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 다싯물 낼때 ) 끓인다 vs 찬물(혹은 끓였다 식힌물에) 우린다?

궁금 조회수 : 1,752
작성일 : 2016-06-12 12:37:19
지금까지는 한번씩 날을 잡아서 멸치랑 기타등등 다 넣고 한냄비 끓여놓고
소분해서 냉동도 하고..  한번씩 끓일때 일부러 다싯물이 들어가는 국 끓여먹고 했었는데요

날도 더워지고 

냉동실 자리도 없고.. 해서 점점 꾀가 나네요..

어쩌다 한번씩 잘못 끓이면 맛이 텁텁하거나 

이상해지는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요즘 옥수동 수제자에서 신영순 선생님이 하시는것을 보니

물병 같은데에다가 다시마랑 새우 등등을 넣어서 미리 우려놓은것을 쓰는것 같더라구요..

찬물일수도 있고.. 혹은 한번 끌였다 식힌물 일수도 있겠죠?





요리책 같은데에도 많은 분들이 멸치육수를  '다시마 우린 물' 정도로만 써놓으신 분들도 있구요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더불어 밑국물 맛있게 내는 팁도 알려주세요..

IP : 73.161.xxx.9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12 12:39 PM (175.126.xxx.29)

    육수는 고깃물을 육수라고 하고

    보통은 다싯물 이라고 하는게 맞지 않나요?
    왜 다싯물을 육수라고 하는지....

    미지근한 물에 몇시간 우립니다..훨씬 맛있고 냄새도 좋아요...

  • 2. 원글이
    '16.6.12 12:45 PM (73.161.xxx.98)

    아 쓰고 보니 그렇군요... 흔히들 육수육수 해서..ㅠㅠ
    멸치 다싯물로 고치겠습니다.

  • 3. 전기주전자
    '16.6.12 12:48 PM (121.166.xxx.153)

    스텐 물병 하나를 다시마육수 전용으로 써요
    전기포트에 물을 끓여서 스텐물병에 붓고 한김 나간 후에
    다시마 멸치 양파 무 등 넣어서 물이 식으면 냉장고에 두고 써요
    날잡아 다싯물 내고 이렇게 안하니 번거롭지 않네요
    맛은 특별히 좋거나 나쁘거나 뭐 그런거는 모르겠네요^

  • 4.
    '16.6.12 12:58 PM (116.34.xxx.96) - 삭제된댓글

    그게 원래 예전부터 그냥 찬물에 하룻밤 두고 쓰신다는 분들 많았었어요.
    그리고 일본에 가면 오래된 고급 우동집에서 이런 경우도 많고요.
    저도 오래전부터 이방법 저방법 다 해봤는데 그냥 우려내면 깔끔하고 맑은 육수가 나옵니다.
    그런데 그건 빨리 쓰지 않으면 상할 수 있으니
    저는 또 우려낸 다음 내용물 다 빼낸 후에 맑은 육수 자체를 한 번 팔팔 끓여서 씁니다.
    요령껏 하면 되는 거 같아요.

  • 5. 다시는
    '16.6.12 1:09 PM (223.62.xxx.108)

    일본어
    だしdashi를 그대로.발음한 거예요.
    일본인들이 멸치.등에서 육수(멸치 살=肉) 뽑거나
    다시마 등을 우려서 국물을 만들거나
    채소를 끓여서 국물을 만들 때 저 표현을 쓰는 건데
    한국어와 조합이 되어 다싯물이라는 단어가 된 거고요.
    원글님이 틀리신 게 아니에요.
    다시마는 肉가 아니니 우려내는 게 맞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6767 죽을뻔했던 순간을 경험하신 분들 계세요 18 ... 2016/06/12 6,011
566766 미치겠어요.ㅎㅎ 3 2016/06/12 1,744
566765 열무김치에 참치액젓 7 .. 2016/06/12 2,957
566764 아이들이 이슬톡톡을먹었어요..괜찮겠죠? 15 ㅠㅠ 2016/06/12 3,827
566763 택시에서 이지현씨 보살이 따로 없네요/립스틱 추천 7 아함 2016/06/12 6,783
566762 장롱면허 10년인데 차를 먼저 사고 연수를 받아야 할까요 연수부.. 5 ,,, 2016/06/12 1,607
566761 보통 음식점서 이럴때 어떻게하세요? 9 귱그 2016/06/12 3,064
566760 직장생활은 4 지니램프 2016/06/12 1,117
566759 고등학생 딸아이 보약???영양제?? 4 보약 2016/06/12 2,140
566758 (멸치 다싯물 낼때 ) 끓인다 vs 찬물(혹은 끓였다 식힌물에).. 4 궁금 2016/06/12 1,752
566757 디마프 고현정 나만 그런가 63 2016/06/12 20,825
566756 동물농장에 화상입은 강아지 이야기 보셨나요? 7 오늘 2016/06/12 1,994
566755 한살림 콩국물 상한건가요? 4 콩국물 2016/06/12 3,526
566754 둘다 막내인 부부들 많이싸우죠. 4 00 2016/06/12 1,916
566753 전남친과 재회를 했습니다 9 .... 2016/06/12 7,368
566752 백희가 돌아왔다 재방 보는데 재밌네요 7 베키 2016/06/12 2,320
566751 국내조선사는 선박을 왜 만들지않죠? 5 궁금 2016/06/12 1,686
566750 스마트폰에 얼굴 처박고 걸어다니는 사람들 13 .... 2016/06/12 3,377
566749 ‘친미주의자’ 반기문, ‘대통령 노무현‘ 인정하지 않았다 3 dhlryj.. 2016/06/12 1,111
566748 학원장한테 말로 상처 받았는데요. 17 상처 2016/06/12 4,229
566747 소개팅 애프터 2주 뒤에 하면... ㅇㅇ 2016/06/12 6,576
566746 비타민B를 먹은 이후의 변화 9 ㅇㅇ 2016/06/12 9,961
566745 북악스카이웨이 최고의 접근 경로는?? 3 조언좀.. 2016/06/12 1,385
566744 skt전용 sol폰 괜찮은가요? 폰 번호이동.. 2016/06/12 635
566743 어제 사과란 영화 보셨나요? 1 ;;;;;;.. 2016/06/12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