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 다싯물 낼때 ) 끓인다 vs 찬물(혹은 끓였다 식힌물에) 우린다?

궁금 조회수 : 1,673
작성일 : 2016-06-12 12:37:19
지금까지는 한번씩 날을 잡아서 멸치랑 기타등등 다 넣고 한냄비 끓여놓고
소분해서 냉동도 하고..  한번씩 끓일때 일부러 다싯물이 들어가는 국 끓여먹고 했었는데요

날도 더워지고 

냉동실 자리도 없고.. 해서 점점 꾀가 나네요..

어쩌다 한번씩 잘못 끓이면 맛이 텁텁하거나 

이상해지는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요즘 옥수동 수제자에서 신영순 선생님이 하시는것을 보니

물병 같은데에다가 다시마랑 새우 등등을 넣어서 미리 우려놓은것을 쓰는것 같더라구요..

찬물일수도 있고.. 혹은 한번 끌였다 식힌물 일수도 있겠죠?





요리책 같은데에도 많은 분들이 멸치육수를  '다시마 우린 물' 정도로만 써놓으신 분들도 있구요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더불어 밑국물 맛있게 내는 팁도 알려주세요..

IP : 73.161.xxx.9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6.12 12:39 PM (175.126.xxx.29)

    육수는 고깃물을 육수라고 하고

    보통은 다싯물 이라고 하는게 맞지 않나요?
    왜 다싯물을 육수라고 하는지....

    미지근한 물에 몇시간 우립니다..훨씬 맛있고 냄새도 좋아요...

  • 2. 원글이
    '16.6.12 12:45 PM (73.161.xxx.98)

    아 쓰고 보니 그렇군요... 흔히들 육수육수 해서..ㅠㅠ
    멸치 다싯물로 고치겠습니다.

  • 3. 전기주전자
    '16.6.12 12:48 PM (121.166.xxx.153)

    스텐 물병 하나를 다시마육수 전용으로 써요
    전기포트에 물을 끓여서 스텐물병에 붓고 한김 나간 후에
    다시마 멸치 양파 무 등 넣어서 물이 식으면 냉장고에 두고 써요
    날잡아 다싯물 내고 이렇게 안하니 번거롭지 않네요
    맛은 특별히 좋거나 나쁘거나 뭐 그런거는 모르겠네요^

  • 4.
    '16.6.12 12:58 PM (116.34.xxx.96) - 삭제된댓글

    그게 원래 예전부터 그냥 찬물에 하룻밤 두고 쓰신다는 분들 많았었어요.
    그리고 일본에 가면 오래된 고급 우동집에서 이런 경우도 많고요.
    저도 오래전부터 이방법 저방법 다 해봤는데 그냥 우려내면 깔끔하고 맑은 육수가 나옵니다.
    그런데 그건 빨리 쓰지 않으면 상할 수 있으니
    저는 또 우려낸 다음 내용물 다 빼낸 후에 맑은 육수 자체를 한 번 팔팔 끓여서 씁니다.
    요령껏 하면 되는 거 같아요.

  • 5. 다시는
    '16.6.12 1:09 PM (223.62.xxx.108)

    일본어
    だしdashi를 그대로.발음한 거예요.
    일본인들이 멸치.등에서 육수(멸치 살=肉) 뽑거나
    다시마 등을 우려서 국물을 만들거나
    채소를 끓여서 국물을 만들 때 저 표현을 쓰는 건데
    한국어와 조합이 되어 다싯물이라는 단어가 된 거고요.
    원글님이 틀리신 게 아니에요.
    다시마는 肉가 아니니 우려내는 게 맞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8593 해외 한달살기는 비용이 얼마나 들까여? 14 ㅠㅠ 2016/08/23 9,516
588592 오늘 드디어 따뜻한 커피 마실 용기를 내보았어요 14 오늘 2016/08/23 2,490
588591 강릉 주거지역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이슬 2016/08/23 1,090
588590 손발 따뜻한 소음인 계신가요? 6 소음인 2016/08/23 2,258
588589 29평인데 6평짜리 에어컨으로 가능할까요? 10 고민 2016/08/23 2,011
588588 노트북에 있는거 usb로 어떻게 옮기나요ㅜ 6 2016/08/23 824
588587 사무직 안해본 친구에게.. 27 ... 2016/08/23 6,648
588586 주택용 저압/고압은 누가 어떻게 정하는건가요? 5 ... 2016/08/23 17,892
588585 김연경선수 영어 맛깔나게 하네요.. 9 올리브 2016/08/23 4,062
588584 새로운? 피싱에 걸릴 뻔 했어요. 2 ... 2016/08/23 1,848
588583 아이가 책에 있는 지문을 계속 시키는데... 2 언제까지 2016/08/23 580
588582 시부모 제사에 며느리도 절하나요? 24 2016/08/23 3,818
588581 헤나 염색하다가 일반 염색으로 바꿀 때 염색이 잘 되나요? 3 헤나 2016/08/23 3,003
588580 아침부터 뻘짓?했어요 9 2016/08/23 1,998
588579 부대찌게 햄 시중에서 파나요? 7 ㅇㄹㅇ 2016/08/23 1,372
588578 밀러(머스터드) 소스 파는 곳? *** 2016/08/23 1,440
588577 이케아 야외의자 추천부탁드려.. 2016/08/23 580
588576 혹시 1988년도즈음 수원에 진흥공장? 1 ... 2016/08/23 507
588575 아침에 너무 힘들어요 3 ㅇㅇ 2016/08/23 946
588574 누가 두테르테를 "필리핀의 트럼프"로 비하하나.. 9 세계사흐름 2016/08/23 2,284
588573 삶의 질 4 zzz 2016/08/23 1,415
588572 스마트폰화면을 tv로 볼수있어요^^ 6 귀여니 2016/08/23 1,970
588571 60세와 35세가 연애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32 질문 2016/08/23 6,867
588570 에어컨 설치비 5 ... 2016/08/23 1,455
588569 부동산 부자?인데 전세 사시는 분 계세요? 8 전세 2016/08/23 2,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