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형님의 장례식때 저는 뭘 해야하나요

ㅜㅜ 조회수 : 4,291
작성일 : 2016-05-12 03:44:34
경황이 없고 이런 경험이 있어본 사람이 주변에 없어서 여기에 묻습니다
아이들 큰엄마가 돌아가셨는데 제가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일단 먼거리의 지방이라 내려가야하는데 아이들은 마지막날 내려가면 된다 하구요.
저는 바로 내려가 사흘간 장례식장을 지키면 되는것인가요?
복장은 어떤걸 입으면 좋을까요.
저도 상복을 입고 있음 되는건가요?
거리가 너무 멀고 여기 아이들도 있고 왔다갔다 할 형편이 안되서 일단 준비 ㄱ단단히 해놓고 가야하는데 뭘 어떡해야할지 아무것도 모르겠네요ㅜㅜ
IP : 223.62.xxx.12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6.5.12 3:48 AM (223.62.xxx.126)

    형님은 아직 친정엄마와 동기들이 전부 다 계시구요. 언니가 네분이나 되세요. 저까지 상복을 입는 군번이 될지 모르겠어서 여쭙는거구요. 만약 아니라면 제가 그냥 바지 정장을 입어야하는지 시댁에 누가 되지 않게 치마를 갖춰입고 그러니까 롱으로 된거 일하기 편한걸 입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요. 그리고 저는 가서 음식나르고 하고 이런걸 하면 되나요. 시키는데로 하면 될까요.

  • 2. 일단
    '16.5.12 5:17 AM (61.83.xxx.237)

    상을 치르는 일은 누구나 경황이 없답니다.
    일단 아주버님 계실거고 시어른들도 계실테니 너무 걱정마세요.

    내려가실때 복장은 검은색계통으로 편안한 것으로 입으시고
    상복은 보통 입관하고 둘쨋날에 입는걸로 기억해요.
    상복은 입을 사람대로 빌리거나 사거나 한답니다.
    형님이시면 아마 상복 입으라고 할것같아요.
    이런 상황들은 어른들이나 가까운 친척중 누군가가 챙겨서 하니
    원글님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구요.
    그리고 며칠간 필요한 개인물품 챙기시는게 편하구요.

    장례식장에서 손님 접대라든가 일 할것 있으면 해주심 좋아요.
    웬만하면 장례식장에서 서빙하는 도우미 쓰시고
    가족들은 손님맞이만 하시는게 좋아요.
    안그래도 심신이 힘드신 상황에 서빙까지 하다보면 너무 지치고 힘들답니다.

  • 3. ㅇㅇ
    '16.5.12 5:17 AM (49.142.xxx.181)

    요즘 거의 상조회 끼고 하고 장례식장에서 일하는 사람 다 불러주고 해서
    장례식에서 일 할 필요도 없고요.
    상복은 장례식장에서 대여하는 품목에 있어서 거기서 주는대로 입으라고 하는대로 입으면 됩니다.
    상주가 다 정했을거예요. 남자 상복 여자 상복
    주는대로 입으시면 됩니다.

  • 4. 너삼
    '16.5.12 9:46 AM (118.218.xxx.217) - 삭제된댓글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영정앞에서 조문하고 절도 하고 난 다음 아주버님.조카들과 절하면서 위로한 다음
    장례식장에 머무르면서 친척들 오면 인사하고 대기하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9887 동부 이촌동은 서민 동네 느낌인데 14 .. 2016/05/23 7,196
559886 중고등 주말수학과외 별로일까요? 3 .. 2016/05/23 1,676
559885 늙었나봐요. 오해영 엄마한테 너무 몰입되요. 3 엄마 2016/05/23 2,597
559884 4억짜리 아파트분양 받는데,2억 대출받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11 2016/05/23 3,913
559883 본죽에서 주는 장조림만들려면 고기 뭐 사와야 하나요? 9 장조림 2016/05/23 2,840
559882 직장에서 혼자 밥먹는 분 계세요 10 ᆞᆞ 2016/05/23 2,290
559881 어머, 5해영이군요 ㅡ 한겨레 펌 4 하오더 2016/05/23 1,813
559880 알러지반응검사 5 오즈 2016/05/23 1,129
559879 7월 인가요??? 미칠거같아 2016/05/23 391
559878 한국에선 인지도가 얼마쯤 될까요? 4 안나수이 의.. 2016/05/23 899
559877 어제 밤에 끓여둔 닭죽, 내내 실온에 두면 상하나요? 5 날아올라 2016/05/23 2,815
559876 비지니스타니 너무 좋던데 19 여행 2016/05/23 4,339
559875 대리석 식탁이 별로인가요? 17 식탁 2016/05/23 6,417
559874 "오전 9시 등교 이후 삶의 질 높아졌다" 9 샬랄라 2016/05/23 2,193
559873 랑콤 제니피끄 쓰는분들 있나요?? 3 궁금 2016/05/23 2,012
559872 영재고 시험, 괜히 본 것 같아요. 16 ㅁㅁ 2016/05/23 7,298
559871 렛미홈 한번 봤는데 좀 그러네요 4 ... 2016/05/23 2,123
559870 부산분들 중에 미술전공 하신 분들~^^ 2 러브빌보 2016/05/23 759
559869 이수근씨.. 37 ㅠ.ㅠ 2016/05/23 12,516
559868 아이가 또 제 돈에 손을 댄것 같아요,, 28 ........ 2016/05/23 5,736
559867 달빛도 되게 밝아요 2 2016/05/23 550
559866 아이 내성발톱 병원 어디로 가야나요? 3 ... 2016/05/23 5,077
559865 북리뷰: 5.18광주항쟁을 그린 한강의 ‘소년이 온다’ 2 light7.. 2016/05/23 835
559864 최근에. 폐차해 보신 분 경험 좀 나눠 주세요 9 올드카 2016/05/23 1,158
559863 택배방문접수하려는데 가격대가 얼마인가요? 6 대한통운, .. 2016/05/23 860