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라는 직책을 가지거나 가졌던 사람을 주목할 때, 초점을 맞추는 지점은 그가 대통령으로 재직 중인 기간이다.
대통령의 공직 수행 성과를 판단할 때 논의의 중심은 헌법 정신에 충실한 정도, 국민 삶의 현장인 국내외를 망라하여 그들의 삶을 얼마나 윤택하게 만들었는가를 큰 틀로 본다.
‘국태민안 가급인족’이라는 황금률 내에서 법률거부권자로서, 공직 임면자로서, 당면한 내우외환에 순발력 있게 대처해야 할 책임자로서 공명정대의 보편 정도가 판단 준거인 것이다.
대통령 이전에 어떤 사람이었는가는 프롤로그이며, 사임 후에 어떤 사람이었는가는 말 그대로 에필로그이다.
사인으로 돌아간 대통령, 그 자신이 공적 내용을 가진 행위를 하지 않는 한 특별히 주시하지 않는다. 그는 이미 무대를 내려온 사람이고 스포트라이트 밖에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무현 전 대통령은 스포트라이트를 끌고 귀향하였다. 취임 전의 인기가 재임 중 실책들로 폭망했다가 퇴임과 함께 부활한 ‘사랑받는 전임 대통령 등극’이었다.
정적들은 심히 불안하고 불쾌했던 것 같다.
한나라당의 묻지마 표밭인 영남에 터를 잡고 인근 정치 세력을 변화, 결집시키는 목적을 가진 행보로 보였을 것이다. 노무현 개인의 영달을 위한 목적이 아닐지라도, 빤히 예상되는 위험 요인이었고, 농민으로 돌아갔을 뿐이라는 노무현 측 주장은 눈 가리고 아웅으로 들렸음직하다.
‘사랑받는 전임 대통령’ 열기는 그의 서거 후 폭발적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근래에 이르러서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공직 수행 중의 과오라 할지라도 입도 뻥긋해서는 안 되는 기묘한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보수 측을 제외한 사회 관계망에서 흔히 친노라 일컬어지는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노사모 아님)의 방어기제는 비정상적으로 확산되었다.
그 비정상이 ‘무비판적으로 문재인 대통령 만들기’라는 대전제와 닿아있음을 점점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기 시작했다.
대선 이후 3년을 지나며 많은 사람들이 깨닫기 시작한 것은 인간 노무현을 추모하고 사랑하는 것과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만드는 것은 별개의 사안이라는 것이다. (정치적 이익을 함께 추구하는 이들에게는 동일할 수 있다.)
모든 현, 전 대통령에 대해 국민은 공과를 판단하고 발언할 권리가 있다.
노무현이라는 이름을 앞세운 이들이 사뭇 다수 국민의 표현의 자유마저 억압하는 때를 살아가고 있다.
이것 참! 사소하고도 중대한 문제며 스트레스다. 공직자에 대한 비판을 거부하는 집단에게 정권을 위임하는 일은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