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수도 전문직군에 들어가나요

ㅇㅇ 조회수 : 8,980
작성일 : 2016-05-28 22:48:10
서울 주요 사립대 교수면 전문직이라 할 수있나요
IP : 125.142.xxx.145
4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28 10:49 PM (211.172.xxx.248)

    전문직 아니죠. 개업이 불가한데

  • 2. ㅣㅣ러이
    '16.5.28 10:50 PM (175.209.xxx.110)

    라이센스가 있어야 전문직

  • 3. 교수는
    '16.5.28 10:51 PM (114.204.xxx.4) - 삭제된댓글

    전문직 아니죠

  • 4. ..
    '16.5.28 10:57 PM (223.62.xxx.249)

    전문직군이면서 학자로 봐야됩니다
    그 분야 학문에 대해 전문적인 연구를 해서
    공인받았다고 볼수있으니까요

  • 5. 개업이
    '16.5.28 10:58 PM (125.142.xxx.145) - 삭제된댓글

    가능해야 전문직이군요. 학문 분야에 전문이라 전문직인
    줄 알았는데 교수는 그럼 그냥 교수인가보네요

  • 6. 교수도
    '16.5.28 11:00 PM (125.142.xxx.145)

    박사 학위증이 있으니 전문직이라면 전문직이라 보이는데
    의견이 분분하네요. 개업이 가능한 직군만 전문직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고..

  • 7. ...
    '16.5.28 11:00 PM (175.244.xxx.228)

    전문직이란 일의 내용과 범위 시간등을 스스로 정할수 있어야죠 그러니 전문직

  • 8. ----
    '16.5.28 11:00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글쎄요..
    위키백과에 전문직 정의를 보면
    교수가 전문직이란 개념을 정의에 가장 부합하고 그 단어사용의 시작이라고 나오긴 해요.

  • 9. ----
    '16.5.28 11:01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전문직(專門職)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종이다. 현대의 한국에서는 거의 모든 직종을 전문직이라고 하지만, 원래의 의미는 어원 자체, 즉 professional이 말하는 바와 같이 professor 즉 대학 교수가 전문직의 표준이다. 그러므로 대학교수에 상응하는 지식및 명예, 수입을 모두 갖춰야 전문직이라고 할수 있다. 대학교수와 비슷한 학력과 수입, 명예를 갖춘 전통적인 의미의 전문직은 대학교수, 의료인(간호사, 조산사,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성직자, 법률가(판사, 검사, 변호사)를 전문직이라하였다. 물론 전문적 요건으로 구성된 자격증 및 별도의 전문적 선발(임용)과정을 가져야 취득할 수 있는 직위라면 전문직으로 인정한다. 예를 들어 초, 중등 학교의 교원도 교육 전문직이라고 할수 있다.

    그러므로 박사급 학력과 이에 상응하는 수입과 명예가 없는 직업이면서 거의 모든 직종에서 전문직이라고 자칭, 타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직의 원래 의미를 알면 사용할수 없는 말이다. 또 전문직에 준한 기술을 가진 사람은 장인이라고 하였다. 이는 master에 해당하는 말로, 오랜기간 동안 숙련되어야 가능한 기술을 습득한, 전문직에 상응한 경력과 명예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전문직의 요건을 정리하자면 1.이론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 있어야 하고 2.(종합대학등의)훈련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3.구성원들의 능력이 시험되는 제도가 있어야 한다(자격증) 4.(협회등의)조직을 구성하고 5.각 나름의 윤리강령을 수립하고 준수하며 6.다른 사람들을 위한 봉사정신이 요구된다

  • 10. --
    '16.5.28 11:02 PM (114.204.xxx.4) - 삭제된댓글

    박사학위증은 자격증이 아니고요.
    박사학위증 있다고 해서 다 교수 되는 것도 아닙니다.

  • 11. 저도
    '16.5.28 11:03 PM (125.142.xxx.145)

    전문직이라 생각했는데 우리 사회에서는 보통 '사'자 들어가고
    고액 연봉 버는 직군만 전문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네요

  • 12. ----
    '16.5.28 11:04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사회에서 전문직이라는 단어가 오용되는것이죠.

