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역삼 도성초 근방 vs 도곡렉슬 분위기 말이예요.

이사 조회수 : 6,939
작성일 : 2016-06-12 22:19:37
요새 집 알아보느라
주말마다 아파트 투어해는중이예요.

우선은 도곡렉슬 단지 가봤고


역삼은 래미안 그레이튼 개나리 래미안 푸르지오 역삼이편한 등
도성초 밑에 신축 아파트들 돌고와봤어요.


근데 제 개인적 느낌이긴한데

렉슬 단지 투어할땐
애들이나 부모나 수수해보이고 배려하는듯한 느낌이었는데

역삼쪽 에서는 애들 좀더 드세보이고
단지내 놀면서도 싸우는애들 많고
중학생들이 놀이터에서 욕도 걸죽히들하고
부모에게 버릇없이 대드는애들도 ㅠㅡ 부모는 끽소리도 못함ㅡ

제가 간날만 유독 그럴수 있겠지만
렉슬이랑 역삼이 애들이 차이가 나나 싶기도 하고요

물론 하루 투어하고 난 느낌이라 일반화하기 힘들겠지만
두군데 학군으론 전국적인곳인데
한편으론 공부잘하라고 이사와서
부모에게 막하고 욕지거리나하면 공부가 뭔가 싶기도하고요

역삼과 렉슬
애들 및 학부형 분위기 많이 차이나나요?

진짜 놀이터근처에서
부모에게 막하는 초등학생들이 너무 충격이었어요
뭣모르는 애들도 아니고요

저희동네서도 한번도 못봤던 광경이어서 쇼킹했어요ㅠ


IP : 223.62.xxx.122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333
    '16.6.12 10:22 PM (123.98.xxx.86)

    렉슬은 도곡동인데요. 대도초등학교. 대치동 아닙니다.
    전 렉슬밖에 모르는데요. 렉슬은 좋습니다.

  • 2. ...
    '16.6.12 10:28 PM (223.62.xxx.8)

    사실 대치는 미도 선경 래미안청실 쌍용 이쪽이고 렉슬은 엄밀히 도곡동이죠. 역삼은 교육환경 별로에요. 제 친구 중 교육열 높은 아이들은 대부분 집 전세주고 렉슬로 이사갔어요.

  • 3. ㅇㅇ
    '16.6.12 10:30 PM (211.215.xxx.166)

    렉슬에서도 역삼중도 오고 근처 도곡중도 가고 여학생은 숙명 갑니다.
    뭐라고 답을 해드려야 할지 난감하네요.
    82가 전부 하나의 인격이 아닌것처럼 렉슬도 역삼 단지도 비슷한 비율로 있을겁니다.
    역삼에서 렉슬로 이사도 많이 가고 그쪽에서도 넘어오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아무래도 역삼단지들이 작은 평수가 많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많습니다.
    렉슬은 골고루 있는 편이구요.
    그리고 그레이튼과 역삼 래미안은 도곡초로 배정됩니다.
    질문하신게 분위기 많이 차이나냐고 하시는데
    제가 느끼기엔 다 비슷합니다.

  • 4.
    '16.6.12 10:37 PM (1.238.xxx.104) - 삭제된댓글

    저 02학번인데
    오늘 보신 게 저 중고딩 때 분위기차이랑 비슷해요.
    지금은 고 언저리(?)에 살면서 곧 매매/이사 예정인데
    (대치동쪽 반포쪽 고민중)
    대치동 쪽으로 결정하게 되면
    (매봉) 도곡 대치 (학여울) 까지 라인으로 갈 거예요.

  • 5. 이러
    '16.6.12 10:39 PM (183.98.xxx.33)

    흠....
    렉슬에서 일부러 역삼중 가려고 그쪽으로 나가는 사람도 있고 다 다른건데 이런 편견을 뭐라 해석을 해야 하는지
    내가 겪은 거라 절대 그 편견을 바꾸지 않을텐데
    렉슬 층간소음 심해서 악다구니 싸우는 걸 보여줘야 하나

  • 6. ...
    '16.6.12 10:43 PM (61.82.xxx.127)

    역삼동 사는데요
    참 드릴 말씀이 없네요..

  • 7. ..
    '16.6.12 10:47 PM (61.74.xxx.219)

    익명방이니 말씀드려요 길 하나 차이로 그리 큰 차이 있겠냐 하지만 분위기 살짝 달라요^^ 좋게말해 역삼쪽이 더 활기(?)차고 더 가리지 않고 대놓고 싫다 좋다 말하는...그런 분위기. 렉슬쪽은 좋게 말함 예의바르고 나쁘게 말하면 좀 내숭(?)이 있는?... 학부모로 만났을때 느낀 바 입니다;;;

  • 8. ...
    '16.6.12 10:48 PM (121.138.xxx.58)

    대치동 사는데요
    참 드릴 말씀이 없네요..
    엄밀히 말하면
    도곡동이라니...

