관념대로 살도록' 비판하는게 아니에요. 인간의 시야나 판단기제는 교육과 사회에서 주입된 다양한 모순과 기제로 흐려져있기 때문에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게 해주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해주는거죠.

  • 6. ----
    '16.6.24 8:20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홍상수 불륜 옹호하자는건 아니구요,
    결혼제도나 사회의 대부분 제도 자체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것이 많긴 하죠.

    사회비판이라는 것을 너무 나이브하게 보시는듯.

    연예계는 예술이라기보다는 엔터테인먼트 - 오락이에요.
    오락은, 가령 포르노처럼, 말초적인 감각과 자극에 호소하는 장르이지 정신을 고양시키는 예술이랑 거리가 멀죠.
    물론 오락물에도 일부 영화, 일부 연기, 일부 음악 등이 예술과 오버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오락물/엔터테인먼트는 예술의 순기능인 '정신고양'과 가장 거리가 멀어지게 하고 생각을 멈추게 하고 순응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실비판이란건, 그냥 무슨 아이들 도덕책에 나오는대로 \'착하게 살고, 보고, 사회에서 주입한 도덕관념대로 살도록\' 비판하는게 아니에요. 인간의 시야나 판단기제는 교육과 사회에서 주입된 다양한 모순과 기제로 흐려져있기 때문에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게 해주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해주는거죠.

  • 7. 현실비판하는
    '16.6.24 8:36 PM (211.36.xxx.243)

    예술도 있는데 그저 미와 유희를 위한 것이 더 많은 듯.

  • 8. ----
    '16.6.24 8:39 PM (211.246.xxx.95) - 삭제된댓글

    그리고 예술에서 현실비판은 정신고양라는 기능의 일부 현상인것이지 모두 직접적인 현실비판을 해야하는것은
    아닙니다;;; 바그너를 듣고 현실비판?
    순수예술자체는 순수과학처람 학문의 일종같은 그 매체의 진화를 위한 언어실험이기도 하죠 시각언어 청각언어 무용으로 하는 몸과 동작의 언어 등.

  • 9. -----
    '16.6.24 8:45 PM (211.246.xxx.95) - 삭제된댓글

    물론 바그너를 듣고 현실측몀의
    특정한 부분을 더 잘 이해할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문화나 역사적 음악적 소양이 있어야 가능하죠 떠먹여주는것 아니에요. 거울을 준다고 해서 누구나 비친 모습을 보고 똑같은걸 이해하고 추론해낼수 있는건 아니거든요, 하지만 예술은 다양한 형태의 거울 역할은 하죠

  • 10. ..
    '16.6.24 8:47 PM (175.223.xxx.219)

    비판이 예술의 한 형태는 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3340 아이가 밤만 되면 소변을 자주 마려워하는데.. 2 DD 2016/09/07 691
593339 부산 먼지는 어떤가요?ㅠ 4 마누 2016/09/07 1,021
593338 돈을 잘못 냈어요ㅜ 6 시야3 2016/09/07 1,938
593337 A대학병원에서 B대학병원으로 진료볼 경우 눈치보이는데요 6 걱정 2016/09/07 1,370
593336 시부모님들 여기아프다 저기아프다 ..하면 뭐라고 하세요? 13 000 2016/09/07 4,082
593335 미세먼지ㅡ자세히 좀 알려주세요 9 먼지 2016/09/07 1,401
593334 ㅋㅋㅋㅋㅋㅋㅋㅋ 2 ㅎㅎㅎ 2016/09/07 801
593333 하...댓글 달기 싫어지는군요. 11 무슨영화를보.. 2016/09/07 1,425
593332 김종인과 추미애 2 ,,,,,,.. 2016/09/07 850
593331 초6 남자아이 2차성징 23 thvkf 2016/09/07 18,912
593330 정말 ㅈㄹ들 하네요 설대출신 스폰 부장검사 12 ... 2016/09/07 4,028
593329 9월 6일자 jtbc 손석희뉴스 브리핑 & 비하인드뉴스.. 2 개돼지도 .. 2016/09/07 396
593328 여자가 10살이 많은 경우 47 나이차이 2016/09/07 7,498
593327 구르미 호위무사 6 ㅇㅇㅇ 2016/09/07 2,246
593326 미국인아저씨들 서울갈만한곳 4 추천부탁드려.. 2016/09/07 668
593325 과부 여승의 병이란.. 7 헐~~ 2016/09/07 4,374
593324 김치좀 사먹으려고 여기저기 고객게시판을 보는데... .... 2016/09/07 665
593323 나한테 시비 거는사람 어떻게 응대 할까요? 5 2016/09/07 3,169
593322 제가 좀 예민한건지 좀 봐주시겠어요.좀 웃길수도 89 Jj 2016/09/07 16,575
593321 솔직히 미세먼지 때문에라도 애 낳고 싶겠나요...????? 19 출산육 2016/09/07 2,629
593320 이사갈 집 도배 문제.. 7 노리스 2016/09/07 1,773
593319 월세도 이게 맞는건가요? 4 ooo 2016/09/07 1,244
593318 2016년 9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6/09/07 382
593317 경기북부인데요 49 이런된장 2016/09/07 1,394
593316 이런 매물 어떨까요? 1 the 2016/09/07 1,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