  • 13. --
    '16.5.28 11:05 PM (114.204.xxx.4) - 삭제된댓글

    박사학위증은 자격증이 아니고요.
    박사학위증 있다고 해서 다 교수 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위키백과 같은 자료는
    신빙성 있는 근거 자료라 못 합니다.(논문 인용자료로도 쓸 수 없어요)
    특히 박사급 학력과 이에 상응하는 수입과 명예, 이 부분에서 좀 웃음이 나네요.
    명예는 언감생심 바라지도 않지만
    우리나라 박사급 학력을 가진 사람 평균 수입 내면 과연 얼마나 나올까요? 교수 되는 사람은 진짜 10%도 안 될 텐데요.

  • 14. 박사학위는
    '16.5.28 11:10 PM (218.238.xxx.102) - 삭제된댓글

    해당분야를 전문적으로 공부했다는 의미에서는 '전문'이라는 글자를 붙일 수 있으나

    그것은 자격증이 아니잖아요. 공부했다는 하나의 증명서인것이지요...
    박사학위가 업무를 보는데 있어 어떤 스킬을 제공하는 것도 아니고요

  • 15. -----
    '16.5.28 11:11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뭐가 그렇게 웃기세요?

    논문에 따라 보편적인 정의 인용을 위해 위키백과 인용 당연히 가능합니다.

    그리고 위 텍스트는 윗분이 잘못 읽으신것 같은데요,
    박사급 학력과 그에 상응하는...자칭, 타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문직의 원래 의미를 알면 사용할수 없는 말이다.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제대로 읽고 답변 다시죠? 저도 웃음이 나오네요 ㅎㅎ.
    뭘 그렇게 날이 서서 ...

    아래는 사회학 사전 정의입니다. 본인이 읽고 판단하면 되는것이지요.
    사회의 중심적 가치와 관련이 깊은 제문제에 대하여 일련의 체계적 지식을 응용하는 직업을 말한다. 카-손더스(A.M. Carr-Saunders)와 윌슨(P.A. Wilson)의 고전적 연구 The Professions(1938)에서 전형적인 전문직에는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특성이 있으며, 그것에 다소 가까운 직업은 이들 몇 가지 특성이 부분적으로 발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여러 가지 특성의 복합체가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이다. 많은 논자들이 전문가주의의 제요소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플렉스너(Abraham Flexner)는 School and Society(1915)에서 개인적 책임, 지적 기법의 실제적 적용, 자기 조직화의 경향, 그리고 점차로 이타적으로 되는 동기부여를 강조했다. 코간(Morris Cogan)도 전문직이라는 용어를 정의하려고 했던 다수의 시도를 조사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전문직은 어떤 분야의 학문 내지는 과학의 이론구조에 대한 이해이며, 이런 이해에 부합하는 여러 가지 능력에 기초하여 실천되는 직업인 것이다. 이 이해와 이들의 능력이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실천적 제문제에 적용된다. 전문직은 고객에 대한 이타적 서비스에 윤리적 요청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밀러슨(Millerson)은 21명의 평가자에 의해 열거된 특성을 분석하고 가장 높은 빈도의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든다. 첫째, 전문직은 이론적 지식에 기초한 기능을 필요로 한다. 둘째, 그 기능은 훈련과 교육을 필요로 한다. 셋째, 전문직 종사자는 시험에 합격하는 것과 같이 자신의 능력이 입증되어야 한다. 넷째, 행동규범을 준수함으로써 청렴성을 보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의 복리에 도움이 되는 봉사를 해야 한다. 여섯째, 전문직은 조직화를 이루고 있다.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직업, 즉 전문가주의에 도달한 직업이어야 한다. 따라서 전문직에 가깝다고 생각되지만 충분히 전문화되지 않은 약사, 간호사와 같은 직업은 준전문직, 하위전문직으로 지칭된다. 원래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법률가, 의사, 목사 등의 직업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런 직업은 산업화 이전의 유럽에 있어서는 상업과 육체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생활의 기회를 부여받은 유일한 직업이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문직 [professions] (사회학사전, 2000. 10. 30., 사회문화연구소)

  • 16. 대체
    '16.5.28 11:12 PM (218.37.xxx.219)

    교수가 전문직이 아니면 누가 전문직이란 말인가....????

  • 17. ----
    '16.5.28 11:12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글을 잘 읽으시고 맥락 파악을 하실 능력이 안되신다면... 전문직은 아니신가보네요 ^^

  • 18. ----
    '16.5.28 11:16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그리고 박사학위는 '학위' 이지 직업 profession 이 아닙니다.
    박사학위가 직업이란 말은 어디에도 쓰여있지 않은데 뭘 읽으시는건지들;;; 황당하네요.