    대치인듯 대치 아닌 대치인가요? @@@

  • 9. 이사
    '16.6.12 10:55 PM (223.62.xxx.122)

    대치 도곡이 중요한가요?ㅠ
    대치동 이라함 여아는 숙명! 아닌가해서
    대치라고 썼어요. 렉슬 또한 대치의 상징성도 있고요.ㅜㄴ

  • 10. 아니
    '16.6.12 10:56 PM (183.98.xxx.33)

    도곡 역삼은 그리 가르면서 대치 도곡은 왜 하나인가요
    렉슬은 도곡의 상징이지 대치 상징은 절대 아니에요

  • 11. 이사
    '16.6.12 10:58 PM (223.62.xxx.122)

    아ㅠ 글수정 해야겠어요

  • 12. ...
    '16.6.12 10:58 PM (211.228.xxx.24) - 삭제된댓글

    돈지랄 염병탱이라고 본다
    그리 지랄탱이 하고 자식 키워 만족스러우면
    하늘에서 용이 내려 온것이라 봅니다.

  • 13. ㅇㅇ
    '16.6.12 11:03 PM (211.215.xxx.166)

    동네를 둘러보신게 맞는지 의아하네요.
    도곡은 렉슬부터 강남 세브란스 아래쪽 삼호, 역삼럭키 그쪽 단지 포함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도곡중으로 많이 배정받습니다.
    얼마전까지는 역삼에 배정많이 받았는데 역삼이 포화라서 도곡으로 배정받는다는군요.
    렉슬 맞은편 대치 아이파크와 대치 청실 선경 그리고 학여울쪽 쌍용 우성까지 대치이고 대치 은마도 대치로 유명하죠.
    그리고 숙명은 도곡역 바로 앞에 있어요.
    그런데 굳이 숙명이 왜 여아 대치의 상징일까요?
    숙명 100프로 배정 받는 여아는 도곡 삼성 래미안뿐입니다.
    도곡 대치 역삼2동 아무런 편견 없고 아무 생각없는데 원글님이 잘못된 상징성을 적으셨길래 몇자 적었습니다.

  • 14. 도곡
    '16.6.12 11:07 PM (210.219.xxx.237)

    도곡도 다 대치학군이던데요.
    남편회사 뒷쪽이라 도곡초 주변 조용한 빌라로 가고싶어도 중고등가면 소위말하는 대치학군된다해서 포기중이예요. 렉슬사는 금수저친구조차 어쩌다 이동네에서 살게되었는지 원망스럽다할정도로 대치학군은 정말 미쳤다고..

  • 15.
    '16.6.12 11:08 PM (202.136.xxx.15)

    요새 중학생들 다 욕해요. 어느 동네나 같아요.

  • 16. ...
    '16.6.12 11:10 PM (211.202.xxx.30)

    도곡님. 대치학군 미쳤단게 경쟁이 너무 치열하단 말씀이죠?

  • 17. ..
    '16.6.12 11:34 PM (116.120.xxx.226)

    둘러보신 아파트 삽니다.
    그런 편견 가지셨다면 반드시 렉슬 가시길.

  • 18.
    '16.6.12 11:41 PM (210.219.xxx.237)

    네 점셋님.
    솔직히 친구 아이는 그집 사업이 워낙 탄탄하고 커서 공부에 목 안매도 되요. 친구또한 그런 입시에 한발짝 물러나도 되는 입장이란거죠. 그럼에도 걔 엄청 스트레스 받아하더라구요. 보이는게 있으니 스트레스만 받는다구요. 진짜 어쩌다 하필 여기 살게 되었는지 할수있다면 나가고 싶다고.. 뭐 이조차도 그야말로 입시에 한발짝 물러날수있으니 하는말인건가 그러고보니....?

  • 19.
    '16.6.12 11:44 PM (114.206.xxx.195)

    역삼 이마트 근처 키즈카페 갔다가 깜짝 놀랐어요
    연령대가 초등학교1-2학년 애들까지 였는데..
    엄마들이 차마시고 수다떠느라 정신 없고
    남자애들이 아가들 장난감 다 발로 차고 소리지르고..
    우리 엄마들 옷가지 떨어뜨리고 밟고 애기들 밀치고 지나가서 그러지 말라고 좋게 말했더니 관리소홀한 엄마들이 오히려 저희들 째려보고..

