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한국은 수돗물 안먹는다니

조회수 : 2,077
작성일 : 2016-06-14 15:54:34
한국 수돗물은 안전하지 않은 줄 아나봐요

유투브 보다보니 수돗물 그냥 먹는 나라가 엄청 많네요

아마 대부분?

그리고

한국와서 사는 외국인들은 자연스레 한국 수돗물 안전하지 않아

생수 마시는줄 알더라구요

거기다 어떤 외국인은 라면 끓이는거 알려주며 삼다수 넣고~

댓글에 외국인들 질문이 생수 써야할만큼

한국수돗물 안전하지 않냐고 물어요

-.-

미국은 집들이 1920년 대 지어진것도 널렸고

그러더만- 유투브 이웃이 이사갔는데 그동네 집들이 저렇고

댓글에도 자기네집 100년 됐다 그러고 -

그럼

한국만 배수관 못 믿을만한건 아니잖아요?

한국인 결벽증인가요?

우리집도 생수 마셔요

신축인데도 그냥 생수 마셔요 왜마시나는 모르겠고

수돗물은 그냥 못 먹겠어요 아~무 이유없이~~
-.-

끓이거나 정수기물이거나 생수여야 먹겠던데

일본은 수돗물 마시나요??
IP : 116.125.xxx.18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14 3:58 PM (175.223.xxx.60)

    차나 커피 마실 때만 생수 씁니다.

  • 2. 전 그냥
    '16.6.14 4:02 PM (203.142.xxx.3) - 삭제된댓글

    수돗물 잘 끓여서 염소 날려 마셔요.

    십여년 넘게 그러고 있는데 아무 문제 없었어요.

    오히려 정수기 필터 관리하는게 더 귀찮더라고요. 정수기 호스 가는 것도 손가고요.

  • 3. 전 그냥
    '16.6.14 4:03 PM (203.142.xxx.3)

    수돗물 잘 끓여서 염소 날려 마셔요.

    십여년 넘게 그러고 있는데 아무 문제 없었어요.

    오히려 정수기 필터 관리하는게 더 귀찮더라고요. 정수기 호스 가는 것도 손가고요.
    예전에 정수기 쓰다가 호스도 갈아봤는데.. 생각보다 물때가 장난 아니예요..
    필터만 간다고 다가 아니더라고요. 안의 부속도 어느정도 주기적으로 갈아줘야해요.

  • 4. ...
    '16.6.14 4:08 PM (218.54.xxx.51) - 삭제된댓글

    안전보다는 물맛과 편의성때문이죠.
    수돗물은 소독내가 나니 맛이 없고 끓여먹을려니 요즘의 주거형태에선 끓이고 식히는게
    큰일거리다 보니 간편하고 최소한 약내는 안나는 생수 먹는거죠.
    저도 쉬는날은 끓여먹지만 대부분은 그냥 간편한 생수 먹게되요.

  • 5. 산사랑
    '16.6.14 4:33 PM (175.205.xxx.228) - 삭제된댓글

    수도물은 염소를 좀 많이 넣어서 소독약 냄세가 안나고 생수도 예전에는 미량이지만 염소넣었었고 유통과정에서 없어져서 안나는것이고 염소살균하다가 오존처리하다가 요즘은 필터링으로 바뀌었지요.

  • 6. 산사랑
    '16.6.14 4:36 PM (175.205.xxx.228)

    생수도초창기 80년대에는 필터링하다가 대량생산으로 가면서 필터가 고가이다보니 uv살균하고 염소미량투입하고 오존투입하다가 요즘은 화학적처리를 못하게 되어있어서 다시 필터링으로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 7. ...
    '16.6.14 5:09 PM (220.120.xxx.167) - 삭제된댓글

    상수원인 강이 지금 어떤 꼬라지가 됐는지 뻔히 보면서 어떻게 수돗물을 마실까요?
    총인처리시설 문제점도 그렇고~ MB가 수돗물에 무슨 짓을 했는지 알면 못 마시죠. 모르는 게 약~.