  • 19.
    '16.5.28 11:16 PM (119.70.xxx.204)

    전문직이면 어떻고 아니면어떤가요?
    이단어에 이렇게 집착하는이유는뭘까
    대통령은 전문직?
    기업사장은 전문직일까?
    배우나 가수는?

  • 20. -----
    '16.5.28 11:17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그러니까 말이에요. 누가 전문직이고 아니면 어떻고, 전문직이라고 신분상승한다고 생각하나봐요.
    그냥 직업일 뿐입니다.
    요즘 82 보면 웃기네요 ㅋㅋ

    밖에서 누가 뭘로 인정하는 것보다, 내가 뭘 얼마나 의미있는 일을 하고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하는게 중요하죠.

  • 21. 집착하는 이유는
    '16.5.28 11:20 PM (118.35.xxx.161)

    제가 전문직인데요,,, 하면서 대단한것처럼 글을 쓰는 사람들이 고까워서입니다. 실상 별것도 아니면서 나름 전문직인데요... 하는 사람들이요..

  • 22. 에휴
    '16.5.28 11:22 PM (223.62.xxx.159)

    전문직이면 어떻고 아니면 어떤지...22222

  • 23. ----
    '16.5.28 11:23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뭐가 그렇게 고까워요?

    사람들 요즘 사는것 다 힘들고, 다들 세속적이고 자기가진것 자랑 못하면 밀려나는것 같고 서로 밟고 올라서려 하고 갑질하고 헬조선이라 불리는 세상이에요. 다들 힘들어서 아둥바둥 그러는거지, 뭘 또 그렇게 고깝다고 또 서로 스트레스 주나요.

    서로 스트레스 주며 내리 누르려는게 이런 평가 하면서 서로 누르려 스트레스 주기 때문이에요.
    이런 사이트에서라도 이런것좀 안하면 좋겠구요.

    직업엔 귀천 없단 말이 있죠,
    남 평가하지 말고 자기 일 충실하게 잘 하고 서로 갑질만 안해도 훨씬 살기 좋아질껄요.
    어른이 되서 진짜 왜들 그러는지.

  • 24. ㅇㅇ
    '16.5.28 11:26 PM (125.191.xxx.220)

    교수가 정말 전문직이죠. 꼭 개업할수 있는지 여부가 전문직의 기준은 아닌데 82분들은 그걸 엄청 강조하더라구요.

  • 25. 진짜이상해
    '16.5.28 11:30 PM (119.70.xxx.204)

    나름 전문직은 되기 쉬운줄아나
    어떤분야든 전문가가되기까진 시간과 끈기
    노력이 필요해요
    거저되는거아니잖아요
    동네에서 머리잘자른다는 소리듣는
    미용사되기까지도 십년이상 이십년이상
    가위질해야되는거예요
    남의 직업은 우스워요?

  • 26.
    '16.5.28 11:30 PM (118.35.xxx.161)

    전문직이에요...하는게 벌써 난 너희와 다르다.. 뭐 이런 뉘앙스인데 그럼 고깝지 안 고깝나요?

  • 27. 위키백과가
    '16.5.28 11:30 PM (114.204.xxx.4) - 삭제된댓글

    언제부터 논문인용자료로 인정되었는지 좀 놀라고 갑니다.
    저건 누구나 쓰고 누구나 수정할 수 있는 자료라서 저는 인정하지 않는데
    인정하는 학교도 있나보네요.(저희 학교 졸업논문에서는 금지합니다)
    그리고 박사급학력의 명예, 수입,..이런 내용에서 웃음이 나왔다는 것은
    적어도 대한민국에서는 박사라고 해서 고소득이나 명예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입장에서 웃는 자조적 웃음이었는데
    뭔가 오해하신 것 같네요. 본인을 비웃는 것으로 느끼시고 불쾌해 하시는 것 같아 송구스럽네요.
    제가 글솜씨가 부족한 탓이겠지요.

  • 28. ----
    '16.5.28 11:31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
    고까와 하세요.

    82 보면 지옥은 대통령이나 정치인들이 만드는게 아니란 생각이 들어요.

    저는 자기 직업이 뭐든 프라이드를 가지는게 아닌것보단 좋은거라 생각합니다.