    참고로 저 90년대 진선여중 나왔고요..
    예전부터 분위기가 대치, 역삼 좀 달랐어요.
    그땐 영동아파트 주택가 그쪽이 험한가 생각했는데
    이상하게 요즘도 그렇더라고요.
    전 원글님 말씀 이해해요

  • 20.
    '16.6.12 11:54 PM (183.98.xxx.147)

    원글님 글 동의해요
    아마 렉슬이 60평대도 있을걸요
    큰평수가 있다보니 좀더 연령층이 높은거같고
    역삼쪽은 20평대 30평대가 많은거같어요

  • 21. 이사
    '16.6.13 12:08 AM (175.117.xxx.216) - 삭제된댓글

    아 저희단지도 애들 진짜 많아요
    근데 놀다가 부모에게 함부로하는경우 별로 못봤어요ㅠ
    부모들도 애들이 경우에 어긋나면 바로잡으려고들 하고요
    학군이란게 물론 학원가 인프라 보고 가는경우도 있지만
    애들 순한거 보고가는게 더 크거든요

    평수의 문제는 아닌듯 해요

    아 제가 지역분란 일으키려는건 아닌데ㅠ
    일부 만 보고 전체 모두가 그렇다고 생각되는것도 아니고요

    역삼 주거자분들 기분 나쁘진 마세요ㅠ

  • 22. 이사
    '16.6.13 12:12 AM (175.117.xxx.216) - 삭제된댓글

    아 윗님 평수문제보단
    저희단지에도 애들 많은데
    그냥 오늘 분위기가 그랬나싶네요
    괜히 역삼분들 자극한듯요ㅠ

  • 23.
    '16.6.13 2:54 PM (152.99.xxx.38)

    진짜 대치동은 우선미죠. 여기는 다른데랑 분위기 자체가 달라요. 렉슬 청실 이쪽이랑 우선미는 많이 다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6337 중학생실비보험 3 중학생실비보.. 2016/06/13 940
566336 냥이 키우는 집사님 봐주세요 3 소음에약한냥.. 2016/06/13 867
566335 결혼 한달만에 임신,,,남편에게 전했는데 30 예비엄마 2016/06/13 25,014
566334 24평 거실 데코타일 색깔 선택좀 해주세요 7 바닥 2016/06/13 1,556
566333 거품 안나는 샴푸요.. 세정은 제대로 되긴 하는걸까요? 1 버블버블 2016/06/13 1,363
566332 '대학가요제'가 없어진 특별한 이유가 있었나요? 4 아쉬워 2016/06/13 1,847
566331 용돈 얼마 주면 될까요? 2 여고생 2016/06/13 1,215
566330 오늘 안개에요? 스모그에요? 6 dd 2016/06/13 1,532
566329 웃지못할 빵셔틀.. 1 고딩 2016/06/13 1,526
566328 운전초보가 전하는 부탁 14 초보 2016/06/13 2,794
566327 지금 만나러갑니다..란 일본영화 말이에요. 6 어려워 2016/06/13 2,058
566326 초2. . 내아이지만 너무 멍청합니다. 정말 확 바껴서 공부.. 29 . . . 2016/06/13 7,462
566325 블라인더냐 믹서기냐 5 해독쥬스 2016/06/13 2,102
566324 다이어트식이 될까요? 7 ?? 2016/06/13 1,168
566323 초등학생 통학가능 거리 어느 정도가 한계일까요? 6 궁금 2016/06/13 862
566322 마트에서 알바하는 학생들 스마트폰 보고 있는거요 5 ... 2016/06/13 2,369
566321 임신초기부터 낳을때까지 커피한잔씩 드신분 있나요 18 카페인중독 2016/06/13 6,929
566320 한국은 물인심 화장실인심 이 좋다..를영어로 2 00 2016/06/13 1,017
566319 장거리 연애에서 긴장감 유지하는 법? 1 ㅈㅈㅈ 2016/06/13 1,502
566318 과천이 그리 살기좋은 곳인가요?? 24 2016/06/13 11,413
566317 정글북알바 있나봐요 17 정글북 2016/06/13 2,282
566316 아줌마들 모임에 정글북관람 어떨까요 9 정글북 2016/06/13 1,263
566315 고기 요리에 로스마리 잎 .... 2016/06/13 600
566314 목동 7단지 27평 급매, 2주택인데 투자용으로 살까요? 6 2주택 2016/06/13 3,480
566313 2016년 6월 13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6/13 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