  • 8. ...
    '16.6.14 5:12 PM (220.120.xxx.167)

    상수원인 강이 지금 어떤 꼬라지가 됐는지 뻔히 보면서 어떻게 수돗물을 마실까요?
    총인처리시설 문제점도 그렇고~ MB가 수돗물에 무슨 짓을 했는지 알면 못 마셔요. 모르는 게 약.ㅜㅜ

  • 9. 일본 북해도
    '16.6.14 8:21 PM (121.147.xxx.4)

    90년대후반부터 2000년대후반까지 10년여간 일본생활했고
    그중 가장 오래 삿포로에 거주했어요
    가서 가장 놀란것이 무조건 수돗물을 먹는다는거

    도쿄에서도 먹긴 했지만 워낙 일본인들은 마시는걸 잘 사먹는 문화고 종류도 많고해서 몰랐는데
    삿포로로 옮겨 살면서 현지 주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신뢰가 엄청나다는걸 알고 컬쳐쇼크

    실제로 알고보니 물 분야 연구가 세계적으로도 독보적이더군요
    상수 하수 정수 관련분야 유명교수님들이 북해도대학에 계시더라구요
    아무튼 그래서 정수기 있는 집을 못봤습니다
    판촉하는것도 못봤구요

    여담이지만
    heating road 라고 가정용에서 쓰고 흘린 하수들을 도로밑으로 지나가게하면서
    도로위 눈을 녹였거든요
    이건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인가요?

  • 10. 생수도 많이 팔지만
    '16.6.14 8:23 PM (121.147.xxx.4)

    이건 생각해보니 피크닉용이 아니었나 싶네요
    녹차나 호지차 우롱차 종류는 그냥 생활에 녹아있듯 많이 마시니까
    많이 파는것같고

    일상적으로는 그냥 수도꼭지 켜서 컵에 받아서 먹는것이 너무 자연스러운...그런 느낌이었네요

  • 11.
    '16.6.15 3:43 AM (219.241.xxx.147) - 삭제된댓글

    댓글 단 분들 다들 수돗물이 깨끗한 집들인가봐요.
    저희집은 95년 아파트인데 물틀면 물색깔이 오줌처럼 노랗습니다. 그냥 육안으로 한눈에 보기에도 노래요.
    양치컵 바닥은 벌게요. 녹물이 말라붙어서.
    노란 물로 매일 세수하고 머리감고 양치하고 다 하는데 노란 물을 육안으로 보면서 마시라는건 도저히 못하겠네요.
    100년 되어도 물 괜찮은 집들은 나라에서 수도관 배관 교체공사해주고 가정마다 배관 교체 수리 다 했겠죠.
    100년 돼도 깨끗한 집들은 그만큼 관리 수리가 많이 들어간 집들이죠. 그냥 두면 개판됩니다.

    그래서 시에 수도관 교체해달라고 민원도 넣고 여러 사람들이 민원 넣었지만 매번 예산없다고 딱 잘라 거절입니다.
    단독주택이면 내집 수도관 공사라도 해보겠지만 아파트다보니 그것도 힘들고요.

  • 12.
    '16.6.15 3:50 AM (219.241.xxx.147) - 삭제된댓글

    댓글 단 분들 다들 수돗물이 깨끗한 집들인가봐요.
    저희집은 95년 아파트인데 물틀면 물색깔이 오줌처럼 노랗습니다. 세면대나 컵에 물 받으면 그냥 육안으로 보기에도 오줌처럼 노래요.
    소변검사할때 컵에 소변받음 노란 그 색깔요.
    양치컵 바닥은 벌게요. 녹물이 말라붙어서.
    노란 물로 매일 세수하고 머리감고 양치하고 다 하는데 노란 물을 보면서 마시라는건 도저히 못하겠네요.