  • 29. 뭔가
    '16.5.28 11:36 PM (118.35.xxx.161)

    포커스가 어긋나신것같은데...

  • 30. -----
    '16.5.28 11:37 PM (210.100.xxx.49) - 삭제된댓글

    윗분, 저 문장은 정확하게 잘 워딩된 문장은 아니라 생각하지만, 높은 학력과 수입만이 전문직을 정의해주는 것이 아니라 요건이 있다... 라는 맥락 아닌가요? 박사학위 소지자에게 무조건 명예와 수입이 있다는 이야기가 아니죠.

    위키를 '정의'를 위해 인용할수 있다는것이 아니라 집단지성으로 완성하는 것이니 보편적 정의와 실제 정의를 비교해본다던가 등등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위키자료는 논문에 절대 사용 불가능하다엔 동의하지 않습니다. 논문 형식이나 내용이 전공과 분야에 따라 다르니까요.

  • 31. 전문가
    '16.5.28 11:38 PM (121.148.xxx.24)

    솔직히 교수는 다른 전문직과 함께 엮여서 전문 어쩌구 하는 것 시덥지 않게 여깁니다.
    법조, 의료, 의약, 성직,, 그게 그 어떤 분야든 그 분야의 최고 전문 집단은 교수집단입니다.
    돈을 얼마를 벌고, 지위가 어떻고 그런 것 상관없이 구조적으로 해당 분야의 지식의 끝을 향해 달려가는 집단입니다. 그러니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전문가 집단에 교수가 포함되는게 좀 웃기기는 합니다.

    물론 울 나라 교수들 상당 수는 필드 경험없이 학위 후 바로 임용되어 실무 지식이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 분들 까지 전문가 집단이라고 하고 싶지는 않지만 다른 직업군과는 비교 자체가 불가입니다.
    어원학적으로도 비교 불가고요 ㅎㅎ

  • 32. ...
    '16.5.29 12:31 AM (119.64.xxx.92) - 삭제된댓글

    전문직 개업 어쩌고는 은행에서 돈 빌려줄때 담보없이 자격증만으로 믿고 빌려주기 때문에
    나온 분류죠. 이른바 전문직 무담보 무보증 대출.
    일반사람들이 돈 꿔줄것도 아닌데, 개업을 하거나 말거나 그런 조건이 무슨 의미가 있다고
    맨날 개업 타령.

  • 33. ...
    '16.5.29 12:33 AM (119.64.xxx.92)

    전문직 개업 어쩌고는 은행에서 돈 빌려줄때 담보없이 자격증만으로 믿고 개업자금을 빌려주기 때문에
    나온 분류죠. 이른바 전문직 무담보 무보증 대출.
    일반사람들이 돈 꿔줄것도 아닌데, 개업을 하거나 말거나 그런 조건이 무슨 의미가 있다고
    맨날 개업 타령.

  • 34. ㅇㅇㅇ
    '16.5.29 12:38 AM (219.240.xxx.37) - 삭제된댓글

    전문직군
    의사, 변호사도
    교수 되려고 대학원 들어가고 논문 쓰고 난리도 아니던데요.

  • 35. 장의사
    '16.5.29 1:42 AM (24.246.xxx.215) - 삭제된댓글

    장의사 도 끝에 '사' 자들어가고 전문직인데...

  • 36. ...
    '16.5.29 8:01 AM (183.106.xxx.60) - 삭제된댓글

    저위에 댓글에 전문주의와 전문직에 대해 전문자료를 인용하신분도 계시네요~

    전통적으로(예전부터 지금까지) 인정되는 전문직은 교수, 법조인, 목사입니다. 현대로 와서 의사, 회계사가

    포함됩니다. 약사는 준전문직으로 보죠

    전문직을 구별하는 주된 기준은 1.상당히 오랜기간의 숙력된 지식과 기술 ,2. 그 업무에 대해 타인들이 평가하

    기가 쉽지 않아야 한다 3. 최종적인 직업으로 이직하지 않는다는 것이 있죠.

    예를 들면, 미용사등은 일반인들의 평가가 쉽다는 점에서 전문직으로 보지 않아요

  • 37. ...
    '16.5.29 8:02 AM (183.106.xxx.60) - 삭제된댓글

    전문주의와 전문직이라는 단어와 의미자체가 서양에서 연구되던것이라, '---사'자가 들어가면 전문직은 아닙

    니다.

  • 38. ...
    '16.5.29 8:05 AM (183.106.xxx.60) - 삭제된댓글

    저위에 댓글에 전문주의와 전문직에 대해 전문자료를 인용하신분도 계시네요~

    전통적으로(예전부터 지금까지) 인정되는 전문직은 교수, 법조인, 목사입니다. 현대로 와서 의사, 회계사가

    포함됩니다. 약사는 준전문직으로 보죠

    전문직을 구별하는 주된 기준은 1.상당히 오랜기간의 숙력된 지식과 기술 ,2. 그 업무에 대해 타인들이 평가

    하 기가 쉽지 않아야 한다 3. 최종적인 직업으로 이직하지 않는다 4. 업무에서 자율성(자신의 지식과 기술에

    근거해서 판단할 수 있는 범위, 정도)이 있다는 것이 있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근거해서 일을 수행하므로 준전문직으로 보고,

    예를 들면, 미용사등은 일반인들의 평가가 쉽다는 점에서 전문직으로 보지 않아요

  • 39.
    '16.5.29 9:46 AM (221.146.xxx.73)

    개업 가능 여부 당연히 중요하죠. 고용되어야만 일할수 있는 직종을 전문직이라고 부를수 없죠. 교수 대학에서 잘리면 돈 못 벌잖아요. 교수가 전문직이면 교사도 전문직인가요? 아니잖아요.

  • 40.
    '16.5.29 9:51 AM (221.146.xxx.73)

    전문직은 기본적으로 당장 그만두어도 아이덴티티가 변하지 않아야된다고 봐요. 교수가 교직 그만두면 더 이상 교수 아니죠. 하지만 의사나 변호사는 일 그만둬도 의사고 변호사죠. 고용여부가 직업의 아이덴티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얘기

  • 41. ....
    '16.5.29 9:59 AM (121.88.xxx.106)

    교수 관두면 전직 교수일뿐이죠. 정년도 있고. 아는 지식은 상아탑에서만 활용..
    전문직은 교수 직위에 있을때만 해당. 관두면 끝.

  • 42. ...
    '16.5.29 10:08 AM (119.64.xxx.92) - 삭제된댓글

    의사하다가 그만두고 살림하는 전업주부를 누가 의사라고 불러요? 가정주부라고 하지.
    의사도 관두면 전직의사죠, 개업하지 않는한. 어떤 직업이던지 그만두면 그냥 백수에요.
    자격증 보유자인거죠. 전직교수는 보통 박사학위 보유자 인거고.
    개업이 가능하니까 그만둬도 그 직업이 유지되는거면, 모든 사람이 사업체 차릴수 있으니까 전부 사장인가요?
    아..그래서 남자들을 다 사장님이라고 부르는건가 ㅎㅎ

  • 43. ...
    '16.5.29 11:46 AM (223.62.xxx.100)

    의대 교수와 변호사 자격증 있는 법대 교수 아니면 전문직 아니죠.

  • 44. 전문직에 대해 공부한 사람
    '16.5.30 8:32 AM (221.157.xxx.106) - 삭제된댓글

    제가 전문직과 전문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한 석사논문을 썻어요~ 전문직에 대한 연구들도 오래되었어요.

    임의로(내 생각대로) 규정하는게 아닙니다.

    전문직에 대한 연구는 전문주의와 전문직이라는 단어와 의미자체가 서양에서 연구되던것이라, \'---사\'자

    가 들어가면 전문직은 아닙니다.

    전통적으로(예전부터 지금까지) 인정되는 전문직은 교수, 법조인, 목사입니다. 현대로 와서 의사, 회계사가

    포함됩니다. 약사는 준전문직으로 보죠

    전문직을 구별하는 주된 기준은 1.상당히 오랜기간의 숙력된 지식과 기술 ,2. 그 업무에 대해 타인들이 평가

    하 기가 쉽지 않아야 한다 3. 최종적인 직업으로 이직하지 않는다 4. 업무에서 자율성(자신의 지식과 기술에

    근거해서 판단할 수 있는 범위, 정도)이 있다는 것이 있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근거해서 일을 수행하므로 준전문직으로 보고,

    예를 들면, 미용사등은 일반인들의 평가가 쉽다는 점에서 전문직으로 보지 않아요

    의사나 변호사 등의 자격증이 있더라도 사회적 은퇴가 있지요. 전문직은 자본가(예를 들면 대기업병원) 와 다

    르지요.