    100년 되어도 물 괜찮은 집들은 나라에서 수도관 배관 교체해주고 가정마다 배관 교체 수리 다 했겠죠.
    100년 돼도 깨끗한 집들은 그만큼 관리 수리가 많이 들어간 집들이죠. 그냥 두면 개판됩니다.

    그래서 시에 수도관 교체해달라고 민원도 넣고 여러 사람들이 몇번이나 민원 넣었지만 매번 예산없다고 딱 잘라 거절입니다.
    엉뚱한데 돈 다쓰고 이런데는 돈 없다고 해요.
    단독주택이면 내집 수도관 공사라도 해보겠지만 아파트다보니 그것도 힘들고요.

    정수만 죽어라 하면 뭐합니까. 집에서 물틀면 노란 물인데.
    하긴 낙동강 녹차라떼보니... 그걸 정수해서 식수로 쓰고 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635 '중산층 총체적 위기가 몰려온다.' - 서울대 국제대학원 김현철.. 12 물방울 2016/06/20 4,624
568634 가정용 노래방 기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노래방 2016/06/20 1,053
568633 데이트 할때 식당에서 물컵 수저놓기 등 손하나 까딱 안하는 남자.. 23 ... 2016/06/20 7,089
568632 젊은 주부님들 음식에 msg넣으시나요? 39 샤방샤방 2016/06/20 4,387
568631 거실은 북향이라도 남향인 맞은편 부엌에 창 있으면 괜찮지 않을까.. 8 ㅇㅇ 2016/06/20 1,839
568630 지난주말..싸구려만 찾는건 손해보지않겠다는 고집 1 글 찾아요... 2016/06/20 1,298
568629 아이명의 핸드폰 개통해서 제 번호로 사용해도 되나요? 2 ... 2016/06/20 1,151
568628 sbs 닥터스 박신혜 얼굴이 왜 저렇게 변한 건가요 60 @@ 2016/06/20 65,260
568627 반년 만에 만난 사람이 저더러 살빠졌대요 18 ㅠㅠ 2016/06/20 3,619
568626 카카오닙스 드셔보신분 계신가요...? 5 ... 2016/06/20 2,455
568625 박유천측이 10억 요구했다고 맞고소 했네요. 54 미끼 2016/06/20 18,435
568624 tvn 명단 공개 봤더니 우울해지네요~ 3 222 2016/06/20 4,149
568623 남편이 주택공동명의 하기 싫다네요 64 2016/06/20 13,872
568622 낯선 사람에게 말 거는 아이...소아정신과 가봐야 할까요. 40 ... 2016/06/20 8,027
568621 아파트 4평 늘리는거 ..이사할까요 11 .. 2016/06/20 2,679
568620 생활의 달인에는 왜 일본이 맨날 나와요? 7 궁금 2016/06/20 1,950
568619 맞춤반, 종일반...보육대란 ㅠㅠ 6 ㅇㅇ 2016/06/20 1,644
568618 미국 FBI가 올랜도 총기범에게 테러를 유도했다네요 1 쇼킹US 2016/06/20 1,722
568617 40살은 무조건 아줌마로 보이나요? 25 미혼 2016/06/20 7,674
568616 안방을 아이방 쓰면 이상한가요? 15 .. 2016/06/20 4,216
568615 아래 가마로에 이어 호치킨 - 주방에서 닭냄새 때문에 토나오는줄.. 3 ㅗㅗ 2016/06/20 1,609
568614 대학병원 비만샌터 다녀보신 분 5 죄인 2016/06/20 1,582
568613 영어과외 선생 시작해보려는데 조언 부탁드려요 7 과외 2016/06/20 2,510
568612 요양보호사 자격증으로 간병인도 가능한가요? 4 궁금해요 2016/06/20 3,247
568611 밤 아홉시가 넘도록 악 지르며 노는 아이들?!! 10 한숨 2016/06/20 1,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