  • 45. 전문직에 대해 공부한 사람
    '16.5.30 8:33 AM (221.157.xxx.106)

    제가 전문직과 전문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한 석사논문을 썻어요~ 전문직에 대한 연구들도 오래되었어요.

    임의로(내 생각대로) 규정하는게 아닙니다.

    전문직에 대한 연구는 전문주의와 전문직이라는 단어와 의미자체가 서양에서 연구되던것이라, \'---사\'자

    가 들어가면 전문직은 아닙니다.

    전통적으로(예전부터 지금까지) 인정되는 전문직은 교수, 법조인, 목사입니다. 현대로 와서 의사, 회계사가

    포함됩니다. 약사는 준전문직으로 보죠

    전문직을 구별하는 주된 기준은 1.상당히 오랜기간의 숙력된 지식과 기술 ,2. 그 업무에 대해 타인들이 평가

    하 기가 쉽지 않아야 한다 3. 최종적인 직업으로 이직하지 않는다 4. 업무에서 자율성(자신의 지식과 기술에

    근거해서 판단할 수 있는 범위, 정도)이 있다는 것이 있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근거해서 일을 수행하므로 준전문직으로 보고,

    예를 들면, 미용사등은 일반인들의 평가가 쉽다는 점에서 전문직으로 보지 않아요

    의사나 변호사 등의 자격증이 있더라도 사회적 은퇴가 있지요. 전문직은 자본가(예를 들면 대기업병원) 와

    다르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399 로또는 정녕 당첨이 안되는 건가요?? 4 로또는 2016/05/31 2,564
562398 교회 청년부요. 원래 좀 오글거리나요? 17 ㅇㅇ 2016/05/31 9,600
562397 오늘아침메뉴는 우렁이된장찌개랑오이무침 2 아침밥은꼭먹.. 2016/05/31 1,040
562396 인분교수 피해자가 합의해준 거라네요. 13 에구 2016/05/31 4,446
562395 공기청정기 대신 할 수 있는 식물 추천 해주세요 8 식물 2016/05/31 1,605
562394 도자기그릇 밥솥보관 되나요? 3 보온 2016/05/31 638
562393 또!오해영 9회리뷰) 그래도 지금은 그 놈이라도 필요하다고.. 5 쑥과마눌 2016/05/31 4,584
562392 오해영 재방까지 어케기다리나 1 미추리 2016/05/31 711
562391 이쁜 오해영이 이해되면서 안스럽네요 11 희망 2016/05/31 4,018
562390 우체부 인도위 오토바이 2 제목없음 2016/05/31 744
562389 공기청정기 1대면 충분할까요? 6 궁금 2016/05/31 1,723
562388 남편에게 안아 달라고 했는데.. 7 남편에게 2016/05/31 7,316
562387 사장이 출장중인데 아이가 아파서 좀 늦을떈 어떻게 하나요? 3 에고 2016/05/31 1,078
562386 2016년 5월 31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5/31 530
562385 바빠서 연락없는게 아니라 맘이 없어서겠죠. 38 mmmm 2016/05/31 25,470
562384 남자들이 생각하는 '현명한 여자'란 어떤 여자일까요? 16 궁금 2016/05/31 4,993
562383 고 캔디 인터뷰 다시 보기 31 한국사람 2016/05/31 2,759
562382 아이가 내 인생에 방해로 느껴지면.. 36 고민입니다... 2016/05/31 7,055
562381 새벽 4시에 들어온 남편 어쩔까요 24 .. 2016/05/31 6,733
562380 미세먼지 중국산보다 한국산이 더 많다 11 ... 2016/05/31 2,373
562379 오세훈시장이 생각나는 밤입니다 9 아서울이여 2016/05/31 2,657
562378 부정맥 있는데 수면내시경 괜찮을까요? 1 2016/05/31 2,166
562377 아이가 죽었어요..... 애견인들만 봐주세요 44 아이가 2016/05/31 7,082
562376 낮에도 글올렸는데 댓글이 없어서 제가 고민이 좀 있어요 23 잠안옴 2016/05/31 4,852
562375 김밥 보관은 어떻게 해요? 6 2016/05/31 